기타/어쩌구 저쩌구

무사하소서

칠봉인 2012. 10. 14. 01:51

친구를 만나러 대구가는데 강창교 근처에 있는 삼성아파트에서 불이 났다

119에 신고를 했더니 벌써 접수했다 하신다

무사하셨길 기원합니다

 

친애하는 칠봉관광농장 고객여러분!

 

전기화재 발생이 잦은 겨울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화재는 피땀흘려 이루어 놓은 우리의 재산과 귀중한 생명을  송두리째 앗아 갑니다

화재예방에 만전을 기하시기를 당부 또 당부 드립니다

일상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안될 전기는 우리나라 화재발생 원인 중 수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이런 전기화재는 낡은 전기기구나 부실공사로 인해 발생도 하지만 대부분은 전기용품에 대한 지식이나 상식부족 또는 사용하는 사람의 부주의나 방심으로 인하여 전기기구의 과열 및 탄화상태를 가져와 발생하는 것으로 날로 증가하고 있음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는 바입니다 

 

친애하는 칠봉관광농장 고객 여러분! 그리고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전기용품을 사용시에는 올바른 사용법의 숙지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요원인으로서는


첫째

 전선의 합선 또는 단란에 의한 발화
전선이나 전기기구의 절연체가 파괴되거나 두가닥의 전선이 어떤 원인에 의해 서로 접촉하면서 순간적으로 큰 전류와 많은 열을 발생하는 현상

둘째 누전에 의한 발화
전선이나 전기기구 등이 낡아 절연불량 등의 원인으로 전류가 건물내의 금속체를 통하여 흐르게 되어 이로 인한 저항열에 의해서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

세째 과전류(과부하)에 의한 발화
전선의 허용 전류를 초과한 전류를 과전류라 하며 에어콘, 전기다리미, 전자레인지, 동력 등을 동시에 사용할 시 적정용량을 초과하여 불이 붙는 현상

넷째 기타 원인에 의한 발화
규격미달의 전선 또는 전기기계기구 등의 과열, 배선 및 전기기계기구 등의 절연불량 상태, 또는 정전기로부터의 불꽃

 

고객여러분!

화재는 대처요령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의 예방이라 할 것 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예방요령을  반드시 숙지 하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 예방요령
1.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플러그를 빼 놓읍시다.
2.퓨즈는 구리철사가 아닌 정격용량의 규격품을 사용합시다.
3.플러그를 뺄 때는 전선을 잡아 당기지 말고 플러그 몸체를 잡고 빼야 합니다.
4.문틈으로 전기 코드를 연결시키면 위험합니다.
5.전기 장판이 접히거나 무거운 물건에 눌리지 않게 합시다.
6.개폐기(두꺼비집)는 과전류 차단장치를 시설하고 습기나 먼지가 없는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부착합시다.
7.개폐기에 사용하는 퓨즈는 규격퓨즈를 사용하고 퓨즈가 자주 끊어질 경우 근본적으로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규명, 개선합시다.
8.각종 전기공사 및 전기시설 설치시 전문 면허업체에 의뢰하여 정확하게 규정에 의한 시공을 하도록 합시다.
9.콘센트에 플러그를 깊숙히 꽂지 않으면 흔들려 열이 발생하므로 완전히 꽂아 사용하도록 합시다.
10.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한달에 1∼2회 작동유무를 확인합시다.
11.전선이 꼬이거나 묶어서 사용하면 열이 발생하여 위험하므로 전선이 꼬이지 않도록 합시다.
12.전기담요는 자주 밟거나 접어서 사용하면 접힌 부분에 열이 발생하며, 각종 장식용 트리 등에 설치한 소형전구는 너무 오랫동안 사용치 않도록 합시다.
13.한개의 콘센트나 소켓에서 여러 선을 끌어 쓰거나 한꺼번에 여러 가지 전기기구를 꽂는 문어발식 사용을 하지 맙시다.
14.비닐전선은 열에 견디는 힘이 약하므로 백열전등이나 전열기구 등 고열을 발생하는 기구에는 고무코드 전선을 사용합시다.
15.비닐전선이나 양탄자 밑으로 전선이 지나지 않도록 합시다.
16.전기기구 구입시 『전』, 『검』, 또는 『KS』표시가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전에는 반드시 사용설명서를 읽어봅시다.
17.전선이 쇠붙이나 움직이는 물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합시다.

친애하는 칠봉관광농장 고객여러분! 그리고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겨울철에는 가급적 부부싸움을 자제 합시다

부부싸움은 사람의 정신을 흥분하게 하여 싸움의 감정을 다스리는데만 온 신경을 쏟기 때문에  가스렌지에 국이 끓어도 다리미 코드가 꽂혀 있어도 잊어버리고 기분전환을 위해  그냥 외출을 해버리는 우를 우리는 왕왕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누전/과부하 차단기가 있어도 전기화재가 발생할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 해야 하겠습니다

그 이유는  아크(스파크) 때문입니다.
아크(Arc)는 전선의 노후화로 인한 절연파괴, 햇빛에 의한 전선의 약화, 가구나 문틈에 끼인 전선의 손상, 전선의 지속적인 구부러짐, 플러그의 잘못된 연결 등에 의해 일어나게 됩니다.

 

아크에 관하여 정부나 소방관련기관에는 관련법규나 규정이 없어 현재 사용자 스스로 전기화재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실정입니다.

 

끝으로 상기 사항을 잘지켜 고객여러분의 겨울이 포근하고 따뜻한 겨울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칠봉관광농장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공무원 직급표  (0) 2012.10.17
경상도 사람들의 암호문  (0) 2012.10.17
전남 나주 국제농업 박람회  (0) 2012.10.13
우리들의 아버지  (0) 2012.10.13
대학을 기준하여 본 대선주자 유형  (0) 201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