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절기란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
입춘 |
절기
로 양력으로는 2월 4일경이다. 입춘 전날은 절분(節分)으로 불리며
철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로 '해넘이'라고도 불리면서 이날밤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한다.
붙이
고, 입춘절식(立春節食)이라 해서 고유의 절기 때 먹는 음식인
절식(節食)
으로 입춘날에 먹는 햇나물 무침이 있다. 입춘 기간에는 동풍(東風)
이 불
어 언 땅이 녹고, 동면(冬眠)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어류(魚類)가
얼음 밑을 다닌다고 한다. |
우수
(雨水) |
우수는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있는 음력 정월 중기(中氣)로
양력(陽曆)으로는 2월 19일경이다.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시
고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雨水)라고
한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大同江) 물이 풀린다 라는 옛말이 전해온다. |
경칩
(驚蟄) |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3월 6일경이다. 이 무렵은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草木)의 싹
이 돋고 동면(冬眠)하던 동물이 깨어 꿈틀 대기 시작한다는 의미
에서 명
칭이 정해졌다. 이 때의 풍속(風俗)에는 개구리 정충(精蟲)이 몸을
보(保)
한다고 해서 개구리 알을 잡아먹고, 흙 일을 하면 탈이 없다 해서 담
을 쌓
거나 벽을 바르는 일을 하고, 이 날 보리 싹의 성장상태로 보리 농사
의 풍
흉(風凶)을 점쳤다고 한다. |
춘분
(春分) |
춘분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있는 음력 2월 중기(中氣)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며 양력으로는 3월 21일경이다.
춘분 기간에는 제비가 날아오고, 우레소리가 들리며, 그 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고 한다
|
청명
(淸明) |
으로는
4월 5일경이다. 날씨를 이야기할 때 '청명하다'는 말을 사용하는 것
에서
알 수 있듯이 말고 깨끗한 기후의 시기다. 보통 중국 제(齊)나라의
개자
추(介子推)라는 인물에서 유래된 한식(寒食)날이 이 날을 전후해서
있어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라는 속담도 있다. |
곡우
(穀雨) |
곡우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중기(中氣)로
양력
으로는 4월 20일 경이다.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
해진다는
것이고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한 해 농사의 준비가 시작된다. |
입하
(立夏) |
양력
으로는 5월 6일경이다. 곡우(穀雨) 후 15일이다. 여름에 들어
섰다고 하여
입하라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하여
, ① 청개구리가 울고, ②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③ 왕과
(王瓜:쥐참외)
가나온다고 하였다. 음력에서는 보통 4, 5, 6월의 석달을 여름이라
고 하지
만 이것은 너무 엉성한 구분이고, 엄격히 입하 이후 입추 전날까지
를 여
름이라고 규정 짓는다.
|
소 만
(小滿) |
양력
으로는 5월 21일경이다. 의미는 만물(萬物)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收穫)을 하
기 시작한다. 소만 기간에는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
가며, 보리가 익는다고 한다. |
망 종
(芒種) |
망종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5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6월 6일경이다. 의미는 까끄라기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
기라는 뜻이고 모내기나 보리 베기가 완성되는 시기다. 망종
기간에는 까
마귀가 나타나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고 한
다. |
하 지
(夏至) |
하지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사이에 있는 음력 5월 중기(中氣)로
양력으
로는 6월 22일경이다. 이 날은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는데
,이는 지구 표면이 받는 열량(熱量)이 가장 많아진다는 것으로 이 열량
이 계속 쌓여 하지(夏至) 이후에 더욱 더워져 삼복(三伏) 시기에 가장
덥게된다. |
소 서
(小暑) |
小暑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절기(節氣)로
양력
으로는 7월 7일경이다. 날씨는 더위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시작된다.
|
대 서
(大暑) |
대서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중기(中氣)로
양력
으로는 7월 23일경이다. 대개 중복(中伏) 시기와 비슷해서
폭염의 더위
가 심한 시기이면서도 장마로 인해 많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
(立秋) |
입추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7월
절기(節氣)로
양력(陽曆)으로는 8월 8일경이다. 입추 기간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귀뚜라미가 운다. |
처 서
(處暑) |
양력
으로는 8월 23일경이다. 의미는 더위가 물러간다는 뜻이다. 처서
기간에
는 매가 새를 잡아 늘어 놓고,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 벼가 익는다고
한다. |
백 로
(白露) |
절기(節氣)로 양으
로는 9월 8일경이다.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
가 엉겨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힌다. 백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
추 분
(秋分) |
춘분
과 함께 밤낮의 길이가 같고 양력으로는 9월 23일경이다. 이
시기는 추수
기가 시작되고 백곡(百穀)이 풍성한 때이다. 추분 기간에는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구멍 창을 막고,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
한다고
한다. |
한 로
(寒露) |
양력
으로는 10월 9일경이다.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며,
단풍이 짙어
지고 여름새와 겨울새의 교체 시기에 해당하며
오곡백과(五穀百果)를 수
확한다. 한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모여들고, 참새가 줄어들고
조개가 나
돌며, 국화꽃이 노랗게 피어난다고 한다. |
상 강
(霜降) |
태양
이 양력으로는 10월 24일경이다.
이 시기에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져
수증기가
지표에 엉겨 서리가 내린다. 상강 기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초
목이 누렇게 변하고,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 속으로 숨는다고 한다.
|
(立冬) |
입동은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절기(節氣)로 양력
으로는 11월 8일경이다. 입동 기간에는 물이 비로서 얼고,
땅이 처음 얼
며,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
소 설
(小雪) |
소설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중절(中氣)로 양력
으로는 11월 23일경이다. 이 시기는 첫 겨울의 증후가 보여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대 설
(大雪) |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절기
(節氣)로 양력
으로는 12월 7일경이다.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이지만
실제 추
위의 계절은 동지(冬至)를 지나서부터다. |
동 지
(冬至) |
(中氣)로 양력
으로는 12월 22일경이다. 동지는 24절기 중에 직접적인 풍습이
가장 많이
있는 기간이다. 민간에서도 동지절식(冬至節食)을 먹었는데,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찹쌀로 옹시미 또는 새알심이라는 단자(團子)를
만들
어 넣어 먹고 또 역귀(疫鬼)를 쫓는다는 의미로 팥죽 국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
소 한
(小寒) |
절기(節氣)로 양력
으로는 1월 6일경이다.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지만 우리나라는
소한 때가
더 추워 "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이
생겨났다. |
대 한
(大寒) |
대한은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중기
(中氣)로 양력
으로는 1월 21일경이다.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大寒)
이지만 실제는 소한(小寒) 때가 더 춥다. |
11.11 예
'농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주택 (0) | 2013.02.11 |
---|---|
[스크랩] 보기힘든 유럽의 각종 첨단 농기구들 ★ (0) | 2013.01.29 |
[스크랩] 씨앗발아촉진을 위한 농황산처리 방법 (0) | 2012.10.28 |
[스크랩] 육묘장신설 (0) | 2012.10.28 |
[스크랩] 씨앗발아촉진을 위한 농황산처리 방법 (0) | 201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