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書 三經(사서삼경)
사서삼경 또는 사서 오경은 유교의 핵심 경전 일곱 또는 아홉 권을 말한다.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삼경은 《시경》, 《서경》, 《역경(주역)》을 말하고,
이에 《춘추경(춘추)》, 《예경(예기)》를 더하면 사서오경이 된다.
또, 사서오경에 송대에 추가된 《주례(周禮)》,《의례(儀禮)》,
《이아(爾雅)》,《효경(孝經)》의 네 권을 더하고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중용과 대학은 예기의 한 부분이니 하나로 간주하고,
춘추를 주석 단 사람에 따라 춘추삼전(三傳)으로 세면 9+4-2+2, 즉 십삼경이 된다.
조선시대 천재의 기준. 사서삼경을 어려서 다 떼면 천재 소리를 들었다.
여기서 뗐다는 건 그걸 다 외워서 줄줄 얘기할 수 있다는 소리.
위인전을 보면 열살 이전에 다 떼었다는 인물들이 워낙 많아서 그런가보다
하지만 초등학생이 고등고시 과목을 마스터했다는 얘기다...
더 쉽게 말하자면 유치원생~초등학생이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전 과목 마스터 했다고 보면 된다.
四書
《논어》흔히 공자의 저작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사실 공자가 세상을 떠난 후 그의
제자들이
그의 언행을 모아 책으로 펴낸
것
《맹자》 맹자가 저술하였다.
《대학》오늘날 일반적으로 읽히는 대학은
주희의 편집을 거친 것으로, 주희의
"대학집주"와
그에 따른 해석을 기본으로 한다.
《중용》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썼다고
알려져있으며,
유교의 기초가 되는
책이다.
三經(삼경)
《시경》현대의 시를 의미하기
보다는
율(律)이 있는 주나라 시대의 노래를 담은
민요집에 가까운 작품이다
《서경》요순시대, 하나라, 상나라,
주나라의
왕들이 내린 포고문, 신하들의 상소, 왕의 연설문 등
각종 정치문헌을 모아둔
것이다.
공자가 편찬하였다고 전한다.
《역경(주역)》본래 이름은
역(易)이며,
주나라 때 지어졌다고 해서
주역(周易)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역경(易經)이라고도 불린다.
五經(오경)
《춘추경(춘추)》공자가 편집하여 저술한
것이
확실한
서적이다.
일단 사서삼경에는 포함되지 않고,
사서오경이 되면 예기와 함께 들어간다.
《예경(예기)》오경 중의 하나인데
예경(禮經)이라 부르지 않는 이유는 예기(禮記)란
삼대(하, 은, 주)의
예법에 대한 기록
혹은
그에 대한 주석이기 때문이다.
사서 삼경에 대한 상식적 주석을 달어보았다.
옮겨온글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때 그시절 (0) | 2016.12.12 |
---|---|
세계인들이본 미스데리 한국 (0) | 2016.12.11 |
아버지에게 쓴 편지 (0) | 2016.11.26 |
姦臣의 다섯 가지 類型(유형) (0) | 2016.11.26 |
병신년의 문제 (0) | 2016.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