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어쩌구 저쩌구

[東西班 관계]

칠봉인 2013. 4. 11. 23:54

[東西班 관계]

 

무릇 직함(職啣)은,

먼저 품계

다음이 관청이요

다음이 직위이다.

 

(주) 例  가선대부(품계) 사헌부(관청) 대사헌(직위)

 

품계가 높고 직위가 낮으면 행(行)이라 하고,

품계가 낮고 직위가 높으면 수(守)라고 하는데,

行(행)ㆍ守(수)라는 글자는 관청 이름 위에 놓는다.

 

(주) 예 정3 품 통훈대부(通訓大夫)가 정5 품 사헌부 지평을 하는 경우

      通訓大夫 司憲府 持平이라고 하고

例  팔오헌 김성구 선생의 경우처럼 정 3품 통정대부로서 종 2품직인 관찰사를 한 경우.

     通政大夫 江原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라고 한다.

 

(주) 종 4품 이상을 대부(大夫)라 하고,

      정 5품 이하를 랑(郞)이라 칭한다.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議政).

        상보국숭록대부(上輔國崇祿大夫) 국구(國舅)ㆍ종친(宗親)ㆍ의빈(儀賓).

    ○ 종친(왕족)은 현록대부(顯祿大夫)ㆍ흥록대부(興祿大夫)요,

        의빈(부마)은 유록대부(綏祿大夫)ㆍ성록대부(成祿大夫)이다. 보국숭록대부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ㆍ숭정대부(崇政大夫) 종친은 의덕대부(宜德大夫)ㆍ

        가덕대부(嘉德大夫)이요, 의빈은 정덕대부(靖德大夫)ㆍ명덕대부(明德大夫)이다.

 

정2품 정헌대부(正憲大夫)ㆍ자헌대부(資憲) 종친은 숭헌대부(崇憲)ㆍ승헌대부(承憲大夫)이요.

        의빈은 봉헌대부(奉憲大夫)ㆍ통헌대부(通憲大夫)이다.

 

종2품 가의대부(嘉義大夫)ㆍ가선대부(嘉善大夫) 종친은 중의대부(中義大夫)ㆍ

        소의대부(昭義大夫)요, 의빈은 자의대부(資義大夫)ㆍ순의대부(順義대부)이다.

 

당상 정3품 동반(東班).통정대부(通政大夫) 서반(西班) 절충장군(折衝將軍) .

        종친은 명선대부(明善大夫)이요, 의빈은 봉순대부(奉順大夫)이다.  이상 당상관

 

당하 정3품 동반(東班). 통훈대부(通訓大夫) 서반(西班) 어모장군(禦侮將軍) .

       종친은 창선대부(彰善)이요, 의빈은 정순대부(正順)이다.

종3품 동반 중직대부(中直大夫)ㆍ중훈대부(中訓大夫) .서반. 건공장군(建功將軍)ㆍ

       보공장군(保功將軍) 종친은 보신대부(保信大夫)ㆍ자신대부(資信大夫)이요,

       의빈은 명신대부(明信大夫)ㆍ돈신대부(敦信大夫)이다.

 

정4품 동반. 봉정대부(奉正大夫)ㆍ봉렬(奉列大夫) 서반. 진위장군(振威將軍)ㆍ

        소위장군(昭威將軍) 종친은 선휘대부(宣徽大夫)ㆍ광휘대부(廣徽大夫)이다.

 

종4품 동반 조산대부(朝散大夫)ㆍ조봉(朝奉大夫) .서반 정략장군(定略將軍)ㆍ

        선략장군(宣略將軍 ). 종친은 봉성대부(奉成大夫)ㆍ광성대부(光成大夫)이다.

 

정5품 통덕랑(通德郞)ㆍ통선랑(通善郞) 동반. 과의교위(果毅校尉)ㆍ충의교위(忠毅校尉)

        서반. 종친은 통직랑(通直郞)ㆍ병직랑(秉直郞)이다.

 

종5품 봉직랑(奉直郞)ㆍ봉훈랑(奉訓郞) 동반. 현신교위(顯信校尉)ㆍ창선교위(彰善校尉)

        서반. 종친은 근절랑(謹節郞)ㆍ신절랑(愼節郞)이다.

 

정6품 승의랑(承議郞)ㆍ승훈랑(承訓郞) 동반. 돈용교위(敦勇校尉)ㆍ진용교위(進勇校尉)

        서반. 종친은 집순랑(執順郞)ㆍ종순랑(從順郞)이다.

 

종6품 선교랑(宣敎郞)ㆍ선무랑(宣務郞) 동반. 여절교위(勵節校尉)ㆍ병절교위(秉節校尉)

       서반. 6품 이상 정 5품 통덕랑까지 참상관이라 하고

               7품 이하를 참하관이라 부른다

정7품 무공랑(務功郞) 동반. 적순부위(迪順副尉) 서반.

종7품 계공랑(啓功郞) 동반. 분순부위(奮順副尉) 서반.

정8품 통사랑(通仕郞) 동반. 승의부위(承義副尉) 서반.

종8품 승사랑(承仕郞) 동반. 수의부위(修義副尉) 서반.

정9품 종사랑(從仕郞) 동반. 효력부위(効力副尉) 서반.

종9품 장사랑(將仕郞) 동반. 전력부위(展力副尉) 서반.

 

○ 종2품 이상은 동ㆍ서반의 품계가 같다.

○ 지금 임금(고종) 2년에 종친ㆍ의빈은 모두 동반의 품계를 따르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