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대미인(四大美人)
중국 고대 소설 중에 자주「침어낙안(浸魚落雁)의 용모,
폐월수화(閉月羞花)의 아름다움」이라는 말로
여인의 아름다움을 형용한다.
원래 침어(浸魚), 낙안(落雁), 폐월(閉月), 수화(羞花) 는
고대의 사대미인 즉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초선(貂蟬), 양귀비(楊貴妃)를 가리키는 말이다.
각각의 칭호에는 재미있는 고사가 있다.
침어(浸魚)-서시(西施)
서시는 춘추말기의 월나라의 여인이다.
어느 날 그녀는 강변에 있었는데 맑고 투명한 강물이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 을 비추었다.
수중의 물고기가 수영하는 것을 잊고 천천히 강바닥으로 가라앉았다.
그래서 서시는 침어(浸魚)라는 칭호 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그녀에게도 결점이 있었으니, 귀가 기형적일만큼 작았단다.
낙안(落雁)-왕소군(王昭君)
한(漢) 대의 왕소군은 재주와 용모를 갖춘 미인이다.
한 원제는 북쪽의 흉노를 다독거리기 위해
그녀를 선발하여 단우씨와 결혼을 하게 하였다.
집을 떠나가는 도중 그녀는 멀리서 날아가고 있는 기러기를 보았다.
고향생각이 물밀 듯 밀려와서 금(琴)을 탔다.
한 무리의 기러기가 금(琴) 소리를 듣고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져 내렸다.
이에 왕소군은 낙안(落雁)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이런 그녀에게도 역시 결점이 있었나니,
어깨가 체형에 비해 너무 작았다고 한다
춘추시대의 서시(西施), 삼국시대의 초선(貂蝉), 당의 양귀비(楊貴妃)와 함께
중국 사대미인(四大美人) 중 한 여인. 당시 황제는 흉노의 선우(왕)가
공주를 요구하자 그림만 보고 후궁 중 가장 못생겼다고 여긴 왕소군을
공주 대신 시집보내게 되었다. 그러나 출발 즈음에 그녀를 본 황제나
신하들은 그 절세의 미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일은 이미 결정된 것, 늙은 흉노왕에게 시집간 그녀는 아들 하나를 낳았으며,
그 뒤 흉노왕이 죽자 흉노의 풍습에 따라 왕위를 이은 그의 정처(正妻)
아들에게 재가하여 두 딸을 낳고 그곳에서 생을 마쳤다고 한다
昭君怨(소군원)
[왕소군의 원한]
胡地無花草(호지무화초) 오랑캐 땅에는 꽃과 풀이 없으니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구나!
自然衣帶緩(자연의대완) 저절로 옷의 띠가 느슨해지니
非是爲腰身(비시위요신) 이는 허리 때문이 아니라네.
이 시(詩)는 궁중 화가에 뇌물을 주지 않아
초상화를 잘못 그림으로 흉노족의 선우(單于)에게 시집을 가야했던
왕소군(王昭君)의 심정을 당나라의 시인 동방규(東方叫)가 대신 노래한 시다.
왕소군이 억울하게 시집간 만 리 이역 몽고 땅은 삭막한 사막이니
만물이 소생하는 봄이 되어도 꽃과 풀도 나지 않아 봄이 와도 봄을 느낄 수 없다.
고국에 있는 궁녀들은 황제의 총애를 얻기 위해 일부러 허리를 가늘게 하고자
애쓰지만, 불행한 왕소군은 운명의 수레바퀴 속에 삶이 너무나 힘들고 괴로워
몸은 나날이 야위어 가고 허리도 자꾸만 가늘어져 옷의 허리띠는 느슨해지고 있다.
폐월(閉月)-초선(貂蟬)
초선은 삼국지 시대인 동한 말년 왕윤의 가기(요즘의 가수)였다.
그녀를 가르켜 천향국색(國色天香)이라한다.
나라를 망하게 할 정도로 대단한 미녀라는 경성지모(傾國傾城之貌),
경국지색(傾國之色)은 모두 그녀에게서부터 나온 고사이다.
그녀는 용모가 명월같았을 뿐 아니라 노래와 춤에 능했다.
어느 날 저녁에 화원에서 달을 보고 있을 때에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리웠다.
왕윤이 말하기를 :"달도 내 딸에 게는 비할 수가 없구나.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고 하였다.
이 때 부터 초선은 폐월(閉月)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그녀에게도 역시 결점이 있었나니, 그녀의 발은 왕발이었다.
수화(羞花)-양귀비(楊貴妃)
당대(唐代)의 미녀 양옥환(楊玉環)은 당명황(唐明皇)에게
간택되어져 입궁한 후로 하루 종일 우울했다.
어느 날 그녀가 화원에 가서 꽃을 감상하며 우울함을 달래는데
무의식중에 함수화(含羞花)를 건드렸다.
함수화는 바로 잎을 말아 올렸다. 당명황이 그녀의
" 꽃을 부끄럽게 하는 아름다움" 에 찬탄하고는
그녀를 "절대가인(絶對佳人)"이라고 칭했다.
그러나 이러한 그녀에게도 역시 결점이 있었나니,
그녀의 지독한 암내는 기네스북 감이다.
그녀는 암내를 극복하기 위해 꽃에서 우러나온 물로 목욕을 했다나...
자 여기서 글을 마치면서 퀴즈 하나 맞춰보십시오-
양귀비의 발 사이즈는 얼마나 됐을까?
정답은 10센티미터 정도이다. 전족이 얼마나 고통 스럽고
무서운 것인가를 이 10센티미터가 잘 느끼게 한다.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대 농장주 취임사 (0) | 2012.05.24 |
---|---|
헬렌켈러와 앤 설리반 (0) | 2012.05.24 |
각국의 '손가락 표현' 의미의 차이 (0) | 2012.05.24 |
(육성)제7대 대통령 취임사 육성 (0) | 2012.05.23 |
[스크랩] 역사속의 숭례문 (0) | 201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