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켈러와 앤 설리반
*(미국의 사회복지 사업가. 생후 얼마 되지 않아 눈이 보이지 않고,
귀도 들리지 않고, 말도 하지 못하는 3중의 고통을 지고 있었으나
설리반 여사의 노력으로 하버드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게까지 되었다.
전 생애 맹, 농아를 위해서 헌신, 희망과 복음을 전해 주었다.
눈은 보이지 않고 귀도 들리지 않고 말도 하지 못하는 삼중의 고통을 극복하고
사회복지를 위해서 생애를 바친 헬렌 켈러. 그녀는 그 때문에 "기적의 사람"이라 불린다.
헬렌 켈러는 생후 1년 반 동안은 발육이 좋은 아기였다.
그러나 생후 19개월 때 중병에 걸려서 시력, 청력과 언어 발생력을 상실해 버린 것이다.
설리반도 또한 불행한 과거를 지니고 있는 여성이었다.
10살 때 남동생과 함께 고아원에 보내어져 기기서 학대와
고통의 하루하루를 보내면서 성장했던 것이다. 불결하고
빈약한 환경 가운데서 남동생은 죽어 갔다.
그녀도 또한 눈병에 걸려 실명직전까지 간 적도 있었다.
그후 파킨스맹학교 에서 교사를 하고 있던 무렵에
헬렌켈러의 가정교사의 이야기가 있었던 것이다.
아직 겨우 20세가 된 설리반은 인내심이 강하고
애정이 깊고 그리고 신앙심이 있는 사람이었다.
그녀가 처음으로 본 헬렌켈러는 이미 6세가 되었는데도
아무런 교육이 되어 있지 않았고 손으로 음식을 먹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닥치는 대로 주위의 물건을 집어던지는 야수 그 자체였다.
그날부터 설리반과 삼중고의 소녀와의 싸움이 시작되었다.
얼굴을 씻는 것도 머리카락을 빗는 것도, 나이프와 포오크로
식사를 하는 것도 헬렌과 격투를 하면서 가르치지 않으면 안되었던 것이다.
단지 울어대는 것과 소리를 지르는 것으로 의사를 표현해왔던
헬렌은 엄격한 교육에 전신으로 반항했다.
설리반은 신중하고 끈기있게 단 하나 남아있는 인식의 창구인
촉각을 통해서 암흑 에 갇힌 영혼을 향해서 자극을 준 것이다.
그때까지 갇혀있던 헬렌의 마음이 조금이나마 열리기 시작한 것은
지화법에 의해서<인형>이란 말을 헬렌이 알게 된 때였다.
헬렌의 기억력과 상상력은 다행스럽게도 무척 강했다.
처음에는 신기한 것 같았지만 반복해서 가르치는 중에
<인형>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자 마치 둑이 터진 것처럼
헬렌의 지식욕은 넘쳐 났던 것이다.
아는 기쁨, 그것이 암흑의 세계로부터 세상 속으로 끌어내었던 것이다.
헬렌의 잠자고 있던 마음은 눈뜨기 시작하고
폭발적인 격렬함으로 언어를 흡수했던 것이다.
모든 사물에 이름이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의 헬렌의 놀람은
그녀를 육체적으로 쇠약하게 할 정도였다고 한다.
1900년 20세가 된 헬렌은 하버드대학의 레드크리프 컬리지에 입학했다.
그때에 그녀는 "나는 이제 농아가 아닙니다"라고 말했다.
지화법이나 점자, 발성을 배워 정상인 이상의 지식을 얻어서
대학에 입학한 그녀의 그것이 제일 첫마디였다.
그리고 4년 후 세계 최초의 대학교육을 받은 맹, 농아로서
그녀는 우수한 성적으로 대학을 졸업한 것이다.
이 기적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경탄과 찬사를 받았다.
그 해 센트 힐 박람회에서 <헬렌 켈러의 날 >이
제정되어 헬렌은 처음으로 강연을 했다.
그후 그녀는 미국 본토는 물론 해외에서도 강연 여행에 나서
맹인 및 신체장애자에 대한 세상의 이해와 협력을 구하고
사람들에게 커다란 희망과 복음을 심어 주었다.)*
*****
보스턴의 한 보호소에 앤(Ann)이란 소녀가 있었습니다.
엄마는 죽었고 아빠는 알코올 중독자였습니다.
아빠로 인한 마음의 상처에다 보호소에 함께 온 동생마저 죽자
앤은 충격으로 미쳤고 실명까지 했습니다.
앤은 수시로 자살을 시도하고 괴성을 질렀습니다.
결국 앤은 회복 불능 판정을 받고 정신병동 지하 독방에 수용되었습니다.
모두 치료를 포기했을 때 노(老)간호사인
로라(Laura)가 앤을 돌보겠다고 자청했습니다.
로라는 날마다 과자를 들고 가서 책을 읽어주고 기도해 주었습니다.
그렇게 한결같이 사랑을 쏟았지만 앤은 담벼락처럼 아무 말도 없었고,
앤을 위해 가져다 준 특별한 음식도 먹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결국 앤은 그 간호사에게 조금씩 마음을 열기 시작했고
2년 뒤 앤은 정상 판정을 받아 파킨스 시각장애아 학교에 입학했고
교회에 다니면서 신앙심으로 밝은 웃음을 찾았습니다.
그 후 로라가 죽는 시련도 겪었지만 앤은 로라가 남겨준
희망을 볼 수 있는 마음의 눈으로 시련을 이겨내고
학교를 최우등생으로 졸업했고 한 신문사의
도움으로 개안 수술에도 성공했습니다.
수술 후 어느 날, 앤은 신문기사를 봤습니다.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아이를 돌볼 사람 구함!"
앤은 그 아이에게 자신이 받은 사랑을 돌려주기로 결심했습니다.
사람들은 못 가르친다고 했지만 앤은 말했습니다.
"저는 하나님의 사랑을 확신해요."
결국 사랑으로 그 아이를 20세기 최대 기적의 주인공으로 키워냈습니다.
헬렌켈러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으나
그녀의 스승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삼중고를 안고 있는 헬렌켈러를
전 세계가 놀라게 한 인물로 만든 사람이 바로
앤설리반 (ANN SULLIVAN)입니다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忍 (참을인) 자의 비밀 (0) | 2012.05.25 |
---|---|
제2대 농장주 취임사 (0) | 2012.05.24 |
중국의 사대미인(四大美人) (0) | 2012.05.24 |
각국의 '손가락 표현' 의미의 차이 (0) | 2012.05.24 |
(육성)제7대 대통령 취임사 육성 (0) | 201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