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어쩌구 저쩌구

미스박 이야기

칠봉인 2012. 12. 24. 09:41

朴瑾惠가 걸어온 길

 

 박근혜 제18대 대통령 당선

청와대서 부모 모두 총탄에 잃고…
33년전 동생 둘 데리고 떠나
고독의 세월 18년 끝에 정치 결심 대통령 돼 청와대로 귀환

 

박근혜 18대 대통령 당선인은 내년 2월 청와대에 돌아간다.

33년 3개월 만이다. 신분은 대통령의 딸에서 대통령으로 바뀌게 된다.

◇학창 시절

그는 1952년 2월 2일 대구시 삼덕동 셋집에서 대령
박정희육영수의 첫딸로 태어났다.

1961년 5·16 때 서울 장충초등학교 4학년생이었던 그는 다음 해

아버지가 제5대 대통령에 선출됐지만 서울 신당동 외할머니 집에서 학교를 다녔다.

자식들이 특권 의식을 갖게 될 것을 염려한 어머니의 결정이었다.

성심여중 2학년 때 학교 기숙사가 폐쇄되면서 청와대로 들어가 전차로 통학했다.

생활기록부를 보면 성심여중과 성심여고 재학 시절 6년 내내 반에서 1등을 했다.

중학교 1학년 2학기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반장을 맡았다.

 

 

 

1960년대 중반 청와대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 가족이 둘러앉아 놀이를 하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박 당선인, 동생 근령·지만씨, 육영수 여사.

                    /박근혜 당선인 측 제공

 

1970년 "산업 역군이 돼 나라에 기여하고 싶다"며 서강대 전자공학과에 진학했다.

대학 3학년 때 박 전 대통령이 '10월 유신(維新)'을 추진하면서 대학가에 반(反)정부

분위기가 고조됐다. 박 당선인은 "점점 학과 공부에 매달렸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었다"고 했다. 졸업 때 이공계 수석이었다.

◇퍼스트레이디 시절

1974년 8·15 경축 행사에서 어머니가 문세광에게 저격당해 숨지자

그는 프랑스 유학 생활을 접고 귀국했다.

22세 때부터 퍼스트레이디 역할을 맡았다.

당시 심정을 "소탈한 생활, 한 인간으로서의 나의 꿈,

이 모든 것을 집어던지기로 했다"(1974. 11.10. 일기)고 적었다.

아버지가 기업체를 방문하거나 국토 시찰에 나설 때 수행했다.

거의 매일 아버지와 둘이 아침식사를 했다.

그때 아버지와 국정 전반에 관해 나눈 대화를

"누에고치에서 깨어나 나비가 되는 일"이라고 했다.

그는 1970년대 말 구국봉사단을 운영했던 고(故) 최태민 목사(1912 ~1994)를 만났다.

검증 때마다 최 목사 얘기가 빠지지 않았으나 그는 "내가 어려운 시절에 도운 분"이라고 했다.

 

(사진 왼쪽)중학교 2학년 때 산정호수로 소풍 갔을 때
  반 친구들과 촬영한 단체 사진. 하얀 점선으로 표시된
  여학생이 박 당선인. (사진 오른쪽)고교 시절인 1960년대
  말 야외에서 기타를 치고 있는 박 당선인.“노래 부르는 것보다는
  기타 치는 게 더 좋았다”고 했다.
             /박근혜 당선인 측 제공

1979년 10월 27일 새벽 1시 30분쯤 그는 아버지가 저격당해 사망했다는 보고를 받고

"전방에는 이상이 없습니까"라고 물었다.

장례식을 치른 뒤 아버지의 피 묻은 넥타이와 와이셔츠를 빨면서 오열했다.

"5년 전 어머니의 피 묻은 한복을 빨던 기억이 겹쳤다"고 했다.

◇인고의 18년

그는 1979년 11월 21일 두 동생 근령·지만을 데리고

청와대에서 서울 신당동 사저로 돌아왔다.

1982년 8월 경남기업 신기수 회장이 마련해준 서울 성북동 주택으로 이사했다.

신당동 집이 부모님의 유품을 보관하기엔 비좁았는데,

마침 박 전 대통령과 인연이 있었던 신 회장이 집을 지어줬다는 것이다.

한때 신 회장과 약혼설이 나돌기도 했으나, 박 당선인은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고 했다.

1980년 4월 영남대 이사장으로 취임했지만, 재학생들의 반발 등으로

 7개월 만에 물러난 뒤 이사직을 유지하다 1988년 11월 이사직에서도 사퇴했다.

제5공화국이 들어서면서 박 전 대통령 격하(格下) 운동이 벌어졌다.

지인들은 "차라리 외국에 가서 사는 게 어떠냐"고 권유했지만, 그는 거절했다.

마음을 다잡기 위해 1981년 한 학기 동안 예장신학대학원을 다녔고

법구경·금강경 등 불교 경전을 읽었다. 일기도 쓰기 시작했다.

 

1979년 11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장례 절차를 모두 마친
  박 당선인이 그동안 살던 청와대를 떠나기 위해 승용차를 타고 있다.

 

박 당선인은 아버지 10주기인 1989년을 1년 앞둔 1988년부터
 

아버지의 공을 기리는 내용의 본격적인 언론 인터뷰를 했고,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사업회도 발족했다

.

박 당선인은 "1989년은 수년간 맺혔던 한을 풀었다고 해도

 

좋을 한 해"(1989.12. 30. 일기)라고 적었다

.
1990년 동생 근령을 지지하는 '숭모회'가 육영재단 이사장인

 

자신의 퇴진 운동을 벌이자 1992년 자리를 물려주었다

.

이후 청바지 차림으로 산과 문화 유적지를 찾아 다녔다

.

그는 자서전에서 "퍼스트레이디로 있을 땐 결코 누려보지 못한 평화로움이었다"고

 

 했다.

 

40대가 되면서 여러 차례 '정치권의 러브콜'을 받았지만 사양했다.

◇정치 입문


그는 1997년 대선 직전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가 지원을 요청하자

아버지의 고향인 경북 구미 지구당에 입당 원서를 제출했다.

"IMF 위기를 맞아 지난 세대가 이뤄놓은 많은 것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아찔함 때문에 정치인의 길을 가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사진 왼쪽)

 박 당선인의 20대(代) 모습. 지금처럼 올림머리 스타일이 아니라

 머리를 내린 채 머리띠를 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

  박 당선인이 한나라당 대표였던 2004년 3월

  당 현판을 떼어낸 뒤 천막 당사로 옮기는 모습.

              /박근혜 당선인 측 제공

이듬해 4월 재·보선에서 대구 달성에 출마해 당선됐다.

한나라당 부총재가 된 그는 2002년 2월 이회창 총재의 1인 체제를 비판하며

당권·대권 분리와 국민참여경선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탈당했다.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해 사실상 대선 준비를 했으나 여의치 않자 대선을 한 달

앞두고 복당했다. 이회창 후보가 또 패배하자, 2004년 총선을 앞두고 당대표로 선출됐다.

한나라당의 '차떼기(정치자금 수수) 파문'과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전망이 어둡던

총선에서 '천막 당사'를 발판으로 121석을 얻었다. 그 뒤 2006년 6월 대표를 물러날 때까지

2년 3개월 동안 사실상 모든 선거를 승리로 이끌었다.

2006년 5·31 지방선거 유세 도중 면도칼 테러를 당했다.

의사는 "1㎝만 깊었어도 목숨이 위험했다"고 했다.

병상에서 선거 상황을 보고받자 그는 "대전은요?" 하고 말했다.

◇2007년 실패 후 재도전


그는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에 출마했지만

이명박 전 서울시장에게 패했다.

 "저 박근혜, 경선 결과에 깨끗하게 승복합니다"고 했다.

이명박 후보는 그를 '국정의 동반자'라고 했으나,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부터 두 사람의 갈등은 고조됐다.

'박근혜 총리 카드'를 둘러싸고 혼선을 빚더니,

2008년 4월 총선 때 김무성 의원 등 친박(親朴)계 인사가 대거 공천 탈락하자

그는 "나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고 했다.

공천에서 탈락한 친박은 무소속 또는 '친박연대'로 출마해

상당수 국회로 재입성했다. 이 대통령과 박 당선인의 갈등은

2009 ~2010년 세종시 수정안 논란에서 폭발했다.

그는 정치 시작 후 처음으로 국회에서 반대 연설까지 하며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을 부결시켰다. 하지만 두 사람은

2010년 8월 만나 정권 재창출을 위한 공동 노력에 합의했다

 

늘건강행복하세요

 

 
그는 2011년 가을 한나라당이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후
흔들리자 2011년 12월 비상대책위원장에 취임,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바꾸면서 당 개혁을 주도했다.
4·11 총선에서 국회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8월 20일 전당대회에서
득표율 84%로 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그는 이어 과거사 문제로 야권의 집중 공격을 받았다.
9월 24일 기자회견에서 "5·16과 유신, 인혁당 사건 등은
헌법 가치가 훼손되고 정치 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했다.
10월 22일에는 정수장학회의 명칭 변경과 이사진 사퇴를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10월 26일 박 전 대통령의 33주기 추모 행사에선
"그 시대의 아픔과 상처는 제가 안고 가겠다.
이제 (사람들이) 아버지를 놓아 드렸으면 한다"고 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중도 사퇴한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 심상정 진보정의당 의원의 지원과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의 사퇴를 발판으로 막판까지 추격했지만,
박 당선인은 국민 대통합과 '준비된 여성 대통령'을 내세우며 승리했다

      

                                              김월녀/ 여자 대통령  황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서삼경  (0) 2012.12.24
태창,쌍방울,독립문에 바란다  (0) 2012.12.24
[스크랩] 왜 거기들 들어가 계시는 거에요?  (0) 2012.12.21
전두환과 김일성  (0) 2012.12.20
우리는 무식한 부부  (0) 2012.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