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조선부터 조선까지의 연표
- 2333년 단군(檀君), 고조선 건국
1100년경 고조선, 8조금법(八條禁法) 시행
1000년경 고조선의 발전, 청동기시대
450년경 부여 성립
400년경 철기시대
300년경 한(漢)문자 전래
194년 요동의 위만(衛滿) 망명, 고조선의 왕이 됨(위만조선)
108년 고조선 멸망. 한군현 설치
57년 신라 건국(삼국사기)
37년 고구려 건국(삼국사기)
18년 백제 건국(삼국사기)
17년 고구려 유리왕, 《황조가》
【기원후】
3년 고구려, 국내성으로 천도
53년 고구려, 태조왕 즉위(∼146)
194년 고구려, 진대법(賑貸法) 실시
234년 백제, 고이왕 즉위
244년 고구려, 위(魏)의 관구검 침공
260년 백제, 율령 반포, 16관등과 공복 제정
313년 백제·고구려의 협공, 낙랑군 소멸
356년 신라, 내물왕 즉위
372년 고구려, 불교 전래· 태학 설치. 백제, 동진(東晉)에 사절 보냄
384년 백제, 불교 전래
405년 백제, 왜에 한학 전함
414년 고구려, 광개토재왕비 세움. 장군총(將軍塚) 축성
427년 고구려, 평양 천도
433년 나제동맹 성립
458년 신라, 고구려의 묵호자가 불교 전파
475년 백제, 웅진(→공주) 천도
494년 부여,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
502년 신라, 우경법 실시
503년 신라, 국호·왕호 결정
512년 신라, 우산국(于山國→울릉군) 정벌
520년 신라, 율령 반포, 백관의 공복 제정
527년 신라, 이차돈 순교. 불교 공인
532년 금관가야. 신라에 멸망
538년 백제, 사비성 천도
545년 신라, 《국사》 편찬
552년 백제, 왜에 불교 전함
562년 대가야, 신라에 멸망
598년 수(隨) 문제(文帝), 고구려 침공
602년 백제, 왜에 천문·역사·지리·방술서 등을 전함
612년 고구려, 살수대첩
624년 고구려, 당으로부터 도교 전래
632년 신라, 경주 첨성대 건립
645년 고구려, 안시성 싸움 승리
646년 고구려, 천리장성 완성
660년 백제 멸망
668년 신라,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 포위. 고구려의 보장왕 항복. 고구려 멸망.
669년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
670년 고구려 유민 검모잠(劍茅岑)이 한성에서 안승(安勝)을 추대하고 부흥운동 전개.
672년 신라, 고구려병과 합세하여 백수성(白水城) 근처에서 당군 격파.
673년 신라, 김유신 죽음(575~). 당군이 고구려의 우잠성(牛岑城) 공략.
674년 당나라가 유인궤(劉仁軌)를 계림대총관(鷄林大總管)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675년 신라, 옛 고구려 남쪽지역에 주군(州郡) 설치. 설인귀(薛仁貴)의 당군 대파.
676년 의상(義湘)이 부석사(浮石寺) 창건.
682년 신라, 국학(國學)을 개편. 687년 신라, 전국을 9주(州) 5소경(小京)으로 편성.
692년 신라, 신문왕 죽고(?~), 효소왕(孝昭王) 즉위(~702). 설총이 이두(吏讀)를 정리.
696년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을 통합.
698년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이 진(震)을 건국.
713년 발해, 국호 진(震)을 발해로 고침.
723년 신라, 처음으로 왜국에 사신을 보냄. 혜초가 서역(西域)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저술.
733년 신라, 당나라의 패강(浿江) 이남 영유를 승인.
751년 신라, 대상(大相) 김대성(金大成)이 불국사(佛國寺) 창건.
756년 발해, 돈화(敦化) 동모산(東牟山)에서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로 천도.
759년 신라 국학을 대학감(大學監)으로 개칭.
768년 신라, 대공(大恭)의 난 발생. 5도(五道) 주군(州郡)의 96각간(角干)이 서로 싸움. 대공 피살.
770년 신라,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주조.
780년 신라, 김지정(金志貞)의 반란. 혜공왕과 왕후 살해됨. 김양상(金襄相)이 김지정을 죽이고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785)
785년 신라, 9주(州)의 총관(總管)을 도독(都督)으로 고침.
788년 신라, 처음으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를 설치.
794년 발해, 국도를 동경(東京)에서 다시 상경용천부로 옮김.
801년 신라, 5묘(五廟)의 제(制)를 개정. 탐라국(耽羅國)이 사신을 보내어 조공(朝貢).
802년 신라,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 창건. 3층석탑 건립.
804년 신라, 왜국의 국사(國使) 와서 황금 3백량을 바침.
805년 신라, ‘공식(公式) 20여조(條)’를 반포.
809년 신라, 김언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788~), 헌덕왕(憲德王) 즉위(~825). 발해, 강왕 죽고(?~),
정왕(定王) 즉위(~813).
817년 발해, 연호를 태시(太始)로 함.
819년 신라, 사방에서 초적(草賊)이 일어남. 당나라에 군사를 보내어 이사도(李師道)의 난 평정을 지원.
822년 신라, 김헌창(金憲昌)의 난 일어남. 실패하여 김헌창 자살.
826년 신라, 헌덕왕 죽고(?~), 흥덕왕(興德王) 즉위(~836).
828년 신라, 장보고(張保皐)가 완도에 청해진(靑海鎭)을 일으켜 대사(大使)에 임명됨.
838년 희강왕 자살하고 민애왕(閔哀王) 즉위(~839). 김양(金陽)이 청해진에서 반란.
839년 신라,장보고를 청해진장군으로 삼음.
846년 신라의 장보고 반란, 염장(閻長)에게 피살.
877년 고려의 태조 탄생.
889년 신라, 원종(元宗)˙애노(哀奴)의 난 일어남.
892년 견훤, 무진주(武珍州)에서 스스로 왕이 되어 후백제를 건국.
897년 신라, 진성여왕이 효공왕(孝恭王)에게 선위(禪位).
898년 궁예, 송악부(松岳部)로 본거를 옮김. 899년 북원(北原)의 양길이 궁예를 공격하다가 대패.
901년 궁예, 왕을 칭하고, 국호를 고려라 일컬음.
903년 후고구려의 왕건(王建), 금성(錦城) 등 10여 성을 공략함.
904년 궁예, 백관을 설치,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칭함.
905년 마진, 국도를 철원(鐵圓)에 옮김.
906년 마진, 왕건을 보내어 사화진(沙火鎭)에서 견훤을 대파. 발해, 대위해 죽고(?~), 대인찬 즉위(~926).
909년 마진, 왕건이 진도(珍島)˙고이도(皐夷島)를 점령,
911년 마진,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침.
914년 태봉의 왕건, 백선장군(百船將軍)이 되어 나주에 출진(出鎭).
918년 왕건이 고려(高麗)를 건국.
919년 고려, 송악(松岳)으로 천도. 3성(省) 등 관제를 정함. 평양성을 축성.
926년 발해의 103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 멸망.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의 왕궁에 침입. 경애왕을 자살케 하고 경순왕을 세움. 견훤이 고려에 국서(國書)를 보내어 강화를
청함.
934년 고려, 운주(運州)에서 후백제군을 격파. 웅진(熊津) 이북 30여 성이 항복.
935년 후백제, 신검(神劍)이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하고 왕이 됨. 견훤이 나주(羅州)로 도망하여 고려에 항복.
경순왕(敬順王)이 고려에 투항, 신라 멸망.
936년 고려의 후삼국 통일, 태조가 일이천(一利川)에서 후백제의 신검을 대파, 신검이 항복하여 후백제 멸망.
938년 탐라국이 고려에 조공.
940년 경주(慶州)에 대도독부(大都督府) 설치. 역분전제(役分田制)를 실시.
943년 태조, 대광(大匡) 박술희(朴述熙)에게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친히 전함. 태조 죽고(877~), 혜종(惠宗)
즉위(~946).
945년 왕규(王規)의 난.
947년 광군사(光軍司)를 설치.
949년 정종이 광종(光宗)에게 선위(禪位).
956년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시행. 관리의 관복을 개정.
958년 처음으로 과거법을 설치. 과거제에 의학부문 포함...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glory_yang님 원글보기
메모 :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 피울때 꼭 필요한 것 (0) | 2013.08.17 |
---|---|
오복에 복 하나를 더하면 (0) | 2013.08.16 |
[스크랩] Re: 고조선부터 조선까지의 연표 (0) | 2013.08.16 |
沙 鉢 通 文 (0) | 2013.08.15 |
광복절날 해야 할 일 (0) | 201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