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어쩌구 저쩌구

별로 안 궁금한 이야기

칠봉인 2013. 9. 25. 23:23

세자저하

 

세자(왕세자)란 다음 왕으로 정해진 왕자를 말하며 원자는 세자로 정해질 왕자를 말한다

세자가 된 왕자는 졸라 생활이 고달프다

다음 왕이 되어야 하기에 열심히 공부하고 수양하고 신체를 단련하는 등 그 과정이 만만치 않아 심히 고달프다

아침에 일어나서 복잡한 옷을 걸쳐입고 할바마마 할마마마  문안가고 이어 아바마마 어마마마 문안가고 이카다보면 시간 다가고 피곤해 죽겠는데  또 가정교사가  공부하자 칸다 참 돌지경이다 머리 빠지게 공부하고 나서 쉴라카면 이제 저녁문안 인사가야 한단다

또 복잡한 옷을 걸쳐입고 할바마마 할마마마  문안가고 이어 아바마마 어마마마 문안가고 이카다 보면 하루종일 다간다

 어린아이 잡는다 잡아  

 

보통7-10세에 세자로 책봉되는데 궁궐의 동쪽에 별도의 생활공간인 동궁을 지어 거기서 생활하면서 꽊 짜여진 일정에의해 움직인다

아~ 세자 생활이 너무나 고달프구나

 

"세자마마 당황하셨어요" 하는 일이 생기는데 그것은 이리 힘들게 세자 수업 받았는데 왕위를 둘러싼 권력자나 세력간의 다툼 그리고 정변을 통해 왕위를 뺐기는 경우도 있다 그리되면 고달픈 세자 수업도 안받고 탱자탱자 놀던 사람이 왕위 된다

그런 왕이 누구냐

방석으로부터 왕자리를 뺐은 태종, 계유정난을 일으킨 세조, 나무꾼 노릇하다 졸지에 임금이 된 철종, 전임왕의 폭정으로 왕으로 추대된

중종, 인조가 있다  엘리트코스 (세자수업 이수)로 왕이 된 이는 문종,단종,연산군, 인종,현종.숙종,순종이다

 

50년 넘게 왕으로 재위한 임금이 있는가 하면 고작1-2년 재위한 임금도 있다

영조:52년 재위

숙종:46년 재위

고종:43년 재위

인종:8개월 (8개월 재임하다 돌아가셨음)

예종:1년 재위

문종:2년 재위 

참고로 조선 왕들의 평균 수명은 47세이다

 

왕들의 자녀를보자(왕비와 후궁 사이의 소생을 합한 숫자)

태종:29명, 성종:28명,  선조:25명,  영조:24명, 정종:23명, 세종:22명,  중종:20명

피임 약도 없고 해스리 참 많이도 낳았다

자녀들이 이리 많다 보니 서열을 두었다

왕과 왕비의 아들에게는  책봉을 받아서 대군이란 호칭을 붙인다 (양녕대군, 안평대군, 봉림대군등)

왕과 후궁사이의 아들은 기양 "군"이라 부른다(연산군, 광해군)

딸도 왕과 왕비의 딸은 공주 , 왕과 후궁의 딸은 옹주

 

반면 자녀가 한명도 없거나 한명을 둔 왕도 있었다

단종:0,  인종:0  경종:0  순종:0  명종:1명   헌종:1명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友情(우정)에 관한 故事成語(고사성어)  (0) 2013.09.27
우리에게 幸福이란 무엇일 까요?  (0) 2013.09.26
꿈속의 그녀  (0) 2013.09.25
四字成语   (0) 2013.09.21
호(號)란 무엇인가?  (0) 2013.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