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일을 모두 삭제하면서 함게 지우져 버렸나 봅니다. 다시 등업 부탁드려요..
그림으로 보는 아이마음-간편 해석 방법
ⓐ주제 · 구도에 따른 아이의 마음
· ° 부분의 모양이 정확하지 않다. - 자기통제력이 약하다.
· ° 틀에 박힌 그림. - 창의성이 없다. 형식적인 지도를 받는다.
· ° 작은 부분이 많다. - 소유감이 강하다.
· ° 같은 것을 많이 그렸다. - 환경에의 적응이 곤란, 관심이 좁다.
· ° 늘 같은 것을 그린다. - 상상력 부족, 감정이 고정되고 있다.
· ° 주제를 대담하게 중심부에 잡는다. - 시원스럽고 모든 면에 자신 만만하여 성격 또한 대 담하다.
· ° 구도와 부분적인 배치 균형이 맞지 않다. - 지능발달이 늦고 자기 통제감이 부족하고 소극적 이 편.
· ° 주제가 밑으로 쏠려 있다. - 환경에 억압당해 행동에 자신감이 부족하여 환경에 적응 이 잘 안 된다.
· ° 주제가 위쪽으로 쏠려 있다. - 환경의 인식력이 부족하다.
· ° 주제가 좌·우로 쏠려 있다. - 적극성이 부족하며 왼쪽으로 쏠린 그림은 도피적, 오 른쪽으로 쏠려있을 경우 공격적인 경향이 있다.
· ° 늘 선 위에 있다. - 안정감을 구하고 있다.
· ° 화지가 부족한 그림 - 부모에게 귀여움을 독차지하는 어린이로 집에서는 자유분방하 고 밖에서는 위축 되 되는 경향이 있다.
· ° 배경이 없다. - 환경인식 부족
· ° 남의 그림을 보지 못하고는 못 그린다. - 의존심이 강하며 독립성이 결여되어 있는 상태.
· ° 운동감이 없고 딱딱한 그림 - 창조력이 적으며 모방력이 강하고 꾀가 많은 편이며, 지적인 어린이의 굥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 ° 사람의 표정이 거의 없는 그림 - 친구들과의 사이가 좋지 않고 사교적 면이 부족. 집 에서는 활동적이 나나 나와서는 비활동적이다.
· ° 화지의 상하, 좌우의 끝에서 활동하는 그림 - 악압당하고 있는 감정 상태.
· ° 위로 떠오르는 느낌을 주는 그림 - 성취욕이 강하며 모든 면에 자신감이 차 있다.
· ° 높은 곳에 올라있는 장면 - 성취적인 욕구가 있다.
· ° 공격적, 파괴적인 표현 - 부모로부터 억압당하고 있는 경우나 이로 인한 반항심이 나 타나는 경우.
ⓑ인물 형태에 나타나는 아이의 마음
°° 사람이 모두 옆으로 비스듬히 쏠린 그림 - 부모의 요구가 많아 마음에 부담과 억압을 느낄 때 나타 나는 현상. 대인관계가 부족하여 밖에 나와서 활발하지 못하다.
°° 팔이 그려져 있지 않다. - 지나친 과잉보호로 아이가 팔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상 태.
°° 표정이 좋지 않은 그림 - 기분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그림을 그렸거나, 사람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은 경경우.
° 부모나 선생님을 등을 보이게 그린 그림 - 그린 사람이 너무 엄하여 권위자에 대한 혐오감을 느꼈을 때.
°° 특히 크게 강조한 사람 - 가정이나 유치원에서 지배력이 있는 사람을 나타낼 때, 자신 의 지배력을 과시할할 때
°°신체 부위를 강조한 그림 - 그 부분에 대해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경우.
ⓒ선에 나타나는 아이의 마음
° 곡선 - 온순한 성격, 다소 의존적이고, 내향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 직선 - 자기의 주장이 강하고, 공격적인 기분과 관계 있으며 외향적 행동이 두드러진 성 격을 나타 낸다.
°° 직선을 거칠게 반복해서 긋는 것은 정서적으로 불안한 상태를 나타낸다.
°° 수직선 - 결단력, 활동성, 자기주장 등 남성적 경향을 나타낸다.
°° 수평선 - 약함, 여성다움, 공상의 경향을 나타낸다.
°° 수평의 강조는 두려움 많음, 약함, 자기 방어적 경향을 나타낸다.
°° 동그라미 - 의존적, 여성적인 면과 관계가 있다.
°° 흩어진 사선 - 좀 더 어려지고 싶은 의존적, 충동적인 유아적 의사 표시이며, 어린 동 생에게 엄마를 뺏 긴긴 아이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색으로 보는 아이 마음
<알슐러와 헥틀러 이론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따뜻한 색을 즐겨 쓰는 아이 : 애정의 관계나 자유로운 행동을 잘 나타내는 아이. 타인에 대 해 동정 적 이거나 호의적이며 잘 어울리고 주위에 적응을 잘 함.
차가운 색을 즐겨 쓰는 아이 : 자기주장을 스스로 억제하는 경향이 있고, 생각하며 행동하는 편, 다른 사람에 대해서 공격적일 수 있다. 이기적인 면을 보이며, 독립적인 경향이 있다.
°° 빨간색(Red)
협동적이고 엷게 칠한 경우에는 애정, 상쾌, 무겁고 긁거나 수직적으로 칠한 경우는 공격적, 자기주장이 강한 경우.
이 색을 많이 쓰는 아이는 매우 활발하고 친구들간에 자기의 주장을 많이 내세우기도 하고 의식적으로 거친 행동을 많이 한다.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애정이 풍부하고 의욕적이고 적극적인 아이일 수도 있다.
빨간색으로 형체를 잘 그리는 아이는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심리적으로 만족하며 만일 이색으로 끄적거리거나 방사선을 그을 때는 심리적으로 불안 방황 그리고 공격심의 투영이라고 볼 수 있다.
°° 노란색(Yellow)
이 색을 많이 사용하는 아동은 의존적인 경향이 짙고, 유아적 단계를 나타낸다.
타인과의 관계가 비교적 좋다.
걱정이 없고, 행복감에 젖어 있고, 어리광이 많음을 나타낸다.
파랑과 함께 쓰이면 어떤 욕구와 관계가 있다.
° 파랑(Blue)
긴장하고 불안스런 성격의 표현으로 나타난다.
공상적인 꿈을 많이 꾼다.
이 색을 즐겨 쓰는 아이는 말을 잘 듣고 자기 맡은바 책임을 다하는 경향이 있고 규칙적인 생활을 강요당하는 아이가 잘 선택한다.
예민하고 긴장된 필치로 그리는 경우 - 주위와 잘 어울리지 못하는 경향
선이나 형으로 나타낼 경우 - 명랑하고 잘 적응하며 순응
° 초록(green)
집안이 완고한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친구들과 잘 어울리며 온순하고 참을성이 많은 아이에게 나타난다.
상상력이 풍부하며 노력형이다
일상생활에서 협조적인 태도로 어떤 질서를 주의 깊게 생각한다.
자기 만족이나 스스로 확신을 잘 가진다.
° 주황(Orange)
애정 결핍과 관련이 있다.
주의 환경에 잘 순응하고 즐겁고 명랑한 기분과 관련이 있다.
약한 아동이나 공상적 놀이에 빠져버린 아동에게 많이 나타난다.
어떤 도피성 생활과도 관련이 있다고 본다.
° 보라(Plum)
아동의 질병과 관련이 있다.
기분이 좋을 때, 부모와 문제가 있을 때 주로 사용
가정적으로 불행한 아동, 친구에게 버림받은 아동이 즐겨 쓰는 색
자기중심적, 권위적 혹은 비현실적인 상태
° 고동색(Brown)
지나치게 청결을 강요받은 가정의 아동에게서 자주 발견된다.
° 흰색(White)
내성적이며 폐쇄적이다.
고집이 강하고 친구가 적다.
자기 주관이 매우 강하여 남에게 과시한다.
두려움과 무기력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거짓말을 잘 하는 아이가 그림을 그릴 때 이색을 집 창문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검정색(Black)
공포 및 불안의 압박 반응으로 표현
나이가 어릴수록 많이 사용하며 그림의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쓴다.
이색을 즐겨 사용하는 아동은 정서 활동에 결여가 있을 수도 있고, 고독하고 공격적이기도 하다.
엄마의 꾸중, 잔소리, 지나친 간섭이 이 색으로 상징 될 수 있다.
ⓔ
색채의 조합
검정과 빨강 :
----------------------------어머니에 대한 결핍, 양친 사이에 심적 거리가 있을 때
검정과 흰색 :
------------------------------공포심
검정과 파랑 :
----------------------------인간관계의 조화감이 낮고 일면에 강한 반항심을 가짐.
검정과 보라 :
------------------------------어머니의 병적 히스테리.
검정과 노랑 :
------------------------------아버지의 꾸중, 사망, 엄격한 아버지
파랑과 주황 :
------------------------------불결, 우둔
파랑과 고동 :
-----깨끗이 하려는 욕구(파랑)와 더렵히려는 욕구(고동)와의 갈등, 대소변 가리기에 문제
·
빨강과 초록 :
------성적관심, 회면의 윗부분인 경우는 열등감, 적개심, 공격성, 도덕적으로 바람직 하지 않은 부모
빨강과 파랑 :
-----------------인간관계 조절감이 나쁨, 질투, 공격(불만)과 억제(만족) 사이의 갈등
· 노랑과 빨강 :
-----------------부모의 히스테리에 대한 번민이나 애정불만상태 표시, 적개심, 공포심
· 노랑과 주황 :
--------------------------인정 받고 싶은 욕구
노랑과 파랑 :
---------유아적으로 남으려는 욕구(노랑)와 성장하려는 욕구(파랑)와의 갈등, 걱정, 근심
노랑과 보라 :
---------------------------질병이나 상해
녹색과 검정 :
-------------------------학대받은 아동, 계모
녹색과 주황 :
--------------------------부모의 요구수준이 높다.
녹색과 파랑 :
--강한 기본 욕구를 승화시켜 표현(파란색에 더 강조), 강조 기본 욕구의 승화의 결핍 혹은 의식적 회피
;k(녹색에 더 강조)
녹색과 고동 :
-----------------------------대소변 문제
진고동과 검정:
-------------------------도벽을 가진 빈곤한 가정의 아이 극도의 애정부족
·
보라와 흰색 :
-----------------------------가해적 죄의식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보고 하는소리 같으이 (0) | 2015.03.29 |
---|---|
智計妻羞(지계처수) (0) | 2015.03.29 |
포스코 (0) | 2015.03.26 |
사드 미사일 (0) | 2015.03.25 |
전봇대의 위치정보 (0) | 201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