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어쩌구 저쩌구

훈민정음(訓民正音)

칠봉인 2015. 12. 20. 12:10

훈민정음(訓民正音) 

 

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다.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은 그때까지 사용되던 한자가 우리말과

구조가 다른 중국어의 표기를 위한 문자체계이기 때문에 많은 백성들이 배워 사용할 수 없는 사실을 안타까워하여 세종 25년(1443)에 우리말의 표기에 적합한 문자체계를 완성하고 "훈민정음"이라 명명하였다.

세종 28년(1446)에 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설명한 한문해설서를 전권 33장 1책으로 발간하였는데 책의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하였다.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현존본은 1940년경 경북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국내에서 유일한 귀중본이다.

세종은 새로 만든 새문자에 대하여 창제의 목적을 밝힌 서문과

새문자 하나 하나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예시하고 설명한 글을 짓고,

집현전의 학자들에게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용례를 짓도록하여

책을 만들고 이것을 백성들에게 널리 공표하였다.

이 책에는 세종어제 서문과 훈민정음 음가 및 운용법을 밝힌 예의편이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합자해, 용자례 순으로 기술되어 있다.

세계의 많은 민족들이 자기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하여 문자를 만들려고 노력하였으나,

한글과 같이 일정한 시기에 특정한 사람이 이미 존재한 문자에서 직접으로 영향받지 않고

독창적으로 새 문자를 만들고 한 국가의 공용문자로 사용하게 한 일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일이다. 더욱이 새 문자에 대한 해설을 책으로

출판한 일은 유례가 없었던 역사적인 일이었다.

특히, 이 책에서 문자를 만든 원리와 문자 사용에 대한 설명에

나타나는 이론의 정연함과 엄정함에 대해서는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 책에 실린 정인지의 서문이 1446년 음력 9월 상순에

쓰여졌다고 되어 있어 늦어도 음력 9월 10일에 출판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에서 이 책의 출판일을 기념하여 한글날로 제정한 것이나

유네스코에서 문맹퇴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세종대왕상을 주는 것은

이 책의 문화사적 의의를 나타낸다.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훈민정음, 곧 한글은 28자로 된 알파벳으로, 오늘날에는 24자만 사용되데,

한국어를 완벽하게 표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우기와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문자체계이다. 문자체계 자체로도 독창적이며 과학적이라고 인정되고 있어 그 의의가 크다 할 것이다.

이 책은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최항, 박팽년,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

집현전의 8학자가 집필한 것으로 훈민정음의 내용을 살펴보면

두 부분으로 되었는데 제 1부는 세종이 지은 것으로 책의 본문에 해당된다.

본문의 내용은 새문자를 창제한 목적을 천명한 훈민정음 서문과,

새문자 28자를 초성 11자로 나누어 차례로 예시하고 설명한 다음에

이들을 결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제시한 예구로 되어 있다.

제2부는 세종의 명령에 따라 젊은 학자들이 지은 본문에 대한 주석이다.

그것은 새문자의 제작원리를 설명한 제자해, 음절 두음을 표기하는 자음

17자를 설명한 초성해, 모음 11자를 설명한 중성해, 음절말지음을 설명한

종성해, 초성·중성·종성이 결합하여 음절을 표기하는 방법을 설명한 합자해,

새문자로서 단어를 표기한 예를 보인 용자례의 6장으로 나뉜다.

끝에는 정인지의 훈민정음해례본 서문이 붙어있다. 
훈민정음은 전체 분량이 본문 4장, 주석과 정인지의 서문 29장으로 된

33장에 지나지 않으나, 이론 전체가 정연하고 서술이 과학적인 내용의 책이다.

문자를 만든 원리와 문자 사용에 대한 설명에 나타나는 이론은

현대의 세계 언어학자들이 높이 평가하고 있다.

훈민정음을 서지학적으로 살펴보면 본체가 33장, 표지가 2장으로 된 책인데,

세로 32.3cm,가로 20cm의 크기로 되어 있다. 장정은 전통적인 방식에 따라

5침안으로 된 선장본이다. 책의 크기가 당시 중국과 일본의 책들보다 크다.

이 책은 유려한 글씨로 정교하게 새긴 목판으로 인쇄되어 있다.

사용된 종이나 먹도 우수하여 한국의 15세기 출판문화의 우수함이 드러나 있다.

책장은 각기 2면이 인쇄되어 있는데, 인쇄된 1면의 크기는 세로 23.3cm,

가로 16.5cm이다. 이 책에는 구두점과 성조 표시의 구너점이 사용되어 있다.

세종이 창제한 새 글자는 오늘날까지 자형이 조금씩 변화되어 왔으나

이 책의 자형이 가장 초기의 모습이다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모도 이모도   (0) 2015.12.23
古佛 청백리 孟思誠의 일화   (0) 2015.12.20
나의 망년회  (0) 2015.12.19
까막 눈  (0) 2015.12.19
中國 英雄들의 지혜   (0) 2015.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