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어쩌구 저쩌구

조선 실록으로 본 담배 이야기

칠봉인 2020. 12. 5. 18:09

조선 실록으로 본 담배 이야기

<사진1>

신윤복의 ‘연소답청(年少踏靑)’. 봄날,
젊은 연인 3쌍이 나들이를 하고 있다.
사랑에 빠진 어떤 남성은 담뱃대를 입에 문 애인이 그렇게 좋은지
사랑스런 표정을 짓고 있다.
뒤의 남성은 여성에게 담뱃대를 전하고 있다.

                       /간송미술관 소장

 

 

 

조선 실록으로 본 담배 이야기

"사람에게 유익한 것은 남령초(담배)만한 것이 없다.
이 풀이 아니면 답답한 속을 풀지 못하고 꽉 막힌 심정을 뚫어주지 못한다.
담배를 백성들에게 베풀어줌으로써 그 혜택을 함께 하고자 한다.
그 효과를 확산시켜 천지가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에
조금이라도 보답하고자 한다.”

아주 조금 인용한 글인데. 해괴한 논리로 가득차 있다.
‘담배 예찬론’을 설파하는 것도 모자라 온 백성들을
흡연가로 만들겠다니 말이다.
놀라지 마라. 조선의 중흥군주라는 정조대왕의 어명이시다.
그것도 사석에서 한 말이 아니다.

조선을 담배의 나라로

1796년 11월 18일이었다.
정조는 정치의 대책을 물어 답하게 하는 과거시험,
즉 책문(策文)의 시제로 남령초(南靈草), 즉 ‘담배’를 내걸었다.
수험생들에게 담배의 유용성을 논하라는 것이었다.
끔찍한 애연가였던 정조의 책문을 뜯어보면 깜짝 놀란다.

“물건(담배)을 이롭게 사용하고, 생활에 윤택한가를 따지면 그 뿐….
왜 유독 담배만 천한 것으로 여기는가.”
정조는 실사구시의 예로 담배를 꼽고 있는 것이다.

“난 수십년간 책을 읽는 고질병에 시달린 데다 왕좌에 오른 뒤
정무에 전념하느라 병이 깊어졌다. 가슴 속이 언제나 꽉 막혀 있었다.
백방으로 약을 썼지만, 담배만한 약이 없었다.”

그러면서 경험에서 우러난 담배의 효험을 조목조목 밝힌다.
“불기운으로 한담(寒痰)을 공격하자 막힌 가슴이 절로 사라졌다.
연기의 진기가 폐를 적셔 밤잠을 편하게 이룰 수 있었다.
정사의 잘잘못과 복합한 심경을 분명하게 잡아내고,
요점을 찾아낸 것도 담배의 힘이다.
원고를 수정할 때도 담배의 힘이 크다.”

좀 과장되게 말한다면 정조의 개혁정치와 탕평책,
그리고 문체반정 등 모든 치적이 담배 덕분이라는 것이 아닌가.
정조는 “이 풀(담배)에 필적할 은덕과

이 풀에 견줄 공훈이 어디 있는가” 라고 반문한 뒤

이렇게 결론을 내린다.

“담배가 이 시대에 출현한 것은 인간을 사랑하는
천지의 마음에서 비롯됐다.”

그러면서 “온 백성이 담배를 피도록 해서 그 효과를 확산시켜
담배를 베풀어 준 천지의 마음에 보답하자”고 역설한다.
기가 찰 노릇이다. 임금이 앞장서서 범 국민적인 흡연운동을
벌이고 있으니 말이다.

정조는 이듬해인 1797년 총신 윤행임에게 담배의 묘미를 설파한다.

“기를 내려가게 해 더위를 씻어준다.
침이 따뜻해지므로 추위를 막을 수 있다.
식후에는 소화를 돕고, 변을 볼 때 악취를 물리친다. 잠을 잘 오게 한다.
시를 읊거나 문장을 지을 때, 대화를 나눌 때, 조용히 앉아있을 때….
유익하지 않은 것이 없다.”.

임금은 즉위 초부터 담배사랑을 선언한 바 있다.
즉 1777년, 한 분위기 속에서 지내야 할 기우제에서는
술과 담배를 엄금하자는 상소가 올라왔다.
그러자 정조가 간단히 정리했다.

“사람들마다 기호품이 있잖느냐.
기우제를 지내는 엄숙한 날에도 담배를 피우고 싶은 생각으로
굴뚝같다면 마음은 깨끗해지지 않느니라.”

담배가 기호품이고, 피우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면
마음이 흐트러져 기우제를 지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정조는 “술만 금지하고 담배는 허락하라” 는 명령을 내린다.


<사진2>

기산 풍속도에 나오는 ‘부화랑거(負花娘去)’.

남성이 담뱃대를 꼬나문 어린 여인을 등에 업고 어디론가 가고 있다.
담배가 어린 여성에게도 폭넓게 퍼져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숭실대박물관 제공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은의 비교  (0) 2020.12.22
지금까지 살면서 느낀것들  (0) 2020.12.05
알아야할 한자상식  (0) 2020.12.05
우리말에 양 자가 들어간 이유 ★  (0) 2020.12.05
아름다운 友情우정  (0) 202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