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이게 뭔데? 인생을 술술 잘풀리게 하는게 술인데 이케나 중요한 것을 기본적으로 술에 대한 공부도 안하고 기양 단순히 돈주고 사서
마시기만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작금의 현실을 개탄하며^^ 술을 소개 합니다 숙독 한 후 60점 이상 안나오면 앞으로
술을 드시지 마세요^^
술, 술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지은이 : 이종기
출판사 : 도서출판 한송
출판년도: 2000년 2월 25일
- 작가소개 -
이종기 선생님은...
1955년 충북 진천 출생.
경동고등학교, 서울대 농화학 졸업.
1980년 동양맥주 입사.
영국 헤리옷와트 대학원 졸업(양조 및 증류학 석사).
세계양조학회(IOB) 회원.
현 두산씨그램 (주) 이천공장 공장장.
- 머리말 -
주종을 불문하고 두주불사하던 20대의 자화상이 가끔 그리워지기도 하는 것은 지나
친 감상일까?
내게도 술에 취해 시와 화두를 되뇌이며 다니던 시절이 있었으니 마치 꿈만 같다.
지금껏 변하지 않고 남은 벗은 술이고, 이제 술이 좋아 아예 술 만드는 길로 들어선
지도 20여 년이 지났다. 취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마시던 술이 이제는 나를 가르치고 새
로운 세계로 인도한 것이다.
나는 과음을 단호히 거부한다. 나의 상태에 따라 내가 취사 선택하며 마시는 취함의
경지야 말로 진정한 주도라 생각한다. 그렇다. 술의 역사는 장구하고 그 모습도 천태만
상이지만 아마도 주도는 변함없이 우리 생활의 일부분으로 남을 것이고, 어쩌면 인류보
다 더욱 오래 남을 것이다.
술과 인간의 음주 문화는 어느 예술에 뒤지지 않는다. 한 잔의 술로 인도되는 그윽한
멋을 느끼는 이만의 전유물일까? 술은 조금만 알아도 그 맛과 멋의 차원을 달리한다.
이것이 내가 술이야기를 쓰게 된 연유이다.
와인 없는 프랑스 요리, 백주 없는 중국 요리는 생각조차 할 수 없다. 술에 어울리는
요리나 요리에 어울리는 술을 알면 그 풍류가 백 배로 다가온다. 나라마다 지방마다 멋
들어진 술이 있으니 그 멋을 알려면 술을 알아야 한다.
술은 사회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으로 만나야 하는 손님이다. 혹자에게는 진객이
고 혹자에게는 불청객일 것이다. 좋아하든 싫어하든 사람이 사귀는 곳에는 언제나 등장
하는 것이 술이다.
술은 사회의 진정제이며 윤활제이다. 사람들은 술로 인하여 많은 이득을 얻는다. 술
은 사람들 사이의 벽을 허물고 서로 통하게 하는 묘약이다. 또한 날로 좁아져 가는 지
구촌에서 빠른 시간 내에 다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술과 음주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반면 술만큼 험담에 휩싸인 물건도 없을 것이다. 유사이래 금주령이 수도 없이 내려
졌다가 거두어졌다. 술을 지나치게 마시면 개인과 집단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약영
향을 미친다. 못된 술꾼들이 자기 탓을 술 탓으로 돌리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
한 불미스런 일은 술에 대하여 모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이 책은 공교롭게도 IMF 위기와 맞물려 출간되었는데 그 어려운 시기에도 꾸준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삶의 즐거움과 괴로운 허무와 보람이 뒤엉킨 술자리에서
이 책의 내용들이 보다 더 진실에 가까운 이야깃거리로 등장했으면 하는 바람이 이루
어진 것이었을까?
그 간 세계의 몇몇 술 고장을 돌아다니며 습득한 글들을 첨가하고 부족한 부분을 수
정하여 책을 새로 단장하게 되었다.
개정판을 낼 수 있도록 이 책을 애독해 주신 독자들과 도서출판 한송에 감사드린다.
차례
술의 역사
전설로 본 술의 기원
인류의 역사보다 긴 술의 역사
양조 및 증류기술의 발달
술의 분류
술의 나이
알코올 도수
술의 맛과 향기
술잔의 세계
술병과 술독
술의 정원에 핀 꽃들
와인(WINE)의 세계
태양의 딸 와인
와인의 역사
와인의 종류
보르도와 부르고뉴 와인
독일의 늦따기 와인
캘리포니아의 와인
이탈리아 와인
스페인 와인
강화와인
발포성 와인 샴폐인
와인과 라벨
와인과 테이블 매너
와인 감상법
와인 담그기
세계인의 음료 맥주(BEER)
맥주의 역사
맥주의 원료
맥주만드는 법
독일의 맥주
영국의 전통 에일(Ale) 맥주
체코의 맥주
야생의 맥주 램빅(LAMBIC)
세계 유명 맥주
맥주 신제품 전쟁
맥주 즐기는 법
다양한 맥주잔들
생명의 물 위스키(WHISKY)
스차키 위스키
아메리칸 위스키
아이리시 위스키
한국의 위스키
일본의 위스키
세계 유명 위스키
브랜디(BRANDY)의 세계
꼬냑(Cognac)과 아르마냑(ARMAGNAC)의 유명 브랜디
노르망디인들과 칼바도스(Calvados)
다양한 증류주
이뇨제용으로 제조된 진(Gin)
무색, 무미, 무취의 술 보드카(Vodka)
태양과 정열의 술 럼(Rum)
테킬라(Tequila)
액체의 보석 리큐르(Liqueur)
칵테일 이야기
제조법에 따른 칵테일 분류
양주잔의 종류
한국의 술
우리나라 술의 역사
약주 이야기
한국의 절기주
한국의 전통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술, 다양한 침출주
과일주 담그기
중국의 8대 명주
중국의 증류주 고량백주
중국의 8대 명주
세계의 토속주
중국의 황주
초원의 술 마유주
고로쇠 와인
허니문과 벌꿀 술
바람과 물을 벗삼아
술의 하늘에 뜬 별들
술과 풍류
이태백
김시습과 김삿갓
정수동
도연명
로버트 번즈
문학과 영화 속의 술
술과 사랑의 영화 '카사블랑카'
샴페인과 로제 와인이 있는 풍경 '사브리나'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
삼국지의 주당들
예이츠의 'Drinking song'
한국의 음주 문화 변천사
선조들의 음주 문화
허무 속에서의 술(1910-60년대)
취함의 시대(1960-70년대)
접대 음주 시대(1980년대)
신 음주 문화의 형성(1990년대)
건전한 음주 문화
야누스의 두 얼굴
백약의 으뜸 술
사회의 윤활제
영감의 촉진제
심장병의 에방
청주 목욕법
약주 몇 가지
독약과 마약으로
술과 간장
술과 두뇌
술과 성
술과 비만
알코올 중독
권장 음주량
참고 문헌
부록. 칵테일 만들기
술의 역사
전설로 본 술의 기원
노아의 만취
흰 수염이 성성한 노아의 얼굴이 취기로 불그레 달아올랐다. 저 멀리 아라라트산 정
상으로부터 신의 음성이 또렷하게 들려왔다.
노아야 너의 마음속에 늘 지금과 같은 믿음을 간직하거라. 네게 어떠한 사악함도 깃
들지 않도록 모든 것을 벗어 버려라. 그리고 신의 피를 통하여 부활하는 신성을 마음껏
향유하여라...
노아는 옷을 벗기 시작했다. 노아의 마음은 신에 대한 존경심으로 가득 차 올랐다.
이윽고 벌거숭이가 된 노아는 더욱 경건하게 와인잔을 두 손으로 떠받들고 하늘에 고
했다.
만물의 창조주인 신이시여. 저, 노아는 신의 은총으로 이 포도주를 마시나이다. 이 포
도주를 마시는 것은 당신께 가까이 가려함입니다...
노아는 일찍이 신으로부터 가장 선한 인간으로 점지되었다. 아담과 이브의 실낙원 이
래 인간 세계는 타락으로 치달았다. 이에 노한 신은 악의 무리들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었다. 물의 심판을 내리기로 작정한 신은 노아로 하여금 방주를 준비하도록 하였다.
노아는 120년에 걸쳐 배를 만들었다. 신의 지시에 따라 각종 동물 한 쌍씩을 선정하고
온갖 식물의 씨앗을 배에 실었다.
마지막으로 노아는 아내와 세 아들 부부를 태우자 배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150일
동안 쉬지 않고 내린 비로 세상은 온통 물바다가 되었다. 이 대홍수로 말미암아 노아의
방주에 실린 선택된 생물만 살아 남았을 뿐 땅덩이는 태초와 다를 바 없는 모습으로
변해 버렸다. 홍수가 끝나고 노아의 방주가 기착한 곳은 아르메니아의 아라라트산 기슭
이었다.
노아는 신께 뭇느 제물을 드릴까 궁리에 궁리를 거듭하였다. 그는 대홍수 이전에 매
년 추수 감사제에 포도주를 제물로 썼던 기억을 떠올렸다. 가을에 수확이 끝나면 포도
덩굴은 죽어버린다. 그러나 봄이 되면 대지에서 다시 움이 돋고 포도덩굴은 부활한다.
가을에 포도덩굴을 자르면 수액이 솟아나는데 사람들은 이를 인간의 피에 비유했다. 노
아의 족속들은 이것이 신의 부활의 상징이라고 믿었다. 더욱이 포도로 빚은 포도주는
썩지도 않으며 그것을 마시면 배탈도 나지 않았다. 그 묘한 액체는 온갖 괴로움을 잠재
워 주었고, 때로 신의 음성을 들려주기도 했다.
노아는 포도원을 만들고 거기서 수확한 포도로 포도주를 담갔다. 포도주가 익어 신께
제를 올리면서 노아는 한잔 한잔 거듭해서 포도주를 마시게 되었다. 지난 120년 간의
생활이 머릿속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졌다. 신에게 구원을 받은 기쁨과 안도감이 온몸을
휩쌌다. 곧 이어 신의 심판을 받은 무리들이 홍수 속에서 아비규환을 이루었던 풍경도
떠올랐다. 노아는 대취하여 그 자리에서 잠이 들었다.
노아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둘째 아들 함은 아버지의 벌거벗은 모습을 보고 부
끄러워 하였다. 장자인 셈과 셋째인 야벳은 뒷걸음질로 다가가 그에게 옷을 덮어 주었
는데 나중에 술에서 깨어난 노아는 자기의 벌거벗은 모습을 본 함에게 벌을 주었다.
술에서 깨어나자 다시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온 것일까? 희고 검은 양면을 가진 술의
세계가 이렇게 하여 인류의 앞에 펼쳐지게 된 것이다.
바커스와 박카이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의 아들로 등장하는 바커스는 각지를 두루 다니면서 사람들
에게 포도 재배 방법과 함께 와인 마시는 즐거움을 가르쳐 주었다. 바커스는 원래 트리
키아의 산에서 식물과 동물의 생명과 대지의 풍요를 관장하는 신이었다.
그는 어느 날 바다를 건너 표연히 방랑길에 올랐다. 아티카의 마을에 도착한 바커스
는 사람들에게 포도 재배와 와인 제조법을 가르친 다음 함께 와인을 마시고 축제를 벌
였다.
이때부터 그는 주신으로 추앙을 받게 된다. 그를 따르는 여인들을 박카이라고 불렀는
데 박카이들은 저녁이 되면 와인을 흠뻑 마시고 대취하여 횃불을 들고 산과 들을 배회
하다가 짐승을 만나면 그 자리에서 죽여 버리곤 했다.
박카이들이 머물며 춤추다 간 자리에서는 꿀과 와인이 솟아났으므로 사람들은 그들
을 쫓아다녔다.
한편 바커스의 입국을 거부한 테베의 국왕 펜테우스는 그 벌로 곰이 되어 박카이들
에게 죽임을 당했다.
후세의 주당들은 와인을 거부하는 자의 말로가 어떤 것인가를 보여주는 주신의 경고
메시지라고 해석 한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어느 정도 자기의 속마음을 감추고 살아가는 모양이다. 그
리스인들은 사람들이 술을 마시면 바커스의 조종을 받아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진실을
밝힌다고 믿고 있다. 이른바 'In Vino Veri Tas-취중 진정발'의 효지효시라 하겠다.
이러한 신화들은 포도의 원산지가 중앙아시아이며, 그곳에서부터 그리스와 지중해 연
안으로 퍼져 나갔다는 식물학자들의 학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와인 제조법의 전파 경로
역시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해모수와 유화
우리나라에도 술에 관련된 신화나 전설이 있다. 하루는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지상에
내려와 놀다가 연못가에서 물의 신인 하백의 세 딸을 만난다. 그녀들의 미모에 혹하여
사랑에 빠지게 된 해모수는 그녀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하여 술을 권한다.
기꺼이 그 술을 받아 마신 큰딸 유화는 술에 취하여 수궁으로 돌아가기를 거부하였
다. 마침내 해모수와 하룻밤의 달콤한 사랑을 나눈 유화는 열달 후 커다란 알을 낳게
되는데 그 알 속에서 나온 것이 주몽이다. 이 주몽이 바로 후에 고구려를 건국한 동명
성왕이다.
실로 술이 맺어 준 하늘과 땅의 큰 인연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우 임금의 근심
중국에서는 하나라의 시조인 우 임금의 딸 의적이 처음으로 곡주를 빚었다고 전해져
온다.
우 임금은 순 임금에게서 왕위를 선양받은 어진 인물로서 오늘날 군주의 이상형으로
간주되고 있다. 의적은 국(누룩)을 써서 술을 만들었다. 우 임금은 딸이 정성스레 빚어
서 바치는 술을 마시고 그 맛과 취기에 감탄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후세에 술 좋아하
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나라가 망할 수도 있다고 걱정하면서 의적에서 술을 자주 만들
지 말라고 주의를 주었다.
수백년 후 우 임금이 우려했던 대로 하나의 마지막 왕인 걸은 너무나도 주색을 즐긴
나머지 주지육림의 설화를 남긴 채 은나라에게 망하고 말았다.
인류의 역사보다 긴 술의 역사
이러한 전설들을 보면 아무래도 술꾼들에게는 신과 통하는 무엇이 있었던 모양이다.
이미 전설 속에 술이 등장하는 것을 보면 술이 생성된 시기는 인류가 출현하기 이전이
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실상 술은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태곳적 원시림의 과일나무 밑에 조그만 웅덩이가 하나 있었다. 무르익은 과일이 하나
둘 떨어져 이 웅덩이에 쌓이고, 쌓인 과일들이 문드러지면서 웅덩이엔 과즙이 괴었다.
여기에 떨어진 나뭇잎이 덮였다. 그러자 효모가 번식하게 되고 마침내 발효가 일어났
다. 효모는 과일 껍질이나 흙과 물, 그리고 공기 중의 어디에나 있는 것. 이 효모에 의
해 알코올 발효가 일어나 술이 빚어지게 되었다. 주변의 동물들이 마른 목을 축이느라
웅덩이의 물(액체)을 마시게 되었다.
영리한 원숭이들도 우연히 이 액체를 마시고는 황홀감에 도취되었다. 그 맛을 잊지
못한 원숭이들은 나무 밑둥치나 바위의 움푹 파인 곳에 과일을 쌓아서 술을 만들었다.
일본의 철학자인 시미즈는 젊은 시절 산 속에서 수도를 하다가 원숭이와 사귀게 되었
다. 하루는 원숭이를 따라갔다가 원숭이들이 바위틈에 과일 등을 이용하여 술을 만들어
놓고 마시며 노는 것을 보았다.
고대 수렵시대의 사람들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과실주를 만들었을 것이고, 유목시대
에는 가축의 젖을 자연 발효시켜 젖술을 만들기도 했다. 농경시대의 접어들면서 인류는
곡물을 이용하여 술을 만들게 되었다.
그렇다면 농경시대의 사람들은 곡물을 어떻게 당화시켰을까? 가장 원시적인 당화법
은 입으로 씹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실제로 누룩을 만들어 당화하는 방법이 사용되기
이전에는 곡물을 입으로 씹어서 술을 빚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었다고도 한다. 이런 원
시적인 방법은 최근에도 아프리카, 남양 군도 등의 미개 사회에서 발견되고 있다고 한
다. 고대 중국에서도 예쁜 처녀들로 하여금 쌀밥을 씹게 하여 당화시킨 후 술을 빚었다
는 이른바 '미인주'에 관한 기록이 있다.
마치 어미가 음식을 씹어서 아기에게 먹이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술을 만들기 위해
이런 일도 있었다니 오늘날의 기준으로는 상상하기도 어렵다. 과연 미인주는 술꾼들의
악취미의 소산이었을까, 아니면 여성들의 정성의 표시였을까?
도대체 술꾼들은 누구의 후예일까? 진실을 토로하기 위해 신의 힘을 빌어야 했던
바커스의 추종자인가, 아니면 모방하기를 좋아하는 원숭이들의 후예인가?
어쨌거나 그들은 오늘날까지도 황홀한 신성을 흉내내기 위하여 음주를 즐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설들은 술이 인간에게 즐거움을 주고 인간 사이의 벽을 허물어 주기
도 하지만, 과용하면 큰 해악을 끼칠 수도 있다는 점을 일깨워 주고 있다.
양조 및 증류기술의 발달
인류 최초의 알코올 발효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상지인 티그리스강 유역에는 고대 슈메르인의 유적지가 있다.
여기서 발견된 B.C. 4500년경의 점토판에는 사람들이 포도주를 양조한 기록이 나타나
있다.
고고학자들에 의하면 와인의 제조는 B.C. 6000년경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B.C. 1300년경의 고대 이집트 람세스 왕이 무덤에는 포도의 재배 및 와인 제조에 관한
프레스코화가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와인의 제조 방법은 바빌론 지방에서 이집
트를 거쳐 그리스, 로마로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알코올 발효는 효모가 당을 섭취하여 알코올과 이산화탄소 및 물로 분해하는 것을
말한다. 알코올 발효가 일어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맞아야 한다. 첫째는 효모가 이
용할 수 있는 당이 풍부해야 한다. 둘째는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산
소가 공급되면 효모는 당을 생활 에너지로 사용하면서 증식을 계속하게 되며,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만 알코올 발효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셋째는 적정한 온도(5~25도)를 맞
추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인류가 이 세 가지 조건을 발견하는 데만도 아마도 수만년
은 족히 걸렸을 것이다.
효모는 자연 상태에서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으므로 포도즙(포도당)을 넣고 밀폐한
다음 따뜻하게 해주는 것만으로 신비스러운 와인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당화 기술의 발달
인류가 곡물을 이용하여 처음으로 술을 빚게 된 것은 B.C. 4000년경으로 추정된다.
곡물에 들어 있는 전분은 효모가 직접 이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곡물로 술을 빚기 위
해서는 전분을 분해하여 당화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만 했다. 인류가 포도주를 제조한
이래로 곡물을 당화하여 술을 빚는 기술을 발견하기까지는 약 2,000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다오하 방법의 발견은 양조 기술의 발달사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술의 제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할 당이란 무엇인가?
당은 식물의 엽록소에서 태양에너지를 받아 탄소 동화작용을 통해 생성된 탄소분자
6개와 수소분자 12개, 그리고 산소분자 6개로 구성되는 기본적인 6탄당(이것을 단당이
라 함)을 말한다. 단당은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포
도당이다. 포도 등의 과즙에는 당이 단당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
은 당을 변형하여 사용하거나 저장한다. 곡물의 씨앗이나 감자 등의 뿌리에 저장된 전
분은 단당이 수백만 개씩 결합된 것이다. 이러한 전분을 잘게 쪼개서 당을 분리하는
작용이 당화이다. 즉 전분과 당의 관계를 크기로 비교한다면 야구장과 야구공의 관계
정도로 비유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당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보리나 수수가 발아할 때 생성되
는 당화 효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서양에서 맥주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다
른 하나는 곰팡이가 자라면서 발생시키는 당화효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중국의 황주
나 우리나라와 일본의 청주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서양의 맥아와 동양의 누
룩이 술도가의 신주단지처럼 여겨졌던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증류 기술의 전파
일찍이 아라비아 지역의 연금술사들은 새로운 물질을 만들기 위해 온갖 실험을 다했
다. 그들은 와인과 맥주를 증류시켜 새로운 액체를 만들었는데 이 액체는 마시게 되면
기분이 황홀해지고, 상처에 바르면 소독을 시켜 주는 등 마치 생명수(Aqua Vita)와도
같은 것이었다.
증류란 양조주를 가열하여 먼저 증발하는 알코올분을 응축시켜서 농축하는 과정을
말한다. 알코올은 친수성이므로 물에 잘 녹아 있다. 그러나 알코올의 끓는 온도는 78도
로서 물의 끓는 온도 100도보다 훨씬 낮다. 한편 증기 상태이ㅡ 알코올은 차가운 면에
닿으면 쉽게 응결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사람들은 이 두 가지 사실을 발견하고는 질
그릇이나 동으로 증류기(고리)를 만들었다.
동서양의 문물은 전쟁과 무역을 통하여 상호 교환되었다. 12세기 십자군 운동에 참여
했던 수사들은 알코올 증류 기술을 터득하여 본국으로 돌아갔다. 프랑스로 돌아간 이들
은 와인을 증류하여 브랜디를 만들었고,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로 돌아간 사람들은 위
스키를 만들었다. 비슷한 시기에 아라비아의 증류 기술은 실크로드를 타고 중국과 한국
으로 전파되었다.
18세기에 들어 위스키나 브랜디가 대량으로 제조되기 이전의 증류기는 동서양을 막
론하고 거의 같은 모양을 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민속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조선시
대 말기의 동고리나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17~18세기의 증류기
가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은 그 원사지가 동일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
이다.
과학의 발전과 양조기술의 발달
인류는 수천년 동안의 경험을 통해 용케도 술을 빚어 왔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와
파스퇴르가 니이담의 자연발생설을 뒤엎는 실험을 하기 전까지는 아무도 알코올을 만
들어 내는 참 일꾼이 효모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었다. 그의 실험은 지극히 간단한 것이
었다. 그는 두 개의 유리 플라스크에 맥즙을 넣고 밀봉한 다음 하나는 끓이고 다른 하
나는 끓이지 않은 채로 따뜻한 곳에 두었다.
이때 끓이지 않은 쪽에서는 발효가 일어났으나 끓인 쪽에서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이 실험을 통해 그는 끓인 쪽에 발효가 일어나지 않은 것은 발효를 일으키는 어떤 존
재가 사멸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다. 이 실험을 통해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한 파스퇴르는 현미경을 발명하여 발효를 일으키는 매개체가 효모라는 것
을 밝혀냈다. 19세기 초반의 이 간단한 실험은 미생물학 발달사에서 하나의 금자탑으로
간주되고 있다.
효모는 먹이인 당이 있고, 산소가 풍부하며, 적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곳에서는 약 20
분마다 2배로 증식한다. 그러나 효모는 밀폐된 공간에서 산소가 다 소비된 이후에만
비로소 알코올 발효를 일으키기 시작한다. 다시 말하면 알코올 발효는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효모가 생명을 연장하는 방법으로, 이 발효는 당이 다 소진될 때까지 지속된
다. 효모가 알코올 발효를 일으킬 때 당이 에틸 알코올로 변하는 양은 효모의 양이나
온도, 산소량 등에 의하여 정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들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생산
수율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한편 양조 기술자들은 술의 품질은 알코올 발효 시에 부산물로 생성되는 300여 가지
의 미량 성분이 좌우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오늘날의 양조 과정에서는 술의 향과 맛
에 영향을 주는 미량 성분들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술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19세기 중엽 연속식 증류기가 발명된 이래, 세계 각지에는 다양한 원료를 이용한 여
러 가지 증류주가 개발되었다. 또한 각종 화학적 분석 방법이 개발되면서 숙성에 관한
품질 관리 기술이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의 양조에서는 효모의 품종 개발, 원료
의 처리, 제품의 균일성 유지, 경제적 수율 관리에 이르기까지 미생물학, 양조용 기계의
제작, 그리고 자동 제어 기술 등 모든 산업기술이 총망라되어 응용되고 있다.
포장기술
10세기 중엽 유리병이 대량 생산되기 이전까지는 대부분의 술은 배럴 등의 대형 용
기(bulk)에 담겨져서 유통되었다.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어 온 것은 50리터, 100리터,
180리터 등의 목제통 이었다. 물론 소용량의 도자기는 나무통보다 더 오랜 역사를 지니
고 있으나, 술의 포장 용기로서는 지나치게 고가이며 다루기도 어려웠으므로 상업적으
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았다. 대형용기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하는 것은 오늘날 20~50
리터의 생맥주나 막걸리 유통과정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1970년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커다란 독에서 막걸리를 사발로 퍼서 마셨다.
생맥주의 경우도 세계적으로 공히 커다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통에 넣어 져서 각
업소로 배달되고 각 업소에서 잔에 따라 판매하는 형태로 유통되고 있다.
유리병은 고대부터 사용되기는 하였으나 기계적으로 대량 생산되기 이전에는 도자기
와 같이 가격이 매우 비싼 고급 용기였다. 그러나 19세기 중엽부터는 저가로 대량 생산
되기 시작하여 주류의 포장 용기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경제적으로 소포장이 가능해지
자 병이나 상표, 병마개 등의 디자인이 제품의 판매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우리 속담에도 있듯이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는 동서 고금을 막론하고 통하는 진리가
아닌가. 포장 용기가 대량 생산되기 이전에 특별히 제작된 용기 가운데는 예술적인 가
치가 높은 것이 매우 많았다. 수제품이므로 동일한 것이 거의 없었을 것이다.
기계로 대량 생산되는 용기에 예술적 변화를 주는 데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
연유로 맥주 등의 저가 제품들은 비교적 디자인이 단순하지만, 위스키나 브랜디 등의
고가 제품의 경우는 다양한 예술적 디자인이 포장에 채택되어 많은 술들이 장식용으로
도 사용되고 있다. 20세기 중반부터는 알루미늄 캔이 실용화되어 맥주 포장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플라스틱이나 종이 재질까지도 주류의 포장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의 발전뿐만 아니라 술을 용기에 주입하거나 마개를 덮고 상표를 붙이는
기계들도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쏟아 내고 있다.
f
술의 분류
술은 기본적으로 (에틸)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는 음료이다. 그러나 많은 의약품이나
청량음료에도 소량의 에틸 알코올이 혼입되어 있으므로 편의상 이들 제품과 구분하기
위해서 술은 알코올 함량이 1% 이상인 음료라고 정의하고 있다.
술에는 수백 가지 성분이 들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물과 에틸 알코올이 주성분이다.
당분이 많이 함유된 리큐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술에 함유된 물과 에틸 알코올 이
외의 성분들은 모두 합쳐 봐야 0.1% 미만이다. 따라서 술을 알코올이라고 하는 경우도
많다.
알코올은 무색, 무미이며 휘발성이 있는 액체로서 강력한 독성을 지니고 있다. 알코
올 농도가 13%에 이르면 대부분의 미생물은 활성을 잃게 되고, 20% 이상의 알코올 농
도에서는 사멸하게 된다. 70% 알코올은 상처의 소독약으로 사용된다. 사람이 알코올을
마시는 경우 알코올은 진정제로 작용하기도 한다. 알코올이 지닌 이런 특성으로 인하
여, 술은 쉽게 오염되지 않는 고급 음료로 애용되어 왔다.
술은 그 제조 방법이나 생산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그러나 통상적 분류법
인 제조 방법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술은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가 과일이나 곡물을 효모로 발효시킨 양조주이며, 둘째로는 양조주를 재차 증류
한 증류주, 셋째로는 증류주에 기타의 여러 가지 성분을 혼합한 혼성주가 있다.
양조주(Rermented Liquor)
-과일주: 과즙을 천연 발효시켜 숙성 여과한 술. 과일 자체의 향미가 술의 품질에 많
은 영향을 줌. (이하 괄호 안은 원료를 나타냄.) 와인(포도), 사이다(사과), 발포성 와인
(샴페인: 포도)
-곡물주: 곡물을 당화하여 효모로 발효시킨 술. 당화 효소를 내는 미생물과 효모의
종류에 따라 품질이 달라짐. 맥주(보리), 황주(쌀, 수수), 청주(쌀), 막걸리(옥수수, 밀,
쌀)
-기타: 식물의 수액, 줄기, 뿌리 등을 원료로 하는 술. 야자주(야자나무 수액), 팔케
(용설란 수액)
증류주(Distilled Liquor)
-위스키(WHISKY): 곡물을 발효시켜 만든 양조주를 다시 증류하여 숙성시킨 술.
몰트 위스키: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로만 만든 위스키.
그레인 위스키: 옥수수. 보리 등의 곡물로 만든 위스키.
브랜디드 위스키: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 위스키를 혼합하여 만든 위스키.
-브랜디(BRANDY): 와인이나 사이다(사과주)를 중류하여 숙성시킨 술.
포도 브랜디: 꼬냑과 아르마냑 등
사과 브랜디: 칼바도스 등
-백주: 수수, 조, 쌀 등의 곡물을 발효, 증류시켜서 도자기에 저장하여 숙성시킨 중국
의 전통 증류주.
-소주: 주정을 희석하고 조미료를 첨가한 한국과 일본의 증류주.
-진(GIN): 주정에 주니퍼 베리, 코리안더, 계피 등의 향료 식물을 침출시켜 증류하거
나 주정에 향료 식물의 엑기스를 첨가한 술.
-럼(RUM): 사탕수수의 당밀을 발효시켜서 증류한 술
-보드카(VODKA): 옥수수, 감자 등의 전분질을 발효, 증류하여 만든 것을 활성탄으
로 여과한 무색, 무취, 무미의 술.
-데킬라(TEQUILA): 용설란 수액을 발효, 증류시켜 만든 술.
혼성주(Compounded Liquor)
양조주와 증류주를 혼합하거나 증류주에 향료 식물이나 과즙 등을 섞은 술.
-강화 와인(FORTIFIED WINE): 와인과 브랜디를 섞어 알코올 도수를 높인 술. 셰
리(SHERRY), 베르무트(VERMOUTH), 포트(PORT)
-리큐드(LIQUEUR): 증류주에 꿀이나 설탕 등의 당분(2% 이상)과 향미 식물을 혼합
한 술.
-칵테일(COCKTAIL): 양조주나 증류주에 다양한 음료나 과일을 섞은 술.
술의 나이
70년대만 해도 시골에서는 집안의 대소사에 직접 술을 담가 마시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명절이나 제사 또는 혼사나 회갑연에 쓸 술을 담그기 위해서는 보통 한 달
전부터 준비를 해야 했다.
술독에 술을 담근 후부터 마실 수 있게 될 때까지 걸린 기간을 술의 나이라고 한다
면 이런 가용주들의 나이는 기껏해야 1개월 정도일 것이다. 인삼, 모과 등의 약재를 소
주에 담근 침출주의 나이는 저장 기간에 따라 몇 년이 될 수도 있다. 귀한 손님을 대접
할 때 술병을 꺼내 놓고 "이 술 3년 묵은 거야." 하면서 자랑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
한편 소주(증류주) 제조법이 발명된 이후의 고분에서 나온 술병의 술이나, 밀조꾼들
이 동굴에 감춰 놓았다가 후에 발견된 술등 중에는 나이가 수백년이 되는 것도 있다.
증류주가 나오기 이전에는 술이 오래 묵으면 썩어버리는 관계로 겨울철에는 3~4개월
정도 저장할 수 있지만 무더운 여름철에는 기껏해야 2~3일밖에 보관할 수 없었다. 일반
적으로 알코올 농도가 13% 이하일 때는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다. 특히 초산균이나 젖
산균이 번식하여 소위 식초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따라서 오래된 술이
귀할 수밖에 없었다.
오래된 술을 귀하게 여긴 또 하나의 이유는 술을 (썩히지 않고) 오래 묵히면 향이
좋아지고 맛이 부드러워지기 때문이다. 술의 원천인 알코올 발효시에는 메틸 알코올,
아세트 알데히드, 에틸 에스테르와 같은 미량의 성분들도 함께 만들어진다.
그런데 알코올 발효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 온도를 낮추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되
도록 하면 술의 향미가 좋아진다. '술이 익는다'라는 말은 바로 이러한 현상을 일컫는
것이다. 증류주는 목통에 저장해서 숙성을 시키는데 이 숙성 기간을 주령(술의 나이)이
라고 한다.
위스키나 브랜디는 오크통에서 숙성된다. 숙성을 하면 우선 통에서 색이 우러난다.
보통 오크통을 새로 만들었을 때는 내부를 불로 그을려 태운다. 오크통의 두께는 3cm
인데 그을리는 부분의 두께는 2~3mm 정도이다. 그을려진 오크통 내부의 표피는 미세
한 숯 알갱이와 그을려진 조각들로 변화된다.
이 작은 조각들로부터 갈색의 색소와 목질의 성분인 리그닌, 그리고 분해 산물인 방
향족의 분자들이 우러나게 된다. 탄화된 부분은 숯처럼 숙취를 많이 일으키는 성분들을
흡착하여 술을 순화시켜 준다. 또한술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백 가지 성분들은 서로 화
학 반응을 일으켜서 향기가 좋은 성분들로 바뀌고 맛도 부드러워지는 것이다. 숙성 중
의 변화는 대략 다음 그래프와 같이 진행된다.
즉 바람직한 향미 성분은 서서히 증가하여 12년에 이르면 숙성이 거의 완결되어 술
은 매우 부드럽고 향기로워진다. 술 속의 숙취를 많이 일으키는 휴젤 오일(Fusel oil)
등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줄어든다. 또한 색깔은 초기에 급격히 짙어지며 숙
성이 진행될수록 비례적으로 짙어진다. 물론 숙성 중에 자연 증발이 되어 술의 양은 11
도에 2~4%씩 감소된다.
올림픽을 전후하여 위스키 음용량이 매년 20% 이상씩 증가하면서 술의 나이에 관한
관심도 크게 높아졌다. 1991년부터 양주류의 수입이 개방되면서 우리나라 시장으로 세
계 각국의 술이 밀려 들어오기 시작했다.
판매업체에서는 일반적으로 나이를 기준으로 품질의 우수성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주령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술의 품질이 우수한 것은 아니다. 숙성 이전에 어떤 원료를
썼으며, 어떤 제조 공법을 거쳤는지가 더욱 중요하다.
앞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증류주를 목통에 숙성시킬 때는 통상 12년이면
숙성이 완료되며, 더 이상 숙성을 하는 경우 목통에서 원하지 않는 성분이 지나치게 우
러나서 오히려 풍미가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진정한 술꾼이라면 자기 입맛에 맞는 술
이 최고지 굳이 술의 나이 논쟁에 휩싸일 필요는 없다.
알코올 도수
미국이나 영국에서 생산된 술의 알코올 농도는 PROOF로 표기되어 있다. PROOF가
도대체 무슨 뜻인가? 진위를 가린다는 말인가, 또는 물이 방수가 된다는 뜻인가. 물론
그런 이야기는 아니다. 그러나 이 용어의 탄생 배경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알코올이 농도에 따라 비중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알코올 농도를 측
정하기란 불가능했다. 물론 알코올 농도가 5% 이상 차이가 나면 냄새나 맛을 보아서도
대충은 구분이 되겠지만 정확한 것이야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위스키 제조과정에서 알코올 농도의 측정을 통해 공정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발효가 완료되었는지, 혹은 위스키 증류를 어느 시점에서 중단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려면 정확한 알코올 농도를 알아야 했기 때문이다.
1700년대 초 스코틀랜드에서는 증류주에 대하여 주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는데 세리와
양조업자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다. 영국은 일찍부터 종량세 제도(알코올 농도에 따라
주세를 부과하는 제도)를 도입했던 바 과세의 기준이 되는 알코올 농도를 둘러싸고 옥
신각신했던 것이다.
당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코올 농도를 측정했다. 100% 순알코올은 비중이
0.79로 물보다 가벼우므로 알코올 농도가 높은 술에는 기름이 가라앉는다. 따라서 기름
이 가라앉는 형태를 보고 알코올 농도의 높고 낮음을 추측했다.
알코올은 휘발성이 높아서 끓는점이 78.5도라는 것을 이용하여 천에다 일정량의 알코
올을 흡수시킨 다음 천이 마르는 시간을 측정하여 알코올 농도를 추정하기도 했다.
또 한 가지 방법은 알코올의 인화성을 이용한 것이다. 화약에 술을 부어서 불이 붙지
않으면 언더 푸르프(Under Proof), 파란색 불꽃이 꾸준히 붙어 있으면 푸르프(Proof),
그리고 화약이 폭발하면 오버 푸르프(Over Proof)라 하였다.
알코올 농도를 시험하는 사람들끼리 화약에 부은 알코올에 불꽃이 타오르면 "이것
봐 알코올 농도가 높다는 것이 증명(Proof)되었잖아."라고 말한 데서 PROOF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그러나 알코올은 농도가 60% 이상이면 위험물로 분류될 정도로 폭발성이 강한 물질
이기 때문에 그런 측정방법은 대단히 위험한 것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1802년 영국 정부에서는 확실한 알코올 농도 측정법에 관하여
현상금을 걸고 공모를 했다. 응답해 온 안 가운데 8가지가 선정되었는데 그 가운데 사
이키스(Sykes)가 고안한 비중계가 최우수작으로 채택되었다. 그는 알코올이 농도에 따
라 비중이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오늘날 비중 측정에 쓰이는 비중계를 고안하였다.
그는 영국 정부로부터 상금으로 2,000파운드의 거금을 받았다.
이때 발명된 주정계로 100PROOF를 환산해 보니 알코올 농도가 57.1%였다. 그 이후
국제적인 미터법이 제정되자 영국식 Proof System은 사용이 중지되고 % 단위의 농도
표시법이 일반화되었다.
미국에서는 알코올 농도 50%를 100PROOF로 정하였다. 따라서 미국산 술의 농도는
PROOF 값의 1/2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령 86PROOF인 미국산 버번 위스키의 알코
올 도수는 43%인 것이다. 다 아는 사실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알코올 농도를 도(%)로
표시하고 있다.
술의 맛과 향기
술의 질은 사람이 느끼는 순서대로 향과 맛, 그리고 뒤끝으로 평가될 수 있다.
알코올 발효는 효모가 당을 에틸 알코올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새로 생기는
물질의 대부분은 물론 에틸 알코올이지만 부산물로서 수백 가지 미량 성분들이 생성된
다. 메틸 알코올, 아세트 알데히드, 에틸 에스테르 등이 그것들이다.
술에는 수백 가지 향기 성분이 있는데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농도는 모두 다르다. 이
지각 농도는 대개 PPM(백만 분의 일) 단위의 극미량이다. 그런데 술의 향과 맛은 이
미량 성분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에틸 알코올은 휘발성으
로 인한 자극 외에는 무색, 무미, 무취이기 때문이다.
향과 맛을 표현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같은 술을 마시고도 사람마다 다른 표현
을 쓴다. 객관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가령 신맛이라 하면 맛을 보는 사람이 신맛
을 느낀 때의 경험이 다 다르기 때문에 같은 말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실제로도 다른
내용일 수 있다. 김치의 신맛과 식초의 신맛, 그리고 사과의 신맛이 다 다른것과 마찬
가지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용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향기
-향기로운(Fragrant): 과일 향, 꽃 향
-톡 쏘는(Pungent): 자극적이고 휘발성이 큰, 날카로운 향
기름 냄새(Oily), 약 냄새(Medicinal), 곰팡이 냄새(Mouldy), 나무 냄새(Woody)
*맛
-단맛(Sweet), 단맛이 없을 때(Dry)
-신맛(Acidic, Sour)
-쓴맛(Bitter)
입에서의 느낌
-부드러운(Smooth, Silky)
-거친(Harsh)
이러한 향과 맛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전문가들은 술의 질을 주
로 후각을 통하여 평가한다. 왜냐하면 연속해서 몇 개의 샘플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냄새를 맡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이다.
맛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하나의 샘플을 감정하면 술이 입 속에 묻기 때문에 다
음 샘플의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후각은 술의 품질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잣대가 된다. 여러 가지 술이 최종 제품으
로 탄생되기 전에 블렌딩된다.
예를 들어 포도주는 포도의 품종에 따라 혹은 수확연도에 따라 원료의 질이 달라지
므로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내기 위해 서로 다르게 양조된 것을 섞는다. 비슷한 이유로
위스키나 브랜디도 블렌딩을 한다.
블렌딩을 하는 사람을 마스터 블렌더라고 하는데 이들은 때에 따라 하루에 수십 종
류의 술을 감정해야 한다. 즉 그 회사 술의 품질은 마스터의 코끝에 달려 있다 해도 과
언이 아니다.
블렌더들은 신선한 공기가 잘 소통되는 그늘진 곳에 별도의 사무실을 갖고 있다. 그
들이 샘플을 감정하는데 영향을 줄 요소를 없애기 위해서이다.
술의 향기를 잘 모으기 위하여 냄새 맡는 잔은 튜울립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휘발성
이 강한 성분이 먼저 코를 자극하고 숨을 들이킴에 따라 전반적인 향이 코로 흡입된다.
마스터 블렌더는 머리에 기억되어 있는 냄새와 견주어 향을 판별하고 제품의 배합 공
식을 정한다. 블렌더는 자신만의 고유한 경험과 판단으로 술을 감정하므로, 사람들은
블렌더들을 예술가라고 부른다.
과학 기술이 발전할수록 그 고도의 기술로도 넘보지 못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1년에 한번 꽃을 피우는 난을 지극 정성으로 기른다. 꽃 한번 보고 향내 한
번 맡으려고... 미식가들은 맛난 음식을 먹으려고 수천리를 간다. 술도 그 향과 맛을 천
천히 음미하며 마시면 술의 깊이를 느낄수 있을 것이다.
술잔의 세계
차 마시는 문화가 성하여 다도라는 말이 생겼다. 다도에서는 물론 마시는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분위기를 제일로 치지만 다기와 그 사용방법도 중요하게 여긴다. 차를
끓일 때 물방울이 기벽에 부딪혀 나는 소리를 즐기고 차의 빛깔과 찻잔의 어울림을 보
면서 차의 맛을 음미한다. 주도에서 술잔은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있을까?
사람들이 모여 축제를 벌일 때는 어디나 술이 곁들여 진다. 축제는 모인 사람들 전원
이 술잔에 술을 가득 따르고 축배를 드는 데서 시작된다. 잔이나 배라는 말이 술 따르
는 그릇이라기보다 술 그 자체를 의미하게 되었는데 '한잔하러 가자'고 하면 술을 마시
러 가자는 뜻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옛날에는 모임의 수장이 하사하는 술이나 또는 술잔이 신임도를 나타냈을 것이다. 그
래서 오늘날까지 운동경기에서 우승을 하면 술잔을 상징하는 인증패를 준다. 우리나라
에서 2002년에 개최하는 월드컵이나 대통령배 등이 그 예이다.
술잔은 소뿔이나 조롱박 등의 자연에서 나는 그릇을 사용하는 데서 시작했을 것이다.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석기, 목기, 토기, 자기와 여러 가지 금속잔이 만들어졌다. 단순
하게 만들어진 술 따르는 용기에서 형태나 무늬를 넣은 작품에 이르기까지 예술성의
분포도 넓다. 기능적인 면에서도 술의 종류나 마실 때의 기후 등에 따라 다르다. 따라
서 멋들어진 술잔은 술꾼들뿐만 아니라 여인들의 수집용품으로도 인기가 있다.
술잔에 관한 글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의 저서 성호사설에는 주기보(술잔에 관
한 내력)가 있는데 예부터 내려오는 술잔의 종류를 설명했다. 술잔은 크기에 따라 다섯
종류로 나뉘고, 가장 작은 잔을 작이라 하는데 알맞다는 뜻이라 한다. 가장 큰잔은 산
이라 하는데 이 잔으로 마시면 취하여 다른 사람에게 책망을 받는다는 뜻이라 한다. 이
런 것을 보면 사람들은 예부터 술잔에 관하여 많은 흥미가 있었던 것 같다.
술잔은 마시려는 술의 종류나 도수(알코올 농도)에 따라 다른 것이 사용된다. 향이
매우 강하거나 그다지 감미롭지 않은 술을 마실 때는 주둥이가 넓은 잔을 쓰고, 향이
약하거나 미묘한 술에는 향이 모아져야 제대로 감상할 수 있으므로 튜울립처럼 주둥이
가 오므라든 잔이 사용된다. 맥주와 동동주같이 도수가 낮고 양이 많은 술에는 큰잔이
사용되고 위스키나 브랜디 등의 고도주에는 작은 잔이 사용된다.
이 밖에도 술잔의 모양은 서양식 와인 잔같이 대롱이 있는 것과 보통의 컵과 같이
대롱이 없는 것, 그리고 독일식 저그(Jug)와 같이 뚜껑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등으로 나
뉜다. 대롱이 있는 것은 동양의 향로처럼 조형미를 멋들어지게 낼 수 있는데 이 잔을
이용하는 장점은 손에서 잔으로 전달되는 체온을 조절할 수 있는 점이다. 즉 화이트 와
인은 낮은 온도로 저장된 상태로 음용 되는데 보통 때는 대롱만 쥐고 술을 마시지만
경우에 따라서 술이 담긴 부분의 밑을 손바닥으로 거머쥐기도 한다. 그러면 낮은 온도
에서 보존되어 있던 휘발성 향기 성분이 부드럽게 밖으로 나와 코끝을 자극하게 된다.
투구형으로 장식된 독일 맥주 잔은 대개 도자기로 되어 있는데 맥주 속의 탄산가스와
거품을 보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동양의 술잔은 대부분이 도자기제였다. 백주나 소주의 잔은 크기가 작고 청주 잔은
중간 크기이며 막걸리 잔은 커다랗다. 우리나라나 일본의 청주나 중국의 황주등 쌀을
원료로 만든 술은 50~60도로 데워서 마시는데 도자기 잔과 잘 어울린다. 금속으로 만든
잔도 있는데 금, 은잔은 최고급이며 주석잔은 맥주의 신선도를 잘 유지시켜 준다.
오늘날에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지만 그릇이 귀하던 옛날에는 소의 뿔로 만든 잔이
흔했다. 이것을 본떠 만든 밑이 뾰족한 잔이 있는데 일단 술을 따르면 마시든지 아니면
들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술을 들다'라는 말이 나왔는지도 모른다.
술자리에 없어서는 안되는 술잔. 술잔이 술을 마시는데 사용되는 도구로서뿐만 아니
라 생활에 멋을 더해 주는 장식물로, 또는 서로의 문을 열어 주는 상징물로 여겨진다면
술자리가 더욱 푸근할 것이다.
술병과 술독
애주가들은 술을 담는 그릇에도 정성을 쏟았으니 수 천년 전의 묘지에서도 종종 술
병이 출토된다. 술병은 다른 그릇과 같이 목기, 토기, 청동기, 고급 금속(금, 은)기, 도자
기, 유리등의 재료로 다양하게 발달되었다.
술병은 단지 술을 따르는 용도뿐만 아니라 실내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귀
한 손님에게 술을 대접하는 관습과 함께 술병이나 술잔도 예술적으로 품위 있게 제작
하고 장식했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전통이 이어져 동서양을 막론하고 응접실 장식장에
는 술병이 몇 개씩 진열되어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유리병이 대량 생산된 이후에도 술 제조회사에서는 수시로 특별한 용기를 개발하여
역사적 의미를 기념하거나 소비자들을 유혹하였다. 영국 여왕의 즉위에 맞춰 개발한 로
열 살루트나, 귀족적인 품위를 나타내는 나폴레옹 등의 병이 그러한 예이다.
술을 마시지 않는 여성들도 한정량으로 발매되는 술(병)을 데커레이션용으로 수집하
는 일이 허다하다. 술 제조업계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다양한 미니어처(Miniature)를 생
산하였다. 이렇게 되다 보니 미니어처 수집이 취미인 사람들도 많아졌다.
술병의 모양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흉내냈다. 집, 바이올린, 종, 범선, 자동차,
사람, 물고기, 펭귄, 말, 꿩, 대포, 주전자, 왕관, 기차, 지구본 등등. 술병은 참으로 좋은
장식물이다.
서양 술병의 모양은 기본적으로 주둥이가 긴 용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나 중국, 일
본에는 손잡이와 뚜껑이 있는 주전자 모양의 도자기 술병을 많이 사용했다. 동양에서는
수수와 쌀을 주원료로 술을 빚었는데, 이런 원료로 만든 술은 데워서 마셔야 제맛을 냈
다. 주전자형의 술병이 발달한 이유가 이런 데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반면 서양 술은 와인을 제외하고는 보리를 주원료로 맥주, 위스키 등을 만들었다. 보
리로 만든 술은 차게 해서 마시는 관습이 있으므로 술병을 단순한 모양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일설에 의하면 보리는 추운 겨울을 지내면서 자라므로 찬 기운이 더 어울리
고, 수수나 쌀은 여름에 자라므로 더운 기운이 더 잘 어울린다 한다.)
술 만드는 용기에는 큰 항아리나 목통이 쓰였다. 동양에서는 청주, 황주, 탁주 등의
술을 주로 항아리로 담갔다. 중국에서는 오늘날에도 백주를 담그는 데 큰 독을 사용하
고 있다.
서양에서는 맥주, 와인, 증류주의 발효 시에는 소나무로 만든 대형 통을 사용했고 와
인이나 증류주의 숙성 시에는 오크통을 사용하였다. 스테인리스 스틸이 발명된 이후에
는 발효 시에 스테인리스 용기를 주로 사용하나 전통적인 고급 술을 만드는 업체에서
는 아직도 목통을 사용한다.
증류주를 숙성하는 데 서양에서는 오크통을 사용하고 중국에서는 항아리를 사용하는
데 어떤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술독은 주로 기능적으로 발달된 반면 술병은 예술적으로 발전하였다. 술병과 술잔은
더욱 좋은 술맛을 내게 하고, 보다 정감 어린 공간을 연출하는 애장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술의 정원에 핀 꽃들
와인(WINE)의 세계
태양의 딸 와인
어떤 사람은 커피를 즐겨 마시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녹차를 즐긴다. 어떤 사람은 블
랙 커피를 마시고 어떤 사람은 커피에 프림과 설탕을 타서 마신다. 왜 그럴까?
이유는 아주 단순하다. 사람들은 각기 다른 맛과 다른 향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아
무도 다른 사람들의 기호에 대하여 왈가왈부할 수는 없다. 그런가 하면 자기가 맛보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자기의 기호를 알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아무리 술을 즐기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이 세상의 무수한 와인을 다 맛본다는 것
은 불가능하다. 세계의 주류 가운데 와인만큼 품종이나 품질이 다양한 술은 없기 때문
이다.
와인의 품질은 포도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포도의 품질은 포도의 품종은 말할 것
도 없고, 재배 지역의 토양, 그리고 포도가 익을 무렵의 일조량과 기온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
따라서 오랜 전통을 가진 와인 메이커가 동일한 포도원의 포도를 사용하여 만든 와
인이라 하더라도 해마다 그 품질이 달라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래서 와인은 가
장 역사가 깊고 가장 다양한 술이라는 평을 받게 된 것이다.
와인의 역사
사람들이 언제부터 와인을 마시기 시작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구약 성경에 의
하면 노아가 대홍수 후에 아라라트산에 정착하여 첫 농사를 지은 다음 포도주를 담가
마시고 대취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그 이전부터 이미 포도 재배와 와인 제조가 보편
화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제우스의 아들인 바커스가 포도 재배와 포도주 제조법을
지중해 연안으로 보급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포도의 원산지가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의
소아시아 지역이라는 식물학자들의 주장도 이러한 신화나 전설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
같다. 지금도 흑해 연안에 위치한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아라라트산에는 대규모 포도원
이 많고, '아라라트' 브랜디는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와인의 본격적인 세계적 전파는 로마 시대에 이루어진다. 와인의 은은한 취기에 흠뻑
매료된 로마의 지배자들은 프랑스, 스페인 등의 식민지에 포도원을 조성하여 좋은 와인
확보에 열을 올렸다. 그 덕분에 프랑스의 보르도, 부르고뉴 지방 등지에 있는 특급 포
도원들은 로마 시대 이후 2,000년 동안 명주를 생산하고 있다.
와인은 기독교 전파와 함께 그 뿌리를 더욱 깊이 내리게 되는데, 이것은 기독교 종교
의식에서 와인을 필수품으로 여겨 온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신,구약 성경에서 와인
을 언급한 구절은 수도 없이 많다. 특히 예수는 최후의 만찬에서 제자들과 더불어 빵과
와인을 나누어 먹으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빵은 나의 살이요, 이 와인은 나의 피니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흘리는 나의 피니
라.
그 때문에 와인은 성스러운 신의 선물로 간주되어 미사주로 사용되었다. 그리하여 중
세에는 수도원이 와인의 생산을 담당했으며 와인의 제조 방법 또한 수도원에서 발전되
었다.
16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유럽 각 국의 식민지 확산과 어울러 포도의 재배
와 와인 제조 기술은 전 세계로 전파되었다. 오늘날에도 와인의 종주국은 프랑스, 이탈
리아, 스페인 등이지만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남미에서 생산되는 와인들도 점점 그 영
역을 넓혀 가고 있다.
와인의 종류
와인은 색깔에 따라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 그리고 그 중간색인 로제 와인으로 나
뉜다. 화이트 와인은 청포도의 과즙만을 발효시켜 포도로부터 색소가 우러나지 않고 산
뜻한 맛이 나도록 한 것이다. 레드 와인은 과즙뿐만 아니라 과피의 색소를 추출하여 색
깔을 내고 묵직한 맛이 나도록 한 것이다. 로제 와인은 적포도를 으깨어 화이트 와인을
담그는 방법으로 발효하거나 발효된 적포도와 백포도를 섞어서 제조한다. 포도의 수확
시기는 약간 덜 익었을 때가 가장 좋다고 한다. 이때가 산도도 적절하고 향도 산뜻하기
때문이다.
이 포도를 따서 1~2주일 동안 발효시키면 포도당이 알코올과 미량의 향미 성분으로
변한다. 발효가 완료되면 찌꺼기에 함유된 바람직하지 않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여
과를 한다.
갓 발효된 와인은 맛과 향이 거칠기 때문에 이를 다듬기 위해서는 숙성 과정이 필요
하다. 숙성은 오크통에서 하는 방법과 병에 넣어서 하는 방법이 있다. 와인의 향기는
포도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아로마(Aroma)와 발효와 숙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케
(Bouquet)로 나뉜다. 숙성 기간 동안에 아로마는 점차 옅어지고 부케가 짙어진다고 한
다.
고급 와인의 라벨에는 포도의 수확 연도(Vintage)가 표기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 해
의 온도, 일조량 등에 의해 포도의 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취급된다. 와
인 전문가들에 의하여 평가되는 빈티지는 매우 신빙성이 있다. 프랑스 메독 지방의 빈
티지를 예로 들면 1961, 1977, 1978, 1983, 1985년 등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라벨에
적힌 지역 범위 또한 와인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데 범위가 좁을수록 고급 와인이라
고 봐도 무난하다.
일반적으로 레드 와인을 마시면 암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장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이것은 포도에 함유된 폴리 페놀이라는 물질이 산화 방지제 역할을 하기 때문
이다. 이런 작용으로 인해 실제로 동맥경화가 억제되고 심장병 발병률이 낮아진다고 한
다.
세계에서 일인당 음주량과 와인 음용량이 가장 많은 프랑스인들이 여타의 선진국 사
람들에 비해 심장병에 걸리는 숫자가 적고 장수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
하고 있다.
보르도(Bordeaux)와 부르고뉴(Bourgogne) 와인
와인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라 할지라도 보르도나 부르고뉴가 프랑스의 와인 명산지라
는 사실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 보르도나 부르고뉴는 명성에 걸맞은 뛰어난 자연 조
건을 지니고 있다. 이들 두 지역은 공히 수확기에 일조량이 많으며, 배수가 뛰어난 사
력질 토양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와 토양 조건은 포도와 와인의 품질에 결정적
인 역할을 한다.
한 예로 부르고뉴산 포도의 주품종인 '피노 누아'는 부르고뉴 지방에서는 세계 최고
의 와인을 생산하지만, 미국에서 재배된 피노 누아로 제조한 와인의 품질은 형편없는
수준이다.
보르도와 부르고뉴 지방에는 샤토(Chateau)가 잘 발달되어 있다. 샤토란 원래 성곽이
나 장원의 대저택을 말하는 용어이나 오늘날에는 와인과 관련하여 포도원을 뜻하는 말
로 쓰이고 있다. 프랑스의 원산지 표기법(A.O.C)에 의하면 샤토는 일정 면적 이상의 포
도원으로서 와인의 제조와 저장 시설이 완벽하게 갖추어진 곳을 의미한다. 보르도 지방
에는 약 3,000여 개의 샤토가 있다. 역사가 깊은 샤토에서는 성곽과 조화를 이룬 아름
다운 포도원이 관광객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보르도 지방의 유명한 지역으로는 지롱드 강을 끼고 있는 메독(Medoc)을 비롯하여
그라브(Graves), 소테른느(Sauternes), 포메롤(Pomerol), 생 밀리옹(Saint Emilion) 등이
있다.
메독은 세계 레드 와인의 심장부라고도 할 수 있다. 약 3,000만평에 달하는 포도원에
서 연 500만~700만 상자의 레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메독의 와인은 숙성 초기에는
타닌 함량이 높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그윽하고 기품이 있는 향미를 발산하여, 완
벽한 레드 와인이라는 찬사를 얻고 있다.
1855년에 정해진 그랑 크루 클라세(Grand Cru Classe)는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유지
되고 있는데 최고의 명문으로는 역시 메독의 샤토 마르고(Margaux), 샤토 라피트 롯쉴
드(Lafite-Rothschild), 그리고 샤토 라루트(Latour) 등이 손꼽히고 있다.
그라브는 영어로 Gravel(자갈)인데 이 지역의 토양이 배수가 잘되는 자갈밭이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인 것 같다. 1970년대 중반 이전에는 화이트 와인이 더 많이 생산되었
으나 그 이후로는 레드 와인을 더 많이 생산하고 있다. 그라브의 레드 와인은 부드럽고
숙성된 맛이 강하며 화이트 와인은 신선하고 산미가 강하다. 이 지역의 최고 명문으로
는 샤토 오브리옹(Chateau Haut Brion)을 들 수 있다.
소테른느 지역은 뛰어난 화이트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이 와인의 품질은 독일의
늦따기 포도로 제조한 와인과 유사하다. 이 지역의 수확기의 기후는 일교차가 매우 심
한 편으로 낮에는 햇볕이 강하고 밤에는 이슬이 많이 내리며 아침에는 안개가 짙게 낀
다. 그 때문인지 잘 익은 포도에는 곰팡이가 피는데 이 곰팡이가 스위트 와인에 미묘한
향기를 나게 만들어 준다. 소테른느 와인으로 샤토 디캉(Chateau d'Yquem)이 유명하
다.
포메롤은 연간 30만~40만 상자를 생산하는 조그만 지역인데 와인의 품질이 매우 뛰
어나서 가격이 비싼 것이 특징이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은 맛이 부드러우며 향
이 신선하고 풍부하다. 포메롤의 샤토 페투르스(Chateau Petrus)는 보르도에서 가장 값
비싼 와인을 생산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생 밀리옹 지역은 풍치가 뛰어나고 좋은 와인을 생산하며 이미 로마시대부터 널리
이름이 알려져 있었다. 이곳에서는 레드 와인만을 생산하고 있다. 생 밀리옹의 와인은
달콤하고 부드러우며 향긋한 과일향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유명한 샤토로는 오손느
(Ausone)와 슈발블랑(Cheval-Blanc)이 있다.
부르고뉴 지방의 와인과 관련된 유명한 두 가지의 이야기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최상
의 화이트 와인을 만드는 포도로 알려진 샤르도네(Chardonnay)를 가지고 제조하는 샤
블리(Chablis)에 관한 이야기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 등지에서 모조가 생산되어 싸구려
와인의 대명사처럼 굳어져 버린 버어건디(Burgundy의 영어식 발음)에 관한 이야기이
다.
미국의 화이트 와인 생산업자들은 부르고뉴의 샤블리에서 뛰어난 하이트 와인이 생
산되는 것을 모방하여 자기들이 생산한 와인의 샹표에 '샤블리'라는 표기를 많이 붙였
다. 또한 비슷한 이유로 레드 와인에는 '버어건디'라는 상표를 붙였었다.
미국에서 처음 와인을 생산할 당시 품질이 조악하다 보이 이런 식으로 모조 상표를
사용하지 않으면 와인이 전혀 팔리지 않았다. 이렇게 하다 보니 아예 레드 와인은 버어
건디, 화이트 와인은 샤블리로 불려지게 되었다.
부르고뉴의 A.O.C급 와인 생산 지역으로는 샤블리(Chablis), 코트 드오르(Cote d'Or).
마코네(Maconnais), 보졸레(Beaujolais) 등이 있다. 코트 도오르는 영어로 황금 언덕
(Golden slope)인데 가을 포도밭의 노란 단풍 색깔에서 유래된 것으로, 언덕길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세계적인 와인 산지의 표본이라 할 만한 지역이다. 이곳의 아인 생산량
은 메독의 3분의 1 정도인데 해마다 공급이 달려서 예약을 해야만 살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화이트 와인으로 유명한 코르통 샤를마뉴(Corton-Charlemagne)와 레드 와인으로 유
명한 샹베르탱(Chambertin)이 있다.
샤블리는 부르고뉴의 여타 와인 산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나 예로부터 부르고뉴 와
인 단지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이곳의 와인은 섬세한 신맛과 신선하고 깨끗한
과일향이 특징이며, 이곳은 실로 세계 최고의 화이트 와인 산지로 자리 매김되고 있다.
샤블리의 유명한 포도원으로는 레 클로(Les Clos), 블량쇼(Blanchots) 등이 있다.
마코네(Maconnais)는 마콩(Macon)시와 붙어 있는 지역으로 와인의 맛은 가볍고 신
선하다. 마코네 지역의 와인은 비교적 값이 싼 데 비해 품질은 우수하다. 마콩의 푸이
푸셰(Pouilly-Fuisse)는 품질이 뛰어나고 가격도 비싸다.
리옹(Lyon)시에 인접해 있는 보졸레 지역은 부르고뉴 지방 와인 생산량의 60%를 차
지하고 있다. 이곳의 토양은 배수성이 그다지 좋지 않아 포도 자체의 아로마는 그다지
좋지 않은 편이다. 그 때문인지 보졸레 지역의 와인 생산업자들은 과감하게 전통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포도의 품종과 발효 방식을 현대적인 다산성 방식으로 바꾸고, 판매
에 있어서도 '보졸레 누보(새오운 보졸레)'라 하여 최단 기간 내의 배달 방식을 도입하
고 있다.
보졸레의 와인은 기존의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의 특성을 함께 갖추고 있다. 보졸
레 지역의 대중 와인은 상표에 보졸레나 슈페리에(Superieur)로 표기한다.
프랑스의 지명이나 샤토명을 다 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세계 각지로
수출되는 프랑스 와인 가운데서 우수한 품질의 것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보르도
와 부르고뉴의 지명이나 유명한 샤토명 정도만이라도 알아두는 것이 애주가의 필수적
인 고려사항이 아닐까 싶다.
*샤토 디캉(Chateau d'Yquem)이야기
다이애나가 파리에서 비극적 최후를 마쳤을 때 필자는 언뜻 샤토 디캉이 떠올랐다.
찰스와 다이애나는 1981년 세기의 결혼식을 올릴 때 샤토 디캉으로 축배를 들었다. 다
이애나가 파리에서 마신 술도 샤토 디캉일까?
프랑스의 엘리제 궁에서 열리는 수 많은 연회에서는 언제부터인가 샤토 디캉을 공식
접대주로 써 왔다. 일본 왕궁에서도 공식 연찬에 이 술을 낸다 한다.
샤토 디캉은 미국의 3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이 1784년산 250병을 산 이래 미국에
서 최고의 와인으로 여겨졌다. 나폴레옹 시대에는 1802년산을 많이 저장하였으며, 러시
아의 왕궁에서도 1847년산 900리터를 사서 저장했다. 해마다 7만병으로 판매량이 한정
되어 있어서 미리 예약하지 않고는 살 수 없는데 한병에 600프랑에서 8,000프랑의 가격
으로 팔린다.
샤토 디캉 애호가들은 이 술에 최고의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 '신비의 묘약', '이국 정
취를 풍기는 열대 과일', '술잔 속에 떨어진 태양' 등으로 부르고 있다.
샤토 디캉은 어떻게 그렇게 오랫동안 품위를 유지할 수 있었을까? 샤토 디캉이 자리
잡고 있는 지역은 보르도의 소테른느인데 가을 아침 안개가 많이 끼고 낮에는 햇빛이
많아 포도의 당도가 풍부하고 늦따기를 하면 곰팡이가 적절하게 낀다. 포도 수확시기를
판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수확하는 인부들의 섬세한 감각도 와인의 품
질을 유지하는 데 큰 몫을 한다.
포도의 품종, 토양 성분, 포도원의 지형, 햇빛을 받는 각도 등에 따라 포도원의 각 구
획마다 포도 따는 시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포도원이라 하더라도 잘 숙성된
곳은 따되 덜된 곳은 나중에 수확한다. 포도송이를 하나 하나 골라서 따므로 시간도 많
이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든다. 또한 수확량도 해마다 다른데 어떤 해에는 디캉 포도원의
수확량 중 25%만이 품질 기준에 합격하였다. 그런 해에는 포도 한그루에서 1병의 디캉
와인이 생산되는 셈이다.
샤토 디캉이 명성을 오랫동안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이렇게 엄격한 품질관리 기준이
여러 세대에 걸쳐 지켜졌기 때문이다.
1986년 런던의 크리스티 경매장에서는 1784년산 샤토 디캉이 36,000파운드에 경매된
적이 있다. 혹, 샤토 디캉에 자금을 투자해도 되지 않을까?
독일의 늦따기 와인
독일인들은 양질의 와인을 만들려고 오랜 기간에 걸쳐 무던히도 애를 써 왔다. 그러
나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등 지중해 연안국에 비해 기후가 한랭하고 음습하여 포도
의 질이나 작황이 별로 좋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은 특별한 포도 재배 기술과 수확 방
법을 연구했다. 그 결과 오늘날에는 라인가우(Rheingau) 지역과 모젤 자르 루버
(Mosel-Sarr-Ruwer) 지역의 특수 와인이 당당히 세계의 고급 와인 대열에 자리를 차
지하고 있다.
독일의 라인 계곡에 가면 겨울철에인데도 주렁주렁 열린 포도송이가 하얀 눈으로 뒤
덮여 있는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바로 포도의 늦따기(Spatlese) 기법으로써
이 기법은 발견된 후 최고급 스위트 와인을 만드는 고전적인 포도 수확 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는 우연한 에피소드가 얽혀 있다.
중세의 수도원은 와인 생산을 독점하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의 수도사들은 와인 제조
기술을 보호하고 발전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18세기 라인 계곡의 포도원에서
는 수도원장의 허락 없이는 포도를 수확하는 것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었다.
1775년 실로스 요하네스 부르크에 있는 한 수도원장이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다른
지방에서 머물고 있었다. 그 사이 그의 수도원에 속한 포도원의 포도가 익었는데, 수도
원 사람들이 수확 허락을 받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을 했으나 허사였다. 이윽고 수도원
장이 돌아와 보니 포도는 농익어서 쭈글쭈글해지고 하얗게 곰팡이 마저 피어 있었다.
수도원 사람들은 하는 수 없이 그 상태로 포도를 수확하여 와인을 담갔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전에 없이 맛좋은 와인이 만들어진 것이다.
보통의 포도는 풋포도에서 나는 시고 약간 떫은맛이 포도가 익어 감에 따라서 사라
지는데, 이 늦따기 포도로 제조한 와인은 당도가 더 높으면서도, 동시에 곰팡이로부터
유래된 향긋한 신맛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한마디로 지극히 이상적인 와인이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 밖에 잘 익은 포도송이만을 골라 따서 만든 와인과 건포도 상태로 만든 와인, 그
리고 포도송이가 얼어 버린 다음에 수확하여 만든 와인이 있다. 기후의 핸디캡을 역이
용하여 멋진 와인을 만들어 낸 라인 계곡의 장인들에게 갈채를 보낸다.
오늘날에는 농기계가 발달하여 대부분의 농사일을 기계가 대신해 주고 있다. 그런데
유럽에는 아직도 예전부터 내려오는 전통을 고수하는 지역도 있다. 어떤 곳에서는 심지
어 포도 한 알 한 알을 손으로 골라서 따기도 한다. 물론 그 와인은 비싸기는 하지만
그만큼 품질의 차별화가 되어 있다는 얘기일 것이다.
필자는 수년 전 어느 겨울에 나이아가라 폭포를 방문한 적이 있었다. 나이아가라 폭
포는 겨울에 보는 것이 더 장관이다. 폭포수의 거대한 굉음과 양쪽 가장자리의 빙벽,
그리고 안개 방울들이 미세한 얼음 조각이 되어 비상하고 있는 나이아가라는 인간을
마치 몽유병에 걸린 환자처럼 허공에 띄우는 것 같은 느낌을 주었다.
필자가 누구인데 그런 곳을 어찌 그냥 지나칠 수 있으랴! 한 잔 하러 간이 주점에
들렀는데 동행한 친구가 아이스 와인을 한 잔 해보자고 꾀었다. 아! 그 맛이란... 나이
아가라산 아이스 와인의 향기가 부드럽게 얼굴 언저리를 감싸면서 감미로운 맛이 입안
에 가득 퍼져 나갔다. 나이아가라의 설경을 배경으로 하고 마신 아이스 와인의 묘미는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나이아가라의 아이스 와인은 제조법이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다. 기온이 섭씨 영하 10
도 이하로 내려간 날이 3일 이상 지속되었을 때 포도를 수확해야 한다. 한 겨울에 수확
한 포도는 냉동 건조되어 당도가 보통 포도의 2~#배나 높고, 향이 아주 풍부하다고 한
다. 그래서 아이스 와인은 나이아가라 지역이 특산품이 되었고 가격도 다른 와인의
3~%배 이상 비싸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품질이 워낙 좋아 공급이 달린다고 한다.
가까운 이들과 옛이야기를 나누면서 60~70년대의 추억을 더듬노라면 한겨울에 먹던
홍시의 맛을 떠올리게 되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필자의 고향집에도 뒤꼍에 고염
나무가 있었다. 해마다 서리가 서너 차례 내린 후에 고염을 따서 단지에 재어 놓고 엄
동설한에 한 사발씩 퍼다 먹던 기억을 잊을 수가 없다. 그 달콤하고 향긋한 맛의 기억
이 새롭다.
양조학이 상당히 발달된 후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늦따기 기법은 두 가지 면에서 매
우 과학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첫째는 포도송이가 자연 상태에서 얼고 녹으면서 바람
으로 인한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 냉동건조 효과로 인해 당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
째는 포도 맛이 미묘하게 변화되고 발효에 참여하는 미생물 집단이 다양해진다는 것이
다.
결과적으로 이 미생물들은 와인에 섬세한 맛과 향을 내게 한다. 이러한 현상을 가리
켜 프랑스에서는 푸리튀르 노블레(Pourriture Noble), 독일에서는 에델포일레
(Edelfaule), 영어로는 노블 롯(Noble Rot)이라고 부른다.
캘리포니아의 와인
미국이 와인은 뉴욕주에서 처음 제조되기 시작했으나 사람들이 황금을 찾아 서부로
대이동하여 캘리포니아에 정착하면서 이곳에서 와인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동부는 대륙성 기후로서 겨울이 너무 추워 포도 재배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았다. 이
에 비하여 서부 해안지방은 포도 재배에 이상적인 기후를 가지고 있었다. 태평양 연안
의 캘리포니아는 맑은 날이 많아 일조량이 풍부하고 겨울에도 별로 춥지 않다.
미국의 와인 제조용 포도는 대부분 유럽종이거나 미국에 자생하는 토종 포도의 개량
종이다. 미국 토종 포도는 겨울의 강추위에 대한 내성은 강하지만 이상한 냄새(Foxy
Flavor)가 나기 때문에 와인 제조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유럽종 중에서 화이트 와인용
인 샤르도네등은 미국의 기후와 토양에 잘 적응하였으나, 레드 와인용인 피노 누와 등
은 성공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의 와인 제조업자들은 토종 포도와 유럽 포도
를 접붙여서 미국의 기후에 알맞고 품질이 좋은 포도를 생산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화이트 와인용 세이블 블랑(Seyval Blanc)과 레드 와인용인 바코 누아
(Baco Noir) 등이 있다.
미국은 17세기에 유럽으로부터 이주한 청교도들이 중심이 되어 건국한 국가이므로
청교도적인 전통에 따라 금주 운동이 많이 일어났다. 1차대전 직후 전세계의 주류 산업
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14년간(1920. 1~1933. 12)의 금주령으로 말미암아 미국의 와인
산업에도 이 기간 동안 암운이 드리워질 수밖에 없었다.
미국의 와인 산업은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은
신세계였다. 따라서 어떠한 새로운 시도도 전통적인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실
험될 수 있는 곳이 바로 미국이었다. 와인에 있어서도 이러한 창의성이 유감없이 발휘
되었다.
캘리포니아의 유씨 데이비스(U.C Davis) 대학에서는 양조 학과를 설치하여 포도의
품종 개량과 발효 및 숙성에 있어 현대적인 기술을 접목하는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캘
리포니아의 와인 업계는 이 대학과 긴밀히 협조하면서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유럽의 포도밭에는 등급이 매겨져 있고, 와인 생산은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산업기술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자율적으로 보다 생산성이 높고, 보다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캘리포니아 포도원은 크게 3개 지역으로 나뉘는데 샌프란시스코 북쪽 해안에 위치한
나파 벨리(Napa Valley)와 소노마 카운티(Sonoma County) 지역, 캘리포니아 중부 내
륙의 산 죠퀸 벨리(San Joapuin Valley), 그리고 남부 해안지역의 몬트레이 카운티
(Monterey County)와 산타 클라라(Santa clara)가 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미국에서 생
산되는 와인의 약 90%가 생산되며 그 가운데 약 80%는 중부 내륙의 산죠퀸 벨리 지
역에서 생산된다. 나파 벨리와 소노마 카운티의 비중은 약 10%에 불과하지만 고급 와
인은 대부분 이곳에서 생산된다.
유명한 와인 메이커로는 볼리에 빈야드(Beaulieu Vineyard), 로버트 몬다비(Robert
Mondavi), 샤토 세인트 장(Chateau St. Jean) 등을 손꼽을 수 있다.
이탈리아 와인
이탈리아는 로마 시대부터 와인의 종주국이었다 한다. 근래에는 프랑스 와인의 품질
이 좋아 보르도와 부르고뉴 와인이 유명하긴 하지만 이탈리아 와인도 우수한 것이 많
다.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가족들 간의 유대 관계가 가장 높은 나라다. 그들은 대대로 내
려온 전통적 방법에만 의존하여 품질 개선에는 등한시했으나 1963년부터 프랑스의
A.O.C. 제도를 모방하여 D.O.C. 제도를 실시한 후 좋은 와인을 많이 생산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지중해성 기후로 국토 전역에서 포도가 재배되고 어떠한 품종이라도 잘
자란다. 따라서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의 생산 비율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탈리아 와인은 묵직하고 텁텁하며 산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지중해성 기후로 인
해 포도의 당분 함량이 높고 산도가 약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이 레드 와인이고 오크통
에서 장기간 숙성하며, 화이트 와인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그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
다. 이탈리아 와인의 주산지는 북서부 산악의 피에몬테(Piemont) 지방과 북동부의 베네
토(Veneto) 지방, 그리고 투스카나(Tuscany) 지방이다.
피에몬테에서는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레드 와인을 생산하는데 바르바레스코
(Barbaresco), 바롤로(Barolo)가 유명하다. 여기서 생산되는 와인은 알코올 도수가 높고
감칠맛도 있으며 신맛, 떫은맛, 쓴맛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베네토 지방에는 베로나를 중심으로 주변에서 대량의 와인을 생산하는데, 발폴리첼
라, 바르돌리노의 레드 와인, 소아베의 화이트 와인이 유명하다. 이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소아베(Soave)의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이다.
환상의 전원 플로랜스가 있는 투스카니 지방은 가장 품질이 우수한 와인을 생산한다.
특히 키안티(Chianti)의 레드 와인은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데, 레드 와인에 화이트 와
인을 섞어서 제조하는 것이 특이하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와인을 즐겨 마셔서 로마와 밀라노에 있는 중급 이상의 식당에
가면 의례히 와인을 마시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것도 3~5종의 다른 와인으로 세팅된
다.
처음 나오는 아페리티프 와인은 입에 침이 나오게 하는 신맛이 있는 화이트 와인이
거나 셰리나 베르무트이다. 테이블 와인으로는 생선 요리에는 화이트 와인이, 육류 요
리에는 레드 와인이 나온다. 디저트 와인으로는 단맛이 강한 화이트 와인이 나온다.
이탈리아인들의 식사에서 와인을 빼면 생활이 안될 것이다. 마치 독일인들에게 맥주
가 차지하는 비중과 같다. 따라서 싸고 좋은 품질의 와인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이탈
리아 와인이라 할 수 있다.
스페인 와인
1880년경 유럽 대륙은 와인의 기근에 휘말리게 된다. 미국으로부터 필록세라라는 해
충이 유입되어 포도의 싹을 갉아먹어 포도원을 황폐화시켰다. 그리하여 보르도 사람들
은 필록세라 난을 피하여 피레네 산맥을 넘어 스페인 북부 리오하(Rioja) 지역에 포도
원을 조정하였다. 이들로부터 전수된 포도 재배 기술과 양조 기술은 스페인 와인의 품
질을 한 등급 올려 놓게 되었다.
스페인의 와인은 이탈리아만큼 역사가 깊고, 8세기경 이슬람 교도들이 스페인을 지배
할 때 소아시아의 다양한 포도 품종이 유입되었다. 스페인은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기
후와 토양 조건이 적절하여 전국적으로 포도가 재배되며, 테이블 와인에서 강화 와인,
스파클링 와인(에스프모소)까지 다양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주산지는 북부의 리오하를 비롯하여 중부 내륙의 고원 라만챠(La Mancha) 지역, 그
리고 북동부 해안의 페네데스(Penedes) 지역이다. 리오하 얄타에서 생산되는 레드 와인
도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와인의 품질을 개선하고 지키기 위해 리오하에서는 통제 원산
지 호칭법을 제정하여 다른 지역의 와인과 차등을 두고 있다. 카탈루냐 지방의 페네데
스 지역에서는 에스프모소가 유명하고, 쌉쌀한 맛의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도 생산하
고 있다.
강화 와인
와인에 브랜디를 첨가하여 만든 혼성주를 강화 와인(Fortified Wine)이라 한다. 강화
와인은 와인 고유의 향미와 미네랄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으면서 또한 부패하지도 않으
므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유명한 강화 와인은 스페인 셰리, 포르투갈의 포트, 이태
리의 베르무트 등이다.
*셰리(Sherry) 이야기
셰리는 화이트 와인에 브랜디를 첨가한 일종의 강화 와인이다. 위스키나 브랜디의 숙
성법이 발달(18세기 중엽)되기 전까지 스페인의 셰리(Sherry)가 애주가들의 총애를 받
았다. 미숙성된 위스키나 브랜디는 알코올 도수는 높으나 향과 맛이 거칠었기 때문이
다.
셰리는 무척 합리적인 방법으로 숙성과 블렌딩이 된다. 셰리 통을 3~4단으로 쌓고 윗
단과 아랫단의 통들을 서로 연결하여 맨 아랫단에 있는 오래 숙성된 셰리를 따라 내고
그 만큼의 새 술을 맨 윗단의 통에 보충해 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셰리가 자동적으로
블렌딩이 되는 것이다.
솔레라(Solera)라고 하는 이 블렌딩 방법으로 인해 같은 양조장에서는 늘 균일한 품
질의 셰리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항상 새 술과 숙성된 술이 혼합되는 관계로 생산
한 포도원이나 수확 연도(VINTAGE)를 표기할 수는 없다. 사방에서 모인 다양한 포도
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셰리는 특이한 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와인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는 효모에 의
하여 생성된다. 숙성 초기 맨 윗단에서 생성된 향은 밑으로 내려오는 사이에 숙성이 진
행되면서 더욱 풍부해지고 맛은 부드러워진다.
셰리는 흔히 세 가지로 나뉘어 진다. 피노(Fino)는 신선한 사과 비슷한 향기가 있으
나 단맛이 전혀 없어서 식전에 마시기가 좋다. 아몬틸라도(Amontillado)는 피노보다 부
드럽고 색이 진하며 약간 단맛을 가지고 있다. 올로로소(Oloroso)는 묵직하고 구수한
맛이 있으며 셰리 중에서는 가장 단 술이다. 올로로소는 주로 식후에 마신다.
스페인에는 유럽 국가들 중에서 가장 많은 포도원이 있으며 다양한 토질에서 다양한
품종의 포도가 생산된다. 셰리는 이런 다양함을 모두 지니고 있으면서도 통일된 맛과
풍미를 지닌 스페인을 대표하는 술이다.
저녁 노을이 붉게 물드는 시간에 연인끼리, 혹은 다정한 친구와 함께 한잔의 셰리를
마시며 스페인 사람들처럼 열정과 낭만을 만끽해 보는 것은 어떨까.
*포트(Port)
11세기 중엽 왕가들간의 혼인으로 인해 프랑스 영토의 일부가 영국령이 되었는데 이
때부터 프랑스의 와인이 영국 및 유럽 전역으로 팔려 나가기 시작했다.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중반까지 영국과 프랑스는 영토의 영유권을 놓고 100년이 넘게 전쟁을 치렀다.
결국 이 전쟁에서 영국이 패하였는데 그때는 이미 영국인들의 식단에서 보르도산 레
드 와인(Claret)이 단골 메뉴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더 이상 보르도산 와인을 구할 수
없게된 영국의 와인 상인들은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찾게 되었다.
다른 많은 것들이 그랬듯이, 포트 또한 우연한 기회에 발명되었다. 1670년 영국 와인
상의 두 아들이 포르투갈의 두로(Duoro) 지역을 방문하여 와인을 구입하였다. 그런데
그들은 긴 항해 끝에 영국에 수입된 와인이 쉬어서 못쓰게 되는 것을 여러 차례 겪었
다.
그들은 배로 수송하는 동안 와인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까 하여 와인에 약
간의 브랜디를 첨가해 보았다. 그 후 영국에 돌아와 보니 와인은 부패하지도 않았을 뿐
더러 단맛까지도 있는 멋진 술로 변해 있었다. 그 후 포르투갈 와인에는 아예 브랜디를
첨가하고 이를 포트(Port)라 부르게 되었다.
두로 강 계곡을 낀 포르투갈 북부 지역의 토양은 자갈과 바위가 많은 척박한 땅이다.
이 지역의 기후는 여름철에는 매우 덥고 겨울은 춥다. 이런 조건에서 자란 포도에서는
아주 독특한 향미의 와인이 생산된다. 수세기 동안 영국 상인들은 이 지역의 와인을 블
렌딩하여 포트를 만들어 팔았다.
포트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만든다. 포도를 으깨어서 발효조에 넣으면 포도의 과피에
들어 있는 효모가 발효된다. 이때 포도당이 완전히 발효되면 와인이 너무 드라이(단맛
이 전혀 없는 상태)하므로 당도가 적정 수준으로 내려갔을 때 브랜디를 첨가한다. 그러
면 효모이 활동이 중지되어 자연적으로 원하는 수준의 단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포트의 최대의 장점은 다양한 블렌딩을 통해 컬러, 향, 맛, 당도 등을 다양하게 갖춘
술을 만드는 데 있다. 포르투갈에서는 이 블렌더들을 테이스터(Taster)라고 부른다. 그
들은 와인을 잔에 따라서 향기르 맡고, 불에 비추어서 색깔을 측정한다. 결국 포트의
품질은 이들 테이스터들의 오감에 의해 결정되는 셈이다.
포트는 세 가지로 나뉘는데 향과 맛이 무거운 적색의 루비 포트, 약한 호박색의 토니
포트, 그리고 청포도로 만든 화이트 포트가 있다. 특별한 빈티지가 있으면 빈티지 포도
를 만들 수도 있다.
빈티지 포트는 20년 정도 숙성된 것이 가장 맛이 좋으며, 최근의 것으로는 1975년 산
이 매우 좋은 빈티지 포트로 평가받고 있다. 포트는 단맛이 있으므로 주로 식후의 디저
트 와인으로 음용된다.
*베르무트(Vermouth)
베르무트는 아페리티프(aperitif: 식선주)로 스페인의 셰리와 함께 널리 애용되는 술이
다. 셰리는 와인과 브랜디의 조화로 만들어지지만 베르무트에는 각종의 향료 식물이 들
어간다. 박하를 비롯한 50~60가지의 향초가 들어가므로 맛과 향이 실로 다양하다.
우리나라에 한약재가 많이 사용되어 왔듯이 서양에서도 향초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
리스에는 와인에 향초를 넣은 와인이 많은데 이탈리아의 베르무트의 고향도 역시 그리
스이다.
베르무트의 주산지는 이탈리아의 피에몬테 지방이다. 베르무트는 향료 식물을 주정으
로 침출시켜 추출한 다음 와인과 섞어서 만든다. 알콜 도수는 16도(%) 내외이다. 당분
이 매우 높고 색깔이 짙은 스위트 타입과 색깔이 옅은 드라이 타입이 있다.
발포성 와인 샴페인(Champagne)
'펑' 소리와 함께 힘차게 솟아오르는 하얀 거품이 주인공의 머리와 얼굴을 적시는 풍
속화를 연상시키는 샴페인. 어느 때부터인가 샴페인은 각종 축하 모임에 빠질 수 없는
술이 되었다. 축제의 술, 샴페인은 17세기 말엽부터 전세계의 온갖 파티, 결혼식, 각종
축제일 등의 행사에 즐거움과 웃음을 더해 주는 술로 인정받고 있다.
로마 시대이래 와인 생산업자들은 와인의 발포성 문제로 고심을 거듭해 왔다. 포도의
수확이 끝난 후 와인을 발효시키면 가을에 1차 발효가 되고 겨우내 발효가 정지되어
있다가 봄에 또 다시 발효가 일어나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미처
분해되지 못하고 남아 있던 잔당이 2차 발효되는 현상이었다.
과거에는 인위적으로 발효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외부 온도에 따
라 발효가 좌우되었다. 따라서 와인은 발효가 끝난 후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
포가 자연히 날아가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는데, 이로 인한 와인의 손실이 많았
다.
발포성 와인은 와인의 발효시 생기는 기포를 인위적으로 보존하는 방법으로 제조되
었는데, 기포의 생성, 보존을 가능하게 해준 것이 코르크 마개이다. 보통 마개를 완전히
밀봉하면 2차 발효시 내부 압력을 이기지 못해서 튀어 오르고, 마개를 느슨하게 하면
공기가 들어가서 와인이 식초로 변할 우려가 있는데 코르크의 신축성은 이 문제를 해
결하였다.
코르크 마개를 개발한 동 페리뇽(Dom perignon) 신부는 샹파뉴 지방의 오빌레
(Hautviller)에 있는 성 베드로 사원에서 포도원 관리와 와인 제조 책임을 맡고 있던
인물이었다. 샹파뉴 지방은 파리의 북동부에 위치하여 포도 수확기의 날씨가 포도가 잘
익을 수 있는 온도에 비해 겨우 1~2도 높은 정도여서 샹파뉴에서는 포도가 익지 않는
해도 있었다. 1987년에는 기온이 너무 낮아 포도가 완전히 익지 않았다. 따라서 동 페
리뇽 신부가 샴페인을 만들기 전에는 이 지역의 와인은 싸구려 취급을 받을 수밖에 없
었다.
어느 해 봄, 동 페리뇽 신부는 동료들과 겨우내 저장해 놓았던 와인 병을 점검하던
도중 병을 살짝 건드리자마자 펑 소리를 내며 마개가 튀어 달아나고 와인이 솟구쳐 흐
르는 것을 보았다. 그는 동료들에게 외쳤다. "이것 보세요. 나는 지금 별을 마시고 있습
니다." 동 페리뇽 신부는 이 별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1690년경 동 페리뇽 신부는 스페인 수사들이 코르크 마개로 물통을 막는 것에서 힌
트를 얻어 코르크를 와인 병마개로 사용해 보았다. 그 이전의 와인 병마개는 보통의 나
무 마개에 아마포를 두르고 거기에다가 올리브 기름을 묻혀서 썼다. 이에 비해 코르크
마개는 탄력성이 있어서 아마포나 기름을 쓰지 않더라도 와인병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
했다. 코르크 마개를 쓴 와인은 기름이 섞이지 않아서 신선도도 훨씬 높았다. 이로 인
하여 와인의 숙성 기법 또한 비약적으로 발전되었다.
당시에는 청량 음료도 없었고, 맥주에 탄산가스를 가두어 두는 기술도 없었을 때였으
므로 와인 내부에서 반짝이며 솟아오르는 기포는 신기함 그 자체였다. 처음에는 샴페인
을 따르면 기포가 너무 반짝거리는 바람에 '악마의 와인'이라고 기피하는 사람들도 있
었다.
그러나 샴페인은 하늘로 용솟음치는 거품과 같이 즐거운 분위기를 창출하고, 맛이 상
큼하며 소화에도 도움을 주었기 때문에 각종 파티에서 빠져서는 안될 필수 음료로 자
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샴페인이 고급주로 자리 매김되기 시작한 것은 한참 뒤의 일이었다. 한 부인
이 우연한 기회에 와인에 생긴 찌꺼기나 앙금을 제거하는 방법을 고안하면서 비로소
샴페인은 고급주의 대열에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되었다.
2차 발효가 일어난 다음 경사진 랙에 병을 거꾸로 비스듬히 세워 저장하면서 몇 차
례 병을 회전시켜 주면 침전물이 병의 목 부분에 모이게 된다. 이때 탄산가스를 잃지
않으면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병목을 순간 냉동시켜서 침전물과 샴페인을 얼
린 다음 코르크 마개를 빼고 침전물을 꺼낸다.
여기에다 꺼낸 만큼의 부피에 상당하는 양의 설탕을 넣어서 당도와 탄산가스의 압력
을 조절해 준다. 이런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투명한 샴페인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샴페인도 여느 와인처럼 포도가 여무는 시기에 일조량이 많아서 당도가 풍부하고 잘
익은 해의 것은 빈티지 샴페인으로 분류된다. 숙성 기간은 프랑스에서는 1년 이상이나
보통은 3년 이상 숙성시킨다.
발포성 와인의 생산에 있어서는 개량식의 경우 대형의 밀폐식 탱크에서 발효 숙성시
켜 병입하거나, 병입할 때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방법이 주로 활용된다. 그러나 샴페인
의 원산지인 프랑스의 샹파뉴 지역에서는 지금도 전통적인 방법으로 세계 최고급의 샴
페인을 생산하고 있다.
샴페인은 A.O.C.에 의하여 샹파뉴 지역 내에서 생산된 제품만을 샴페인이라고 표기
할 수 있다. 그러나 샴페인의 경우 보르도나 부르고뉴 지역의 제품과는 달리 지역보다
는 제조 회사가 중요하다. 샹파뉴 지역 내에 있는 여러 포도원의 포도가 섞여서 제조되
기 때문이다. 가장 유명한 제조 회사는 모에 샹동(Moet Chandon)이며 샹표명은 동 페
리뇽이다. 이 회사 내에는 동 페리뇽을 기념하는 동상이 있다.
샹파뉴의 지하 와인 숙성고에는 지금도 사람들에게 인생의 즐거움을 선사할 엄청난
양의 샴페인이 숙성되고 있다.
와인가 라벨
1855년 나폴레옹 3세는 파리박람회 당시 프랑스 와인의 우수성을 세계 여러 나라에
널리 알리고자 우수한 와인을 선정하도록 명을 내렸다.
이 당시 보르도 지방의 와인 가운데 메독(Medoc)의 레드 와인과 소테른느
(Sauternes)의 화이트 와인이 그랑 크루 클라세(Grand Cru Classe)에서 1등급으로 인
정되었다. 이때부터 프랑스 와인은 생산지에 따라 품질의 등급이 정해지기 시작했다.
실제로 그 당시 1등급으로 자리 매김된 샤토(포도원)은 오늘날까지도 그 품질의 우수
성을 인정받고 있다.
프랑스 농업에서 와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았다. 그러나 막상 와인은 그 품질
이 너무나 다양하고 제조자의 수가 엄청나게 많아 소비자들은 도무지 무엇을 기준으로
와인을 구매해야 할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와인 판매자들이 너도나도 유명한 지역이나 샤토명을 상표에 도용하는 바람에
소비자들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런 폐단을 없애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제도가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32년에 '원산지 명칭에 관한 규정(A.O.C.)'이 확립되면서 비로소 이런 문
제들이 일소될 수 있었다. 와인이 제조되기도 전에 그 등급이 결정되어 있다는 것은 일
견 모순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우수한 등급을 가진 포도원들은 그 명성을 지키기
위하여 그만큼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기 때문에 이 제도의 취지는 철저하게 지켜지고
있다.
실로 프랑스의 보르도, 부르고뉴 지방은 세계의 술 창고라 일컬어질 만큼 와인 생산
량이 많고 품질 또한 우수하다. 프랑스의 A.O.C. 제도를 본떠 이탈리아와 스페인도 자
국 와인의 품질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좋은 와인을 고르기 위해서는 우선 상표 읽는 법을 잘 익혀야 한다. 물론 평
소에 자기가 좋아하는 브랜드가 있다면 무방하겠으나 워낙 방대한 와인 시장에서 자기
기호에 맞는 와인을 고르기란 그렇게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여기서 프랑스의 A.O.C. 제도와 상표 표기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와인 제조
업자가 원산지명을 상표에 표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8가지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지역 명칭
가장 기본적인 사항으로서 좁은 지역명을 사용하려면 그 좁은 지역이 타당한 국소
기후(Micro Climate)를 가지고 있는 지역인지, 또한 포도 재배에 알맞은 토양인지를 검
증받아야 한다.
*포도 품종
원산지 등급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포도의 품종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므로 포도의 품
종을 표기해야만 한다. 다만 이 품종은 역사적 경험에 의해 합당성이 증명된 것이어야
한다.
*알코올 농도
와인은 정해진 알코올 농도 이상이어야 하며, 와인의 발효시에 첨가되는 설탕의 양은
엄격히 준수되어야 한다.
*단위 면적당 생산량
일정한 면적에서 포도의 수확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와인이 희소성은 적어진다. 그 때
문에 지역별 적정 수확량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이 양은 대개 1헥타르의 면적당 포
도즙 기준으로 4,500~5,000리터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2,500리터인 지역도 있다. 이 생산
량은 해마다 각 지역의 기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포도원 관리 방법
단위 면적당의 포도 나무수와 포도 재배 방법 및 수확 방법을 준수해야 한다.
*와인 제조법
와인 발효나 숙성에 관하여 규정된 방법을 준수해야 한다.
*샘플 분석
발효가 완료된 와인은 반드시 관능검사 요원들(Testing panel)의 품질검사에서 합격
판정을 받아야 한다. 두 차례 불합격하는 경우 원산지 명칭을 사용할 권리가 박탈된다.
*병입
알사스 지방이나 샴페인으로 유명한 샹파뉴 지방 등에서는 반드시 그 지역 내에서
병입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
A.O.C.는 이처럼 엄격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상표만 보고도 그 품질을 믿고 그 제
푸을 살 수 있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생산되는 아인 가운데 15~30%는 A.O.C.급 와인이
다.
이때 상표에 표기한 지역의 범위가 좁을수록 그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나타내 준다. 예컨대 우리나라의 경기도는 쌀의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
나 실은 경기미 가운데서도 이천 쌀이 특히 우수한 품질로 여겨지고 있다. 만일 이천의
청풍 농장에서 생산되는 쌀의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공인되어 있다면 그 쌀의 상표에
이천 청풍미라고 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A.O.C. 규정으로 인해 프랑스의 와인 생산업자들은 포도원의 관리를 철저히 함으
로써 자기 포도원이 이름을 상표에 표기할 수 있도록 공인을 받았다. 이렇게 하여 프랑
스 와인의 품질은 향상을 거듭하여 왔으며, 지역과 포도원의 브랜드화가 저절로 이루어
지게 되었다.
*와인 라벨 읽기
아래 그림의 라벨에는 A.O.C. 표시가 생 줄리앙(Saint-Julien)으로 되어 있는데 생
줄리앙은 보르도의 메독 지역 내에 있는 작은 지명이다. 즉 Appellation Saint Julien
Controlle는 Appellation Bordeaux Controlle로 표기된 제품보다 품질이 좋고 가격이 비
싸다. 그중 샤토 라그랑쥬(Chateau Lagrange)는 생 쥴리앙에 있는 유명한 포도원의 이
름이다.
프랑스산 와인을 처음 접하게 되면 어떤 것을 골라야 할지 어리둥절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와인의 종류(레드 와인, 화이트 와인 등)를 결정하고 난 다음, 일단 A.O.C. 표기
가 있는 제품을 선택한다면 품질에 안심을 해도 큰 실수는 없을 것이다. 오랜 명성으로
얻어진 프랑스의 A.O.C. 제도는 그 자체로서 와인의 품질을 보증하기에 부족함이 없기
때문이다.
와인과 테이블 매너
식생활의 특성은 소비되는 술의 종류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예컨대 미끈미끈한 기
름을 많이 쓰는 중국 요리에는 입안과 목을 화끈하게 해주는 고량주가 알맞을 것이다.
육식을 위주로 하는 서양 식사에는 빠지지 않고 와인이 곁들여진다. 물론 유럽의 기후
와 토양이 포도 재배에 적합했기 때문에 와인이 대량생산될 수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는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서양인들이 식사 때 와인을 즐겨 마시는 것은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올바른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이탈리아를 비롯하여 프랑스나 스페인 등지의 포도원들 가운데는 로마 시대 당시부
터 포도밭으로 개간된 것들이 많다. 로마인들은 벌써부터 육식과 와인이 잘 어울린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고기를 많이 먹는 사람들은 체질이 산성화되기 쉽다. 그런데
와인은 자체로서는 산성이나 사람이 섭취하여 분해하였을 때는 알칼리성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고기를 먹을 때 와인을 함께 마시는 것은 체질의 산성화를 방지해 주는 적절한
조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인 다루는 법
와인을 저장할 때는 옆으로 비스듬히 눕혀서 와인 액이 항상 코르크 마개를 적시고
있게 하는 것이 올바른 저장법이다. 와인의 보관 장소로는 햇빛이 안 드는 서늘한(10도
내외) 장소가 좋다. 와인의 숙성 기간은 와인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로제 와
인은 2~3년, 화이트 와인은 4~6년, 레드 와인은 5~15년이 적절하다.
세계의 와인 포장에 쓰이는 코르크 마개의 90%는 포르투갈산이다. 코르크 마개는 탄
력이 좋고 조직이 치밀한 것이 좋다. 코르크 마개를 따는 데는 스크루가 달린 기구가
필요하다. 상식적인 얘기지만 마개를 딸 때 코르크 조각이 떨어지게 해서는 안된다. 그
러기 위해서는 마개 따는 기구의 스크루 부분이 코르크 마개에 적당한 깊이로 들어 갈
때까지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와인잔
와인잔은 대개 튜울립 모양으로 된 술을 담는 부분과 긴 대롱식의 손잡이, 그리고 원
형의 받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잔을 튜울립 모양처럼 주둥이 부분을 좁게 만든 이유는 와인의 향기가 한데로 모이
도록 한 것이다. 술은 인간의 5관을 모두 즐겁게 하는 것이므로 와인의 향과 맛뿐만 아
니라 색깔과 청징도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와인잔은 수정같이 투명한 것이 좋다.
와인잔의 크기는 100ml에서 250ml까지로 다양하다. 식전이나 식후의 와인잔은 대체
로 작은 것을 사용하고 테이블 와인용으로는 큰 것을 사용한다. 와인잔을 잡을 때는 반
드시 대롱 부분을 잡아야 한다. 튜울립 모양의 부분을 받쳐 잡으면 와인잔에 체온이 전
달되어 와인의 맛이나 향에 영향을 줄수 있기 때문이다.
와인잔에 얽힌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최초로 만들어진 와인잔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
장 아름다운 여인으로 손꼽히는 트로이의 헬레네(Helen)의 유방을 본뜬 것이라고 한다.
그후 프랑스에서는 루이 16세 시절 호화와 사치의 대명사처럼 알려진 왕비 마리 앙트
와네트의 유방 모양을 본뜬 와인잔을 만들었다.
왕비의 유방 모양을 흉내낸다는 것은 동양에서는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으
니, 아름다움을 뽐내는 서양 미인들의 기개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와인 감상법
잔에 와인을 따를 때는 3분의 2 정도를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잔을 받을 때는 잔
에 손을 대지 않고 다 따를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서양식 에티켓이지만 우리나라에서
는 잔을 손으로 들어서 받는 것도 무방하다고 생각된다.
와인을 감상할 때는 오관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 먼저 시각으로 즐기는 것이 중요하
다. 미묘한 금색이 나는 화이트 와인과 분홍색의 로제 와인, 그리고 검붉은 레드 와인
은 각기 청징스럽고 빛이 나는 휘도를 가지고 있다.
크리스털처럼 투명한 유리잔에 담긴 맑은 와인을 보는 즐거움은 와인을 즐길 줄 아
는 사람이 아니면 느낄 수 없다. 유리잔을 원형으로 천천히 흔들어서 와인을 잔의 내부
에 묻힌 다음 잔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와인을 보면 마치 바닷가에서 밀려오는 파
도를 바라보는 것 같은 부드러운 율동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잔을 코끝에 가까이 대서 잔에서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냄새를 맡고, 잔에 괴어 있는
향기를 들이키게 되면 전체적인 향을 음미할 수 있을 것이다. 원래부터 포도에 함유된
과일향(아로마: Aroma)과 발효나 숙성과정에서 생성된 부케(Bouquet)가 조화를 이룬
와인의 은은한 향기는 술꾼을 유혹하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맛도 혀끝에 닿을 때의 맛과, 입 속에서 느껴지는 맛, 그리고 목으로 넘어갈 때 느껴
지는 맛들을 모두 음미하는 것이 와인의 올바른 감상법일 것이다. 신맛, 떫은맛, 쌉쌀한
맛, 단맛이 고루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고 있는 와인의 맛은 와인의 종류마다 기준이 다
르다.
화이트 와인은 신맛이 발달되어 있고 레드 와인은 떫은맛이, 그리고 아이스 와인은
단맛이 발달되어 있다. 그래서 와인을 마실 때는 한 모금 들이킨 후 입 속에 잠시 동안
머금어서 충분히 맛을 음미한 후 목으로 넘기는 것이 좋다. 음식을 입에 넣고 와인과
함께 씹어도 좋은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와인과 요리
서양식의 고급 식사시에는 반드시 와인이 함께 나오게 마련이다. 식전에는 맥주가 식
전 와인을 대신할 수도 있으며 디저트 와인 대신 브랜디나 리큐르가 나오는 경우도 비
일비재하다. 그러나 식사 중에 마시는 술은 거의가 테이블 와인이라고 보면 틀림없다.
와인과 함께 음식을 먹을 때 서로 잘 어울리는 궁합에 따른 몇 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다.
-원칙1: 묵직한(heavy)것과 가벼운(light)것 끼리끼리
가벼운 맛을 내는 음식에는 가벼운 와인이 어울린다. 즉 새우, 바다 가재 등의 담백
한 갑각류 요리에는 라이트(Light)한 화이트 와인이 좋다. 닭 등의 가금류의 요리에는
그윽한 화이트 와인이나 로제 와인이 어울린다. 소고기 등 단백질이 풍부하며 맛이 묵
직한 요리에는 탄닌 성분이 많고 무거운 적포도주가 어울린다.
-원칙2: 단백질은 떫은 레드 와인, 지방은 신맛 나는 와인으로
지방은 탄닌의 떫은맛을 더욱 강하게 하고 단백질은 떫은맛을 흡수하여 제 삼의 부
드러운 맛을 낸다. 지방질은 신맛을 약화시키고 신맛은 느끼한 맛을 없애 준다. 소고기
는 떫은 레드와인이 어울리나 돼지고기에는 신맛 나는 레드와인이 더 잘 어울릴 것이
다.
-원칙3: 짠 음식엔 단맛 나는 와인으로
달거나 짠 음식은 단맛(단맛은 Sweet, 쓴맛 또는 단맛이 없는 것을 Dry라 함)나는
와인이 잘 어울린다. 우리나라 음식은 비교적 짠 음식이 많은데 짠 음식은 탄닌 성분을
더욱 떫게 만든다.
-원칙4: 식전에는 신맛 나는 와인, 식후에는 단맛 나는 와인으로
식전 와인(Aperitif)은 신맛 나는 화이트 와인이 좋다. 신맛은 침샘을 자극하여 침을
나오도록 만든다. 침은 알카리성이므로 산성을 중화하려고 계속 분비되기 때문이다. 반
대로 단맛은 침 분비를 억제하므로 식후에 디저트 와인으로 마셔야 한다.
와인은 식사의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용도로 구분된다.
-식전 와인(Aperitif)
식사 전에는 식욕을 돋우고 입안에 침이 돌 수 있도록 약간은 자극적 강화 와인이나
신맛이 나는 화이트 와인, 또는 드라이한 샴페인이 애용된다.
알코올 농도가 약간 높은 강화 와인은 스페인의 셰리, 포르투갈의 포트, 이탈리아의
베르무트(Vermouth) 등으로 이들이 대표적인 식전 와인이다. 화이트 와인으로는 산도
가 다소 높은 프랑스의 알사스 와인, 독일의 라인모젤 와인이 많이 쓰인다.
-테이블 와인(Table Wine)
식사와 함께 반주로 마시는 와인을 테이블 와인이라 한다. 테이블 와인은 요리의 종
류에 따라 다른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이트 와인은 맛이 가볍고 산뜻하므로 생선과 잘 어울린다. 일반적으로 화이트 와인
은 신맛이 있어 생선의 담백한 맛과 조화를 이룬다.
레드 와인을 육류와 함께 마시는 이유는 레드 와인에는 떫은 탄닌 성분이 많아서 육
류의 기름기와 짙은 향을 완화시켜 주기 때문이다. 닭이나 오리 등 가금류의 요리에는
비교적 향과 맛이 가벼운(light) 레드 와인이 사용되며 쇠고기나 돼지고기 등에는 중후
한 보르도풍 레드 와인이 애용된다. 레드 와인은 대부분 테이블 와인으로 쓰인다.
-디저트 와인(Dessert Wine)
식후에 먹는 단맛이 나는 음식은 입안의 침샘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식욕을 아물게
하는 의미가 있다. 같은 이유로 디저트 와인으로는 단맛이 강한 와인이 주로 사용된다.
좋은 디저트 와인으로는 소테른느 지방의 화이트 와인, 라인 벨리의 늦따기 와인, 나
이아가라의 아이스 와인 등이 손꼽힌다.
이러한 조합은 주로 프랑스의 궁정 미식가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그들은 각각의
와인이나 음식의 맛, 소화되는 상태 등에 관한 오랜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조
합을 만들어 낸 것이다.
물론 특이한 식성이나 개인의 기호에 따라 이와 다른 조합을 선호할 수도 있으나 대
체적으로 이상과 같은 조합을 선택한다면 크게 어긋남이 없을 것이다.
*테이블 매너
와인을 마실 때의 테이블 매너는 서양인들의 오랜 습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중 어
떤 것은 기능을 살리기 위한 것이며 어떤 것은 단순한 습관에 불과하기도 하다. 따라서
단순히 습관적인 것은 굳이 그대로 따라서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와인을 마실 때의 온도는 그 와인의 품질 특성에 따라 지켜 주는 것이 향
과 맛을 즐기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잔에 와인을 받을 때 잔을 그대로 탁자에 놓고
받는 것 정도는 굳이 지키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파티가 열리는 경우 그 파티를 주최한 호스트가 우선 자기의 잔에 약간의 와인을 따
른 다음 먼저 맛을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관습의 유래에 관해서는 엇갈린 이야
기가 있다. 전쟁 중 회담 타결 기념으로 술을 마실 때 그 술에 독이 들어 있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주인이 먼저 마셔 보인 데서 나온 관습이라는 것이 하나의 해석이
다.
한편 코르크 마개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보통의 나무 뚜껑에다 아마포를 싼 후 올리
브유를 발라서 밀폐하였는데, 술을 따를 때 와인에 올리브유가 혼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인이 먼저 맛을 보았다는 것이 또 하나의 해석이다. 어느 쪽이 정설
인지는 모르나 주인의 정중한 마음 씀씀이를 나타내 주는 멋있는 풍습이 아닐 수 없다.
고급 레스토랑에서는 웨이터나 소믈리에(Sommelier: 와인 및 음료 보관 및 서비스
관리자)가 카르트 드 뱅(Wine List)을 가지고 와서 와인을 주문 받는다. 소믈리에느 파
티의 주최자(Host)에게 와인의 상표를 보여 주고 그 와인에 대하여 설명해 준다. 호스
트가 와인을 시음한 다음 그 품질에 흡족해 하지 않을 경우에는 얼마든지 다른 것으로
바꿀 수 있다.
주최자가 와인에 만족하는 경우 손님들에게 와인을 따르도록 지시한다. 보통은 주최
자의 오른쪽에서 시작하여 여자 손님의 잔을 먼저 다 따른 다음,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남자들의 잔을 채운다.
첫 잔은 대개 주인의 제의에 따라 잔을 들어 건배를 외친 다음 한 모금을 마신다. 그
러나 술 마시는 양에 대해서는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자신의 주량이나 그 날의 컨
디션을 감안하여 자연스럽게 마시면 된다.
와인 담그기
'주여, 이제 때가 왔습니다'로 시작되는 시를 생각나게 하는 계절이다. 맑은 하늘에
거칠 것 없는 햇볕이 과일과 곡식을 무르익게 한다. 초가을의 과일을 대표하는 것은 뭐
니 뭐니 해도 포도이다. 중앙아시아의 아라라트산이 원산지인 포도는 기원전에 이미 동
서양으로 퍼졌다. 우리나라에는 포도의 사촌인 머루가 자생하여 예부터 머루주를 담가
마셨다.
와인을 담그는 방법은 다른 술을 빚는 것에 비해 간편하다. 왜냐하면 효모가 알코올
발효를 일으킬 수 있는 당의 대표격인 글루코오스는 바로 포도즙의 주성분인 포도당이
기 때문이다. 또한 포도 껍질에는 무수한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는데 그 중 효모의 수가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포도만 으깨어 모아 놓으면 알코올 발효가 일어난다.
그러면 어떻게 담그면 좋은 와인을 얻을 수 있을까? 우선 원하는 와인의 종류를 결
정해야 원료를 구입할 수 있다. 레드 와인을 원한다면 물론 적포도를 구입해야 할 것이
며, 화이트 와인을 원한다면 청포도를 구하는 것이 좋다. 핑크 와인을 만들고 싶다면
두 가지를 다 구입하여야 한다.
레드 와인을 담그려면 적포도(물론 포도 품종이 중요하나 시중에는 쉽게 구할 수 있
는 포도를 써도 가정용으로는 무난하다)를 깨끗이 씻은 후 으깨어 과피가 있는 채로
통에 담는다. 포도나 와인은 약산성을 띄므로 도자기나 항아리 또는 유리병, 스텐레스
통이 좋다.
과즙으로 통의 80%가량을 채우고 뚜껑을 닫되 완전 밀봉해서는 안된다. 용기와 뚜껑
사이에 면직물로 두르고 잘 밀착시켜 닫은 후 약간 묵직한 돌을 올려 놓으면 된다. 발
효가 일어나면 탄산가스와 함께 거품이 이는데 과도한 부분이 밖으로 분출되게 배려를
하는 것이다.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 좋으나 일반적으로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두고
쓰지 않는 직물로 덮어두면 주, 야간의 일교차의 영향이 거의 없게 된다. 알코올 농도
가 높은 와인을 원하면 적절하게 설탕을 섞어도 된다.
보통 1개월 정도면 발효가 완료되나 향, 미가 거칠어지므로 장기간 숙성이 필요하다.
11월 중순에는 좀더 두터운 것으로 덮어 보온하면 된다. 12월 말 크리스마스와 연말연
시에 뚜껑을 열고 고운 천으로 거르면 검붉은 레드 와인이 탄생된다.
화이트 와인은 청포도를 압착하여 과즙으로만 발효를 시키는 것 외에 담그는 방법은
레드 와인과 동일하다. 핑크 와인은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을 적절히 섞어 원하는 색
깔을 구하면 된다.
세계인의 음료 맥주(BEER)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술은 단연 맥주다. 맥주는 값이 싸고 사시사철 계절을
불문하고 제조할 수 있으며, 알코올 농도가 낮다는 점에서 가장 대중적인 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나라에서 만든 맥주든지 맛과 품질이 유사하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범
용성 있게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해외 여행 중 무엇을 마셔야 할지 애매할 때는
맥주를 선택하면 가장 무난할 것이다.
맥주의 역사
인체의 60~70%는 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살기 위해서는 하루라도 물을 마
시지 않으면 안된다. 사람들은 물을 공급하는 수단의 하나로 맥주를 마셨다. 옛날 사람
들의 평균 수명이 짧았던 가장 큰 이유는 수인성 질병이 많았기 때문이다.
맥주는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미생물에 대하여 저항력이 강하여 와인과 함
께 가장 안전한 음료로 여겨졌다. 맥주에 대한 찬사는 고대 이집트 시대의 벽화로부터
오늘날 세계 각지의 생맥주 집에 이르기까지 끊이지 않고 있다.
맥주 제조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B.C.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슈메르인의 유
적지에서 출토된 점토판에서 발견되었다. 이 방법은 맥아를 빻아서 빵을 만든 다음, 빵
에 물을 붓고 반죽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맥주르 만드는 것이었다.
한편 고대 이집트에서도 피라미드 건설에 동원된 인부들에게 맥주와 마늘을 배급한
기록이 남아 있다. 따라서 맥주 제조법 역시 와인 제조법과 마찬가지로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시작되어 이집트를 거쳐 유럽 각지로 전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북유럽에는 포도가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맥주가 이 지역 각지의 토속주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
중세에는 와인과 마찬가지로 수도원에서 맥주의 양조를 담당했다. 봉건 영주들이 수
도원에 양조권을 부여했기 때문에 수도원은 자가 소비하고 남은 맥주를 팔아서 많은
수익을 얻었다. 당시 최고의 두뇌 집단에 속하던 수도사들은 보리의 품종 개량과 양조
기술의 발전에 엄청난 기여를 했다. 그러나 기독교에서 성경에 언급된 와인의 해석에
관해 많은 논쟁이 벌어진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술로 인한 폐단도 적지 않았을 것이라
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13세기 보헤미아(체코)의 왕 웬체슬라스(Wenceslas)는 이미 1,000년 전 줄리어스 시
이저가 찬미했던 것처럼 맥주를 '고귀하고 전능한 음료'라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그는
교황에게 맥주 제조 금지령을 풀어 주도록 건의하였다. 이것이 체코에서 맥주 산업이
발달하게 된 원천이 되었으며, 이때부터 체코의 맥주가 전 유럽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
게 되었다. 1516년 바이에른 공국의 빌헬름 4세는 유명한 '맥주 순수령'을 반포하여 독
일 맥주 산업 발전의 초석을 쌓았다.
이전까지만 해도 각지의 맥주에는 토속 향료 식물이 첨가되었는데, 그 가운데서 호프
(Hop)는 맥주 제조를 위해 없어서는 안될 필수원료로 자리 잡게 되었다. 호프는 냉량
성 작물로서 체코나 독일 등지에서 주로 생산된다. 호프는 상큼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서 맥주의 쌉쌀한 맛을 내줄 뿐 아니라 맥주에서 윤택이 나도록 하는 청징작용도 한다.
18세기의 영국에서는 산업혁명 덕분에 맥주 양조 기술도 크게 발전했다. 그러나 20세
기에 들어와 독일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오늘날은 독일식 양조법이 전 세계
맥주 양조법의 모델처럼 간주되고 있다.
맥주의 원료
맥주의 품질은 원료의 품질과 양조 및 여과기술, 그리고 포장기술에 따라 좌우된다.
맥주의 원료는 수백년에 걸친 품종 개량을 거쳐 육종되었으나, 해마다 기후에 따라 품
질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엄선하지 않으면 안된다.
*보리
보리와 수수는 양조용 곡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 곡물들은 발아할 때 탁
월한 당화 효소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맥아(Malt)는 보리의 싹을 틔워 말린 것으로
흔히 우리가 엿기름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보리는 이로 깨물어야 부스러질 정도로 단단하지만 엿기름은 손으로 조금만 눌러도
쉽게 가루가 된다. 이것은 보리에 싹이 틀 때 나오는 당화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가
보리에 저장된 양분들을 분해해 버렸기 때문이다. 엿기름은 보리나 수수뿐만 아니라 옥
수수, 밀, 쌀 등의 곡물에 들어 있는 전분이나 단백질을 당분이나 아미노산으로 쉽게
분해 시켜 준다.
보통의 식용 보리는 6줄 보리로 토지 단위당 총 수확량은 많으나 양조용으로는 적합
하지 않다. 맥주 양조용 보리는 2줄 보리로서, 이 보리는 낱알이 크고 발아력이 왕성하
다. 2줄 보리는 유럽 등 온대 지방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경남, 제주 지
역에서 잘 자라는 편이다.
*호프(Hop)
중세 이래로 서양 사람들은 맥주 제조 시에 수많은 약초나 향료식물을 넣었는데, 그
가운데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것이 호프이다. 맥주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고대 바빌로
니아나 이집트에서는 호프를 쓰지 않았다. 이 시기의 맥주는 아마도 우리나라의 막걸리
와 흡사했을 것이다. 호프는 맥주의 신맛과 신선도를 향상시켜 주었고, 특히 보존성이
뛰어나 맥주의 대량 유통을 가능하게 해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호프는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있는 덩굴식물의 꽃으로서 작은 솔방울같이 생겼다.
그 가운데 맥주용 호프는 암나무의 꽃으로 만일 암, 수나무들 같이 심으면 수정이 일어
나서 호프의 중요 성분이 감소되기 때문에 암나무만 따로 재배된다. 호프는 냉량성 작
물로서 햇살이 잘 들고 서늘하며 통풍이 잘 되는 것에서 잘 자란다.
호프는 맥주에 특유의 쓴맛과 향기를 내준다. 탁한 것을 말게 해주는가 하면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기도 한다. 신장 결석이 있는 사람들의 예방약이 바로 맥주라고 하는데
이는 호프가 가진 탁월한 이뇨 작용 때문이다. 이처럼 오늘날에는 호프가 없는 맥주는
생각할 수도 없게 되었다.
호프가 맥주 양조에 기여하는 성분은 수지와 유기산이다. 이들의 조화는 매우 중요하
여 맛과 향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간혹은 맥주 거품이 지나치게 솟아오르는 현상을 일
으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호프가 주로 강원도 산간 지역에서 재배되는데 품질은 북한산에 비
해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북한산 호프는 품질이 좋기로 정평이 나 있으며, 북한이
내새우는 가장 중요한 수출품이기도 하다.
#녹색 황금 '호프'
독일의 어느 호프 농장에서 일하던 여성 인부 전원이 2~3일마다 생리를 하는가 하면,
남성들의 젖가슴이 여성처럼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일어났는데, 후에 이것은 호프에 함
유된 여성 호르몬의 작용 때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중세 수도원에서는 수녀들의 생리
가 불순할 때 호프를 끓여 마시고 효과를 보았으며 체코의 농민들 사이에서는 베개 속
에 호프를 넣고 잠을 자는 습관이 있었다. 호프 베개를 배고 자면 숙면을 취할 수 있었
기 때문이다. 이는 호프의 노란 가루 속에 진정 작용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명이 되
었다. 그 때문인지 독일에서는 호프를 '녹색 황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맥주 효모
효모는 자연 상태에서 땅, 식물의 표면, 공기 중의 어디에나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당이 있는 곳에서는 언제든지 발효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조건 하에서는 다
른 미생물도 얼마든지 공존할 수 있으므로 효모 관리에 특히 철저를 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효모의 종류에 따라 '발효의 효율이나, 맥주의 향과 맛에 영향을 주는 미량 성분
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각 양조회사마다 독특한 방식으로 효모를 관리하고 있다.
미생물은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생장, 생식을 하는 호기성 미생물과 산소가 없는 상
태에서 생장, 생식을 하는 혐기성 미생물, 그리고 산소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생존 방식
이 달라지는 임의성 미생물로 구분할 수 있다.
효모는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는 생장 및 생식을 하지만 산소가 없으면 알코올 발효
를 하면서 그 에너지로 생존하게 된다. 효모와 공기는 이러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발효 시에는 산소량을 적절하게 조절해 주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맥주 만드는 법
*맥아 제조
보리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고 따뜻하게 온도를 맞추어 주면 싹이 튼다. 싹이 적당
히 트면 맥아를 건조시킨다. 맥아는 건조 방법에 따라 효소의 활성이 달라지게 되며,
이때 형성된 맥아의 색깔은 맥주의 색깔을 결정하게 된다.
맥아를 건조할 때 열을 많이 가하면 초콜릿색으로 되는데 이 맥아로 양조한 맥주를
농색 맥주라 하고, 보통의 옅은 색 맥아로 양조한 맥주를 담색 맥주라고 한다. 오늘날
유통되는 대부분의 맥주는 담색 맥주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 OB, 크라운, 카스 맥
주는 모두 담색 맥주에 속한다.
*당화
맥아를 잘게 부수어서 맥분을 만든 다음, 담금 솥에 넣고 65도정도의 열수를 가하면
당화가 일어난다. 이때 부원료로 옥수수 가루를 넣어 주더라도 맥아의 효소가 있기 때
문에 당즙을 얻을 수 있다. 이 당즙에 호프를 넣고 100도로 끓이면 당즙이 살균되는 것
과 아울러 호프 특유의 향기와 쓴맛이 우러나게 된다. 멸균된 당즙은 냉각 과정을 통해
발효에 적정한 온도로 맞추어진 다음 발효조로 이송된다.
*발효와 숙성
발효조로 당액이 이송됨과 동시에 효모가 첨가된다. 이때 발효조 내부의 온도, 공기
량, 탄산가스의 압력 등 발효 조건이 잘 조절되어야 한다. 발효시의 온도는 효모의 종
류에 따라 다른데, 상면 효모는 20도 내외에서, 하면 효모는 7도 내외에서 발효를 잘
일으킨다. 발효 시 효모가 당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한다. 냉각 기술이 발전되
기 전에는 영국식의 상면 발효가 맥주 양조 기술을 주도했다. 그러나 오늘날의 맥주 양
조에서는 주로 독일식의 하면 발효를 이용한다.
발효의 초기에는 먼저 효모가 맥즙과 발효조 상단의 빈 공간에 있는 산소를 이용하
여 활발하게 증식한다. 그 다음 단계로 발효조 내부에 있는 산소가 고갈이 되면 효모는
알코올 발효를 시작한다. 알코올 발효는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효모가 살아 나가는 방
편이다. 발효 시 효모는 당을 분해하여 에틸 알코올과 탄산가스를 생성한다.
효모는 에틸 알코올을 주로 만들지만 이때 수백 가지의 다른 미량 성분들이 부산물
로 생성된다. 이 성분들은 맥주의 향기와 맛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생량을 잘 조
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인 발효과정에서는 1주일 정도의 전발효가 진행된 다음,
1~3개월 가량의 숙성(후발효) 기간이 필요하다.
전발효 기간 중에는 주로 당이 에틸 알코올로 변환된다. 자연계는 참으로 오묘한 조
절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연 속에서는 인간을 포함한 누구도 영원한 강자가 될 수 없
다. 효모는 발효 초기에는 20분마다 2배로 증식을 한다. 그러다가 산소가 고갈됨에 따
라 증식이 멈추는 대신 악조건 하에서 알코올 발효를 일으키며 생존을 유지하는 것이
다. 그러나 알코올 농도가 점점 높아감에 다라 효모는 활성을 잃게 되고, 알코올 농도
가 4% 이상이 되면 효모는 자가용해(Autolysis)되기 시작한다.
효모의 전성기가 끝나면 이번에는 유산균이 번식하기 시작하는데 유산균은 젖산과
미량의 향미 성분들을 생성한다. 유산균 역시 유산의 함량이 높아지면 자가 용해된다.
숙성 기간은 이런 후발효의 과정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전발효만 일어날 상태의 맥
주는 향이 밋밋하고 맛이 거칠다. 맥주의 향과 맛은 후발효에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에일(Ale)과 라거(Lager)
맥주의 효모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발효가 끝나면 거품과 함께 위로 떠오르는
효모를 상면 효모, 밑으로 가라앉는 효모를 하면 효모라고 한다. 19세기 이전에는 상면
효모가 대부분이었으나 오늘날은 주로 하면 효모가 이용된다.
토양 상면 발효시킨 맥주를 에일(Ale), 하면 발효시킨 맥주를 라거(Lager)라 한다. 따
라서 라거 맥주 공장은 하나의 거대한 냉장고라고 생각할 수 있다.
*여과 및 포장
맥주의 여과와 포장은 미관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관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맥주 발효에 참여한 효모나 유산균 등 미생물까지 완벽하게 걸러 낼 수 있는 오늘날
의 여과기술이 도입되기 시작한 10여 년 전부터 세계 각지에서는 '병 생맥주'논쟁이 벌
어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병 맥주는 병입한 후에 맥주 내에 있는 미생물을 죽이기 위하
여 약 62도로 저온 살균을 했다.
그러나 맥주의 온도가 올라가서 일단 데워지게 되면 향미 성분이 화학 변화를 일으
켜 맥주의 맛과 향이 약간은 변하게 마련이다. 음식물이 신선했을 때와 그것을 구웠을
때의 맛이 다른 것과 같은 논리다. 따라서 종래에는 병입한 후 저온 살균하는가의 여부
에 따라 생맥주와 병맥주를 구분했다.
어떤 맥주의 향과 맛이 좋은가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의 기호에 달려 있다.
어쨌거나 병입한 이후 저온 살균하는 방식 대신 미세한 여과 방식으로 미생물을 제거
한 맥주는 '병 생맥주'라 불리게 되었다.
독일의 맥주
맥주의 종주국으로 자처하는 독일에는 1,800여 개의 맥주 양조장이 있다. 그 중에는
레벤 브로이 같은 큰 회사도 있으나 대부분은 우리나라의 막걸리 양조장처럼 소규모로
서 각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알프스로부터 발원하는 독일의 강들은 대부분 석회
분의 함량이 높아서 음료수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 때문에 예로부터 맥주를 음료수 대
용으로 마시지 않았는가 생각된다. 따라서 '독일의 대표적인 맥주가 이것이다'라고 말하
기는 대단히 힘든 일이다.
독일의 맥주 산업이 발전하는 데는 16세기 바이에른 공국의 빌헬름 4세의 양조 정책
이 큰 기여를 했다. 그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맥주는 수도원에서 제고되었다. 빌헬름
4세는 양조권을 장악하고, 공국의 직할 양조장인 '호프 브로이 하우스'를 설립했다. 그
는 이른바 '맥주 순수령'을 내렸는데 그 내용은 '맥주의 원료로는 보리와 호프, 그리고
물만 사용하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당시 각 지방의 맥주에는 갖가지 향료 식물이 사용
되었는데 이 명령으로 인하여 호프가 고정 원료로 사용되게 된 것이다.
필자는 독일인 친구로부터 파티에 초대받은 적이 있는데, 그는 10여 종의 독일 맥주
를 내놓았다. 아주 쓴 것부터 쓴맛이 적은 것, 색깔이 짙은 것부터 옅은 것에 이르기까
지 그 종류의 다양함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독일인들은 자기들의 맥주가 세계
에서 으뜸이라는 자부심이 대단했다.
독일인들은 일인당 연평균 300병(150리터)의 맥주를 마신다고 한다. 뮌헨에서는 매년
옥토버 페스트(10월의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는 1810년에 바이에른의 왕비 테레사를
기념하여 처음으로 개최되었는데, 그 후로 연례적인 민속 행사가 되었다. 축제의 중심
지는 '테레사 가든'이라고 불린다. 옥토버 페스트는 원래 승마, 사격, 브라스 밴드, 민속
춤 등의 경기와 말, 소등의 가축 품평회가 열리는 지방 축제였다. 이것이 100여 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맥주 페스티발로 정착된 것이다.
매년 9월 20일 정오, 뮌헨 시장이 첫잔을 드는 것으로 시작되는 옥토버 페스트는 10
월 첫 번째 일요일까지 계속된다. 이 축제에 참가한 500만여 명의 사람들은 마치 코끼
리가 물을 들이키듯 약 500만 리터의 맥주를 마셔 댄다.
옥토버 페스트에 필적할 만한 슈투르가르트의 칸스타트 축제는 1818년부터 개최되었
다. 슈투르가르트에는 독일에서 가장 넓은 장터가 있는데 4,500명분의 좌석이 있는 4개
의 천막에서 맥주 파티가 벌어진다.
독일에서는 전통적으로 1리터 짜리 대형 도자기 잔으로 술을 마셨는데 60년대부터는
500ml, 400ml, 300ml, 250ml 등의 유리잔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프랑스에 노천 카페가, 영국에는 펍(Pub)이 있는 것처럼 독일에는 비어 가든이 있다.
뮌헨 한 곳에만도 100여 개의 비어 가든이 있는데, 뮌헨 사람들은 이른 저녁부터 나두
밑에 놓여진 원탁과 의자에 삼삼오오 모여 앉아서 맥주를 마신다. 겨울철에는 물론 실
내의 비어홀에서 마시는데 이 비어 홀에는 언제나 브라스 밴드의 경쾌한 선율과 함께
왁자지껄한 생기가 넘쳐 흐른다.
영국의 전통 에일(Ale) 맥주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세계 대부분의 맥주 제조 기법이 하면 발효식의 담색 맥주로
변화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아직도 상면 발효식 에일 맥주가 주로 음용되고 있다. 에일
맥주는 상온(15~25도)에서 양조되므로 당연히 맛과 향도 상온에서 가장 좋다.
따라서 영국에서는 찬 맥주가 그리 흔하지 않다. 영국 맥주의 맛에는 뭔가 독특한 요
소가 있어서 적응하기에는 다소 경험이 필요하다. 처음에는 이상하게 느껴지지만 일단
그 맛에 젖어 들면 마치 김치처럼 그 맛을 잊기 어려운 것이 바로 영국식 에일 맥주이
다.
영국의 펍에 가보면 우선 맥주의 종류가 매우 다양한 데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
다. 조그마한 동네 펍이라 하더라도 보통 한 다스 이상의 다양한 맥주를 보유하고 있
다. 스타우트, 에일, 라거에 각각 마일드나 비터가 앞에 붙어서 '비터 스타우트', '마일드
에일' 등 그 종류가 실로 다양하다.
기네스 북 때문에 널리 알려진 기네스 맥주는 짙은 초콜릿 색깔의 스타우트를 고집
하고 있다. 1759년 아일랜드의 더블린에서 설립된 기네스 맥주는 색깔이 아주 짙은 농
색 맥주로서 맛이 텁텁하여 향기가 매우 짙다. 기네스 맥주가 알려지면서 스타우트는
처음으로 영국에서 전국적으로 인기 있는 맥주가 되었는데, 그 이전에는 각 지역마다
독특한 스타일의 맥주가 있었다.
오늘날 스타우트는 포터(Porter)라고도 불린다. 워낙이 맥주가 인기가 있어서 맥주
배달인이 오면 기다리던 사람들이 '헤이 포터'하고 부른 데서 아예 맥주의 이름이 포터
가 되었다는 얘기도 있다.
포터에는 호프를 많이 넣기 때문에 무척 쓴맛이 난다. 그런데도 포터는 아일랜드 사
람들의 생활의 일부분이 되다시피 했다. 아일랜드의 유명한 문인 돈레비(Donleavy)는
"내 죽으면 포터의 배럴이 되어 더블린의 모든 펍으로 포터를 나르겠노라."라고 노래했
다.
영국에서 맥주 판매량이 가장 많은 바스사는 담색 에일을 생산하고 있다. 1882년 마
네가 그린 유명한 술집(The Bar at the Foliers-Bergeres)그림을 보면 바스 맥주가 진
열되어 있다. 바스사의 사람들은 샴페인과 함께 진열된 바스의 담색 에일이야말로 세계
최고의 품질이라고 뽐낸다.
영국의 맥주집은 펍(Pub)과 라운지(Lounge)로 구분되어 있다. 하나의 술집이 두 파
트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펍과 라운지는 특별한 차이는 없으나 대개 여
자 친구와 함께 술집을 찾을 경우는 라운지에 앉아서 술을 마시고 남자들끼리 술을 마
시는 경우는 펍에 서서 술을 마신다.
영국의 전통 펍에 가면 포켓볼이나 다트가 있어 술을 마시면서 게임을 즐기는 사람
이 많다. 영국 정부는 오래 전부터 주류 제조회사들과 함께 '센스 있는 음주' 캠페인을
벌여 왔다. 그 가운데 하나가 술을 천천히 마시자는 것이다.
영국의 펍들은 대개 맥주 제조회사들이 소유하고 있다. 제조회사들은 정부의 시책에
호응하여 펍에다 그러한 놀이 기구들을 설치함으로써 폭주를 막는 데 일조를 하였다고
한다.
5월에서 10월까지 사이에는 영국의 각지에서 토산물 품평회가 열린다. 이러한 품평회
는 사이먼과 가펑클(Simon & Garfunkel)이 히트시킨 노래 스카브로 페어 (Scarbrough
Fair)를 연상시킨다.
수만평은 족히 됨직한 넓은 광장에 수십개의 대형 텐트가 쳐지고 각종 농산물, 동물,
수제품 등이 전시, 판매된다. 이때 갖가지 음식과 함께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바로
맥주다. 거품이 유난히 많은 커다란 맥주 잔을 들고 토론을 벌이는 영국인들의 정겹고
활기찬 풍경이 선하게 떠오른다.
#에일 파티(Ealo)
중세의 영국에서는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린 다음 하객들이 전부 신부집(Bryd)에 모
여서 에일 파티(Ealo)를 했다. 그 때문에 신부와 에일이라는 두 개의 단어가 합성되어
결혼식(Bridal)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고 한다. 유럽에서 가장 보수적이며 전통 지키기
를 좋아하는 영국 사람들은 오늘날까지도 에일을 즐겨 마시고 있다.
체코의 맥주
세계의 맥주 애호가들은 체코의 맥주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 체코의 필즈너
(Pilsner) 맥주는 오늘날 전 세계 담색 맥주의 근원이 되었고, 버드바(Budvar) 맥주는
세계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브랜드인 미국의 버드와이저(Budweiser)의 시조나 마찬
가지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체코에서는 9세기 무렵부터 호프가 재배되었다. 체코
의 호프는 세계에서 가장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어서 세계 각국으로 수출
되고 있다.
13세기 체코의 왕이었던 웬체슬라스는 수도원에서만 제조될 수 있는 맥주를 일반인
도 양조할 수 있도록 교황 인노센트 4세로부터 허가를 얻어냈다. 이때부터 체코의 프라
하와 블타바(Vltava)강이 맥주의 고향이 된 것이다.
보헤미아의 맥주 집은 1600년경부터 존재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전 유럽에서 유명한
존재였다. 이 맥주 집들은 각기 보리나 호프 농장을 가지고 있는데 거기서 수확한 작물
을 대형 양조장에다 위탁 제조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른바 맥주 분업이 시작된
것이다.
여기에서 근대 대형 맥주 공장의 효시를 찾을 수 있다. 보헤미아의 선술집에는 유명
한 '후랜타스 룰(Franta's Rull)'이라는 것이 있을 정도로 맥주가 사랑 받고 있으며 대
중화되어 있다. 후랜타스 룰 중 하나는 '마음껏 먹고 취한다면 쉬이 죽은들 어떠리'라는
것이다.
보헤미아 맥주의 종류는 아주 다양하다. 밀, 보리, 귀리에다 호프, 쥬니퍼, 감귤 등을
넣어 향과 맛을 낸 것이 있으며, 숙성 기간도 긴 것, 짧은 것이 있고 색깔 역시 아주
옅은 것에서 심지어 붉은 것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이다. 필젠 맥주의 특징은 경도가
매우 낮은 물을 사용하는 관계로 맛이 단백하고 호프 향이 짙다는 점이다.
체코의 맥주는 대체로 탄산가스의 양이 많으며 따라서 거품이 매우 짙고 오래 간다.
체코인들은 거품을 '맥주의 혼'이라고 부른다.
체코의 선술집에는 여러 종류의 머그잔이나 도자기, 혹은 목재의 손잡이가 달린 뚜껑
이 있는 잔이 수십 개씩 진열되어 있다. 이것들은 단골 손님들의 개인 소유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체코인들은 음식을 먹을 때면 항시 맥주를 곁들인다. 체코는 호프와 맥주
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나라로서, 체코인들은 일인당 연간 약 340병(170리터)의
맥주를 마시고 있다. 따라서 체코야말로 가히 세계 최고의 맥주 애호국이라 할 수 있
다.
야생의 맥주 램빅(Lambic)
벨기에의 브뤼겔 지역에서 생산되는 태고의 야생 맥주는 전 세계 맥주 애호가들의
호기심을 발동시키고 있다. 16세기 말엽 이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 브뤼겔의 '농부의 춤'
은 바로 이곳의 민속 맥주를 항아리 만한 잔으로 마시면서 추는 춤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 벨기에 관광국이 지정한 브뤼겔 루트를 따라가면 이곳저곳에서 조그만 양조장을
만나게 되는데 여기에서 바로 그 유명한 램빅(Lambic) 맥주들이 생산되는 것이다.
램빅 맥주는 현대적인 개량된 제조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파스퇴르가 미생물의 존재
를 확인하기 이전의 전통적인 맥주 제조 방법을 아직까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즉 맥
즙을 대형 목재 발효조에 넣고는 그대로 방치해 두는 것이다. 천장이나 벽에는 케케묵
은 자루들이 제멋대로 걸려 있는데 아마도 이것들이 미생물의 공급원이 될 것이다.
이 양조장들의 발효실은 수 백년 동안이나 청소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하루라도 뒤
질세라 극심한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오늘날, 램빅 맥주 양조장 주인은 그의 발효실에
있는 먼지 하나라도 변화할까봐 노심초사하고 있으니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램빅 맥주는 자연 발생적으로 발효를 일으키기 때문에 발효기간이 매우 길다. 1년 발
효된 맥주는 아직도 젊다고 하여 2년 이상 된 맥주라야 비로소 마시기 시작한다. 램빅
맥주의 대표격인 팀머만즈(Timmermans) 양조장에는 75년 동안 숙성시킨 발효조도 있
다. 램빅 맥주는 다양한 색깔로 제조되는데 발효조에 과일을 넣어 과일의 맛, 향, 그리
고 색깔이 우러나게 하는 것도 있다. 이 과일 맥주를 구에제(Gueze)라 한다.
예컨대 체리 맥주는 7~8월경 수확한 체리 50kg을 250리터의 램빅 맥주에 첨가하고 1
년 이상 더 숙성시킨다. 색깔 역시 갈색, 분홍색, 짙은 적색 등으로 만들어서 소비자들
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들이 수 백년 동안이나 전통을 지켜 올 수 있었던 것은 지역 주민들의 토속주에
대한 사랑과 램빅 제조업자들의 변함 없는 장인 정신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세계 유명 맥주
유럽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각국 사람들은 20세기 초까지 수많은 양조장을 건설했다.
그러나 1920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금주령은 모든 주류 업계를 파산으로 몰아 넣었다.
1933년 말의 금주령 해제를 기점으로 하여 미국의 맥주업계에는 몇몇 거대 기업이 탄
생하였다.
*버드와이저(Budweiser)
미국의 대표적인 맥주회사는 버드와이저(Budweiser)를 생산하는 안호이저 부시
(Anheuser-Busch)이다. 이 회사는 체코의 버드바(Budvar)를 모델로 색이 옅고 향과
맛이 연한(Light) 맥주를 생산하여 대 성공을 거두었다. 버드와이저의 생산량은 연
1,070만km로서 1995년 세계 맥주 총생산량의 8.3%를 점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맥
주 총생산량의 약 7배에 달하는 양이다.
*하이네켄(Heineken)
네덜란드의 하이네켄(Heineken)사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맥주회사이다. 네덜란드
의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둔 하이네켄사는 1864년에 창립되었다. 창립자인 하이네켄은
맥주의 품질은 무엇보다도 효모의 품질과 정확한 발효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믿었다. 그
는 1879년 파스퇴르 연구소로부터 기술지도를 받아 새로운 효모를 육종하였다. 그 후
하이네켄의 품질은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게 되어 1890년경에는 이미 동남아시아로 진
출하였다.
하이네켄이 이른바 최초의 다국적 맥주회사가 된 것이다. 1934년 미국의 금주령이 해
체되자 하이네켄은 미국으로 상륙하여 시장을 넓혀 갔다. 하이네켄은 '최고 품질의 하
이네켄은 세계 어디서나 만날 수 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세계시장을 개척하고 있
다. 우리나라에서도 한때는 동양 맥주가 기술제휴를 해서 국내에서 생산한 적이 있다.
*칼스버그(Carlsberg)
다국적 맥주회사로서 근대적인 맥주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큰 회사가 바로 덴마
크의 칼스버그(Carlsberg)사이다.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칼스버그사는 1801년
야콥센에 의하여 창립되었다.
그는 '과학기술의 존중'을 사시로 삼고 최고 품질의 맥주제조를 위한 미생물학적 연
구를 지속했다. 그는 칼스버그 연구소를 창설하여 덴마크의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공
로를 남겼다. 칼스버그 연구소의 에밀 한센은 맥주 효모의 순수 배양법을 정립하여 세
계 여러 나라로 전파하였다.
칼스버그 맥주는 호프를 약간 많이 첨가한 향미가 진한 맥주로서 1995년에는 세계 8
위의 생산량을 기록하였다. 칼스버그는 최근 중국, 홍콩, 태국, 베트남 등의 시장을 적
극적으로 개척하면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신세대 맥주 밀러(Miller)
밀러 맥주가 필립 모리스에게 흡수 합병될 때까지는 사실 가장 전통직인 구세대 맥
주였다.
1855년 프레드릭 밀러가 맥주 양조장을 세웠을 때 Miller's High Life라 하여 다른
맥주에 비해 보다 유럽풍의 호프를 많이 쓴 맥주였다. 그러나 마케팅의 귀재 필립 모리
스가 인수한 후 라이트(Light) 맥주를 개발하여 대 히트를 쳤다. 미국인들이 비만에 신
경을 쓰는 것을 겨냥한 것이었다.
라이트 맥주는 물을 많이 넣은 약한 맥주로 유럽의 완전 발효(Dry)와는 비교가 안되
는 맥주다. 그러나 필립 모리스의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밀러 라이트(Miller's Light)는
미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매우 인기 있는 제품이 되었다.
우리나라에도 미군의 PX를 통해 들여오기 시작해 X세대들에게 인기 있는 맥주로 자
리 잡았다. 요즘 유행하는 돌려 따는 맥주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맥주 신제품 전쟁
1980년대 중반까지 일본의 맥주시장은 기린 맥주의 독무대였다. 기린 맥주의 시장 점
유율은 70%에 가까웠고 아사히, 삿포로, 산토리 등이 약 30%를 나눠 가지고 있는 형
국이었다. 이런 시장 지배 구조는 수십년 동안에 걸쳐 굳어진 것으로 아사히 맥주가 신
제품인 슈퍼 드라이(Super Dry)를 내놓을 때까지는 어느 누구도 기린 맥주의 아성을
넘볼 생각을 하지 못했다.
전통적인 라거 맥주에는 소량(1% 미만)의 당이 발효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그런
데 드라이 맥주란 이 당을 완전히 발효시킨 맥주라는 뜻이다. '드라이'란 술의 맛을 평
가하는 용어의 하나로서 당, 즉 단맛(Sweet)이 포함되어 잇지 않다는 뜻이다.
아사히가 내놓은 드라이 맥주가 선풍을 일으키면서 아사히 맥주의 시장 점유율은 80
년대 중반의 7%로부터 97년에는 38%까지 수직상승했다. 기린 맥주의 시장 점유율은
97년 초에 들어 40%미만으로 떨어졌다. 이것은 일본 주류사의 일대 혁명과 같은 사건
이었다.
물론 여기에는 소비자들의 기호 변화에 발맞추어 가는 신제품 개발 전략과 함께 아
사히의 뛰어난 광고전략이 숨어 있었다. 80년대에 들면서 건강 열풍이 일본열도를 휩쓴
것도 드라이 맥주의 성공에 한몫을 했다.
당시 일본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특히 선진국병이라고 하는 성인병에 대한 일본인
들의 관심은 매우 높았다. 성인병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비만인데, 맥주를
즐겨 마시는 사람들 중에는 배가 나온 사람이 많았다. 그런데 그 원인이 맥주에 들어
있는 당 때문이라는 그릇된 소문이 술꾼들 사이에 상식처럼 퍼져 있었다.
물론 맥주에 남아 있는 당도 비만의 원인이 될 수는 잇다. 그러나 비만의 원인을 제
공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드라이 맥주나 보통 라거 맥주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다. 왜냐
하면 사람이 섭취한 음식물은 알코올이 분해되는 동안에 간에서 거의 전부가 지방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술의 종류를 불문하고 과도한 음주를 하면 비만이 될 수밖
에는 없는 것이다. 어쨌거나 아사히의 드라이는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의식의 변화에
따라 세계적인 마케팅 성공 사례를 남기게 된 것이다.
이와 유사한 사례가 우리나라의 맥주 시장에서도 벌어졌다. 80년대에 접어들어 우리
나라에서는 수질과 대기의 오염 등 환경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와 함께
무공해 식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높아졌다.
이러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에 편승하여 1992년 조선 맥주에서는 신제품을 개발하여
시장에 내놓으면서 무공해 지하수로 양조한 맥주라는 홍보 전략을 가지고 대대적으로
광고 선전을 했다. 당시 한국의 맥주시장은 80년대 중반의 일본처럼 OB맥주가 70%를
점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지하수 맥주의 바람이 거세게 불어 한국의 맥주 시장은 신
제품 경쟁으로 혼전을 겪게 되었다.
사실 양조 용수로 어떤 물이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다. 세계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술은 지표수로 빚어진다. 맥주의 경우는 더욱더 그러하다. 그리고 지하수가 양조 용수
로서 지표수보다 더 낫다는 아무런 근거도 없다. 오히려 풍부한 양질의 지표수야말로
맥주 산업의 입지 조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건이 되고 있다. 이것은 세계 굴지의 맥
주 공장의 입지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발겨할 수 있는 사항이다.
그러나 일반 소비자들이야 이런 사실을 어찌 알겠는가... 어쨌거나 조선 맥주는 환경
에 관한 일반인들의 관심을 이용하여 일대 성공을 거둔 셈이다.
맥주 즐기는 법
더운 여름날이나 격렬한 운동을 한 후 갈증이 날 때 시원한 맥주 한잔을 들이키며
몸이 가벼워지고 사뿐히 날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된다. 원래부터가 맥주는 상쾌한 청
량감을 주는 술이므로 마실 때의 조건을 잘 맞춰 주면 더욱더 제 맛을 느낄 수 있다.
맥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조건은 온도이다. 맥주의 온도가 너무 낮으
면 맥주의 향미 성분을 제대로 음미하기 힘들고, 온도가 높아지면 맥주의 청량감이 감
퇴한다. 맥주 속에는 탄산가스가 포화되어 있는데 온도에 의해 방출 속도가 달라진다.
알맞은 온도에서는 탄산가스가 서서히 방출되어 마실 때 기포가 입안과 목구멍을 적당
히 자극하여 청량감을 낸다.
일반적으로 마시기에 좋은 온도는 4~10도 이다. 맥주를 보관하다 보면 간혹 어는 수
가 있는데 이때는 맥주 속에 있는 소량의 단백질이 응고되어 혼탁을 일으킬 뿐만 아니
라 녹여서 마셔도 제 맛이 나지 않는다. 따라서 냉장 온도를 잘 지켜야 한다.
같은 생맥주라도 어느 주점에서 마시냐에 따라 다른 맛이 난다. 이것은 그 집의 위생
적인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 특히 냉장시킨 청결한 잔에 맥주를 따라 마시
면 훨씬 맛이 상쾌하다. 덜 닦인 잔에 맥주를 따르면 잔에 묻어있는 기름기나 때가 거
품을 사그라뜨리거나 미묘한 향을 변질시키기 때문이다.
맥주를 잔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서도 맛이 달라질 수 있다. 맥주가 잔 바닥에 세게
부딪히면 거품이 심하게 일고 탄산가스와 향기가 손실된다. 따라서 맥주를 따를 때는
맥주가 잔의 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해야 한다. 즉 처음에는 잔을 기울였다가 액이 잔에
고이는 정도에 따라 잔을 수직으로 세우면 된다. 이러한 세심함이야말로 맥주를 즐기는
멋이라 할 수 있다.
술을 즐기는 데는 모름지기 오관이 다 동원되어야 한다. 맥주의 기포가 황금색 액체
에서 솟아올라 흰 거품을 이루고 어느새 잠잠해지는 모습을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
다. 술자리를 같이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드는 맥주는 생을 풍요롭게 하는 묘약
이라 아니할 수 없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급하기가 세계 제일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술을 마실
대의 조급성은 두렵기까지 할 정도다. 연간 마시는 술의 양은 그다지 많은 양이 아니어
도, 한자리에서 빨리 마시는 양은 단연코 다른 나라 사람들의 추종을 불허한다. 왜 같
은 돈을 내고 귀중한 시간을 소비하면서까지 이토록 헛된 짓을 하는지 안타깝다.
맥주는 상큼한 호프 향기, 호박색의 맑은 휘도와 흰 거품, 맥주 속에서 용솟음치는
기포, 그리고 쌉쌀한 맛과 목으로 넘어갈 때의 시원함에 다 마시고 나면 적당한 포만감
까지도 제공해 주는 술이다. 이런 오감의 즐거움을 천천히, 골고루 만끽할 수 있어야
맥주를 제대로 마신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맥주를 맛있게 마시기 위해서는 맥주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 마실 때 쓰는
용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하는 것, 그리고 인간의 모든 감각 기관을 골고루 이용
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다양한 맥주 잔들
생명의 술 위스키(WHISKY)
스카치 위스키
*위스키의 역사
문명은 우연한 기회에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발전하곤 한다. 12세기 십자군 전쟁에
참여했던 카톨릭의 수사들은 중동의 연금술사로부터 증류주의 비법을 전수 받고 돌아
왔다. 십자군 전쟁은 예루살렘을 탈환하기 위한 명분으로 유럽의 기독교 세력과 중동
및 이집트의 모슬렘 세력 사이에 10여 차례 계속된 소모전이었는데 이 전쟁은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부수적으로 동서간의 문물 교환에 큰 기여를 했다.
위스키는 이 전쟁이 끝난 직후 중동지역으로부터 돌아온 카톨릭의 수사들에 의해 탄
생되었다. 위스키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고급 증류주들은 모두가 이 전쟁의 산물이라 해
도 과언이 아니다.
아랍에서는 술을 마시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는데 연금술사들은 알코올을 증류하여
향료나 화장품 제조에 사용했다. 알코올의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아랍어의 콜
(kohl)에서 비롯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눈썹 화장을 하는 화장품으
로 사용되고 있다. 연금술사들로부터 기독교의 수도사들에게로 전수된 알코올 증류 비
법은 순식간에 유럽 각지로 퍼져 나갔다.
영국의 에일을 증류하여 만든 거친 알코올은 스코틀랜드의 겔릭어로 '우스게바
(Usquebaugh-생명의 물)'라고 불러지게 되었다. 이 말은 후에 음변형이 되어 위스키가
되었고, 이로부터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되는 스카치 위스키가 위스키의 대명사로 자리잡
게 되었다.
*위스키 숙성 기술의 발전
스코틀랜드는 지구의 거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어서 여름에는 해가 지지 않고 겨울
에는 밤이 매우 길다. 해양성 기후 탓에 겨울에는 궂은 날이 지속되기 일쑤인데 사람들
은 길고 지루한 밤을 위스키를 마시면서 지낸다.
스카치 위스키도 처음에는 기껏해야 톡 쏘는 향과 거친 맛을 가진 평범한 소주 종류
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한 스카치 위스키가 어떻게 하여 오늘날 세계 최고의 품
질을 자랑하는 맛을 지니게 되었을까?
18세기 초 스코틀랜드의 국왕 제임스 1세가 잉글랜드 국왕을 겸하게 되면서 대영제
국(United Kingdom)이 탄생되었다.
원래 민족과 문화가 서로 다른 스코틀랜드인들과 잉글랜드인들은 견원지간처럼 싸워
왔다. 하나의 국가로 통합된 이후로도 이들간의 감정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그런데 대
영제국이 위세를 떨치게 되면서 국내의 재정 수요가 늘어나게 되자 조세 수입을 확보
하는 방법으로 술에다 주세를 물리기 시작했다. 특히 위스키는 알코올 도수가 높아서
중과세 대상이 되었다.
그러자 당시 위스키를 생산하던 스코틀랜드인들은 주세를 회피할 목적으로 증류기를
산 속으로 옮기고 위스키를 몰래 만들기 시작했다. 증류 과정에서 연기가 나기 때문에
이들은 밤에 망을 보면서 증류를 했다. 그 바람에 이들은 '달빛치기(MOON SHINER)'
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들은 몰래 증류한 위스키를 술이 아닌 것처럼 위장하기 위하여 오크통에 담아서
동굴 같은 곳에 숨겨 놓았다. 그런데 이게 웬 횡재인가? 몇 년 후에 통 속의 위스키를
따라 보니 말간 호박색의, 맛이 부드럽고 향이 풍부한 고급 술이 나오는 게 아닌가!
이처럼 우연이 낳은 숙성법이 널리 퍼지게 되면서 스카치 위스키가 마침내 증류주의
왕자로 군림하게 된 것이다. 위스키는 5년 이상 숙성시켜야 제맛이 나는데, 위스키를
오크통에 보관하면 오크통에서 우러난 여러 성분들과 서로 반응하여 점차 부드럽게 숙
성된다. 이렇게 위스키의 향미가 익어 가는 과정은 복잡하여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 다
만 사람들이 아는 것은 숙성 도중 술이 날아간다는 사실이다.
오랫동안 숙성된 귀한 술을 사람이 마신다는 것을 생각하면 어딘지 미안한 생각이
드나 보다. 그리하여 술꾼들은 숙성 중에 날아가는 부분을 '천사의 몫'이라 하고 하늘에
다 나누어주는 체 짐짓 생색을 낸다.
*스카치 위스키의 분류
이렇게 숙성된 위스키는 비록 품질은 최상급이었으나 생산량이 적어서 가격이 너무
나 비쌌다. 종전까지 생산된 전통적인 위스키는 맥아만을 원료로 썼으며, 증류 또한 단
식 증류기(Pot Still)만을 사용했기 때문이었다.
단식 증류기는 양파모양으로 생긴 구리솥으로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거의 같은 모양
을 하고 있었다. 단식 증류기로 증류를 하기 위해서는 발효액을 증류기에 한꺼번에 넣
고 끓여야 하며, 1차 증류된 액을 2차 증류해야만 비로소 위스키 원액을 얻을 수 있어
서 생산성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그러나 증류시에 위스키의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성분들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 증류기로 생산한 위스키는 대체로 향이
풍부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제조된 위스키를 '몰트 위스키(Malt
Whisky)'라 한다.
산업혁명이 급진전되면서 잉글랜드 지방에서 위스키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자
위스키 제조업자들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했다. 아일랜드에서 영국
으로 이민 온 애니어스 카피(Aeneas Coffey)는 1831년 발효액을 연속해서 투입하여 증
류액을 얻는 연속식 증류기를 고안하여 특허를 얻었다. 그는 이 증류기를 가지고 소량
의 맥아를 사용하여 보리, 옥수수, 밀 등의 곡물을 당화, 발효시켜서 대량의 위스키를
생산하게 되었다. 이것을 '그레인 위스키(Grain Whisky)'라고 한다.
이 증류기는 오늘날 알코올 증류뿐만 아니라 석유화학 공업에서 사용하는 산업용 증
류기의 모체가 되기도 했다. 이런 방식으로 생산된 위스키는 가격은 싸지만 향이 약하
여 품질 면에서 전통적인 몰트 위스키를 따를 수가 없었다.
1800년대에 들어와 위스키는 대도시의 상인들에 의하여 유통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위스키 제조업자들로부터 원액을 구입하여 자기 상표를 붙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 과
정에서 이들은 향이 강한 몰트 위스키와 값싼 그레인 위스키를 블렌딩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적합한 위스키를 만들었다. 이것을 '블렌디드 위스키(Blended Whisky)'라하며
오늘날 스카치 위스키의 약 97%를 점유하고 있다.
오늘날 스코틀랜드에는 약 100개의 몰트 위스키 증류공장과 10개 정도의 대형 그레
이 위스키 공장이 있다. 각 스카치 위스키 회사는 이들 공장으로부터 원액을 구입하여
블렌디드 위스키를 제조한다.
스카치 위스키가 발달할 수 있었던 배경은 해안을 따라 양질의 보리가 생산되었으며,
강에는 맑고 풍부한 연수가 넘쳐흘렀고, 산 구릉에는 연료인 이탄(peat)이 무진장 널려
있는 천혜의 자연 환경 덕택이라 할 수 있다. 스카치 위스키의 특색은 맥아 건조 시 이
탄으로부터 옮겨진 풍부한 향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적인 숙성으로 인하여 뒤끝이 깨끗
하다는 점이다. 투명한 호박색의 스카치 위스키야말로 실로 증류주의 왕이라 해도 과언
이 아닐 것이다.
아메리칸 위스키
1770년대 미국 중동부 미시시피강 유역의 켄터키, 버지니아, 일리노이 지역에 스코틀
랜드와 아일랜드로부터 온 이민자들이 정착했는데, 이들은 라이(Rye: 호밀)를 가지고
위스키를 만들기 시작했다. 미국에서 생산된 라이 위스키는 초기에는 서인도 제도에서
생산되는 럼과 치열한 경쟁을 했다. 그러나 1780년대 말에 들어서면서 위스키는 미국
국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증류주로서 확고하게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1791년 재무성의 초대 장관인 알렉산더 해밀턴은 조세 수입 확보를 위해 위스키에
고액의 세금을 부과했는데 이듬해에 폭동이 일어나는 바람에 세금을 대폭 삭감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당시의 대통령이던 워싱턴이 버지니아 주의 마운트 버넌 근방
에 상당히 평판이 좋은 라이 위스키 증류소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3대 대통령인 제퍼슨
역시 라이 위스키 공장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제퍼슨은 스스로가 조예깊은 증
류 기술자였으며 자기가 생산한 위스키에 대해 커다란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1783년 켄터키의 버번(Bourbon) 카운티에서는 옥수수로 양조한 위스키가 생산되었는
데 소비자들은 라이 위스키보다 이 위스키를 더 좋아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옥수
수 위스키는 버번 위스키라 불리게 되었는데 버번 위스키는 라이 위스키에 비해 맛이
부드럽고 가벼웠다.
당시 버번 위스키는 인디언들과의 물물교환 거래에서 현금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인
디언들은 위스키를 매우 좋아해서 비버, 여우, 곰 등의 모피와 교환을 할 수 있었기 때
문에 한때 위스키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인디언의 세계에서 원래 술이라는게 없었다. 1610년 허드슨 강가에 메이 플라워 호가
상륙했을 때 인디언 추장에게 처음으로 위스키가 전달되었었다. 인디언 추장은 이 술을
마시고 대취했는데, 그 때문에 그 지역을 '처음으로 대취한 곳'이라는 뜻의 인디언 말인
맨해튼(Manhattan)이라고 불렀다. 안타까운 이야기지만 인디언들은 무엇이든지 다 떨
어질 때까지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었으므로 인디언 사회에서는 알코올 중독자가 양산
되었다.
한편 연속식 증류기가 미국에 소개되자 대부분의 미국 위스키가 이 증류기에 의해
대량 생산되기 시작했다. 서부의 질 좋은 오크통에 담아서 1~2년 동안 숙성 시킨 버번
위스키는 순식간에 미국 전역을 석권했다. 이로부터 약 1세기 후 미국 사회에서는 알코
올의 유해성에 대하여 논란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윽고 1920년부터 14년간 금주령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금주령이 시행되는 동안 온
갖 폭력과 밀조, 범죄, 그리고 마약이 성행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차라리 금주령 이전의
상태가 낫다고 믿게 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금주령이 해체된 후 캐나다와 유럽의 주류 회사들이 대거 미국으로 진
출하엿다. 오늘날 대부분의 미국 위스키 회사들은 그들의 후예들이 운영하고 있다.
#아메리칸 위스키
아메리칸 위스키는 약간 단맛이 있고 가벼우며 부드러운 특성이 있는데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버번 위스키(Bourbon Whisky): 원료 중 옥수수를 51% 이상 사용해야 하며, 원액은
80% 미만으로 증류되고, 내부를 태운 새 오크통에서 2년 정도 숙성되어야 한다.
-콘 위스키(Corn Whisky): 원료 중 옥수수를 80% 이상 사용해야 하며 이미 사용된
오크통에서 숙성되어야 한다.
-라이 위스키(Rye Whisky): 원료 중 귀리를 51% 이상 사용해야 하며, 원액은 80%
미만으로 증류되고, 숙성에는 내부를 태운 새 오크통을 써야 한다.
-테네시 위스키(Tennessee Whisky): 버번 위스키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목탄
으로 여과한다. 일반적으로 버번보다 고급이다.
아이리시 위스키
12세기에 헨리 2세의 잉글랜드 군대가 아일랜드를 침공했을 당시에 아일랜드에는 이
미 위스키가 존재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아일랜드인들은 위스키의 고향이 아일
랜드라고 주장한다.
아이리시 위스키는 탄생의 역사적인 배경이나 자연조건의 측면에서 스카치 위스키와
유사하다. 그러나 아이리시 위스키 제조에 사용하는 원료는 스카치 위스키와 다르다.
대부분의 스차키 위스키는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 위스키를 따로 숙성하여 최종적으
로 블렌딩한 것이다. 그러나 아이리시 위스키는 당화나 발효시에 몰트에 보리, 호밀, 밀
등의 그레인을 섞어 발효액을 만든 다음 대형의 단식 증류를 사용하여 3회에 걸쳐 증
류한다.
따라서 아이리시 위스키에는 블렌디드 위스키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아이리시 몰트는
이탄 훈연을 전혀 하지 않기 때문에 향이 깨끗하고 맛이 부드럽다.
#가짜 양주를 마시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외관을 세밀히 살핀다. 병의 마개와 캡씰(밀봉재료)이 온전한가 그렇지 않은가 살
핀다.
2. 맛과 향을 살핀다.
3. 직접 개봉하는 습관을 갖는다.
한국의 위스키
대한제국 시절 서구 열강에 문호를 개방하면서 외국 공관과 함께 서구의 문물이 물
밀 듯이 밀려 들어왔다. 아마 이 시기에 위스키가 처음 도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후 해방과 함께 우리나라에 미군이 주둔하게 되면서 이때 군 매점을 통해 위스키가
시중으로 유출되었다. 그 기막힌 맛에 매료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50~60
년대에는 소주에 색소를 섞은 가짜 위스키가 유행을 했다.
70년대 들어 우리나라 경제가 크게 도약을 하면서 이때 기업가들의 접대용으로 처음
국산 위스키가 발매되었다. 그 효시는 1976년 백화 양조에서 개발한 '조지 드레이크'였
다. 그러나 이 술은 위스키 원액을 수입하여 거기에 주정을 섞은 유사 위스키로서 주세
법상으로는 기타 재제주로 분류되었다.
그러다가 1978년에 역시 기타 재제주인 베리나인이 개발되면서 1984년까지 위스키
시장을 석권하다시피 했다. 세계적인 기준에 맞는 원액 함량 100% 위스키는 1984년도
에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88서울올림픽에 대비하여 위스키의 주질을 향상시켜야 할 필
요성을 느낀 정부에서 원액 함량 100% 위스키 개발을 승인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당시 위스키 3사(베리나인, 진로 위스키, 오비 씨그램)가 같은 시기에 스코
틀랜드의 스카치 위스키 메이커들과 제휴,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 위스키를 수입하여 독
자적으로 블렌딩한 원액 함량 100% 위스키를 개발하였다. 패스포트, 비아이피(VIP), 썸
싱 스페셜이 이때 나온 제품들이다. 그 가운데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품은 패스포
트였다.
위스키 3사는 1980년대 초반 위스키 원액을 국산화하기 위하여 원액 제조설비를 갖
추고 생산을 개시했으나, 국산 원액은 가격 경쟁력을 갖지 못한 탓으로 5~6년 후 생산
이 중단되고 말았다.
1991년 주류의 수입이 개방되면서 세계 각국의 양주류가 대량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이에 따라 국내의 위스키 회사들도 기존 위스키와의 차별화를 위해 원액의 주령이
12년인 신제품을 개발하여 시장에 내놓기 시작했다.
1994년에 나온 진로의 '임페리얼'과 1996년에 생산되기 시작한 두산 씨그램의 '윈저'
가 국내 브랜드로서 상당한 명성을 얻었다. 수입 위스키로서 시장 점유율이 높은 것은
시바스 리걸, 딤플, 발랜타인 등을 손꼽을 수 있다.
일본의 위스키
일본 위스키 하면 자연스레 산토리와 니카를 떠올리게 된다. 1899년 도리이 신지로는
오늘날 산토리사의 전신인 합성주 판매점을 창업하였다. 산토리는 1923년 일본인으로서
는 최초로 스코틀랜드에 유학하여 양조 기술을 배우고 귀국한 다케스루를 채용, 교토의
야마자키에 위스키 공장을 지었다.
8년 후 '산토리 화이트'라는 첫 제품을 냈으나 결과는 참담한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
다. 이에 굴하지 않고 1937년에 들어 '산토리 올드'를 개발하였는데 이것이 성공을 거두
었다. 산토리 공장을 지은 다케스루는 도리이와 뜻이 맞지 않아 산토리를 그만 두고
1934년 니카 위스키를 창업하였다. 그는 스코틀랜드와 기후가 유사한 북해도의 요이치
시에 공장을 세웠고 그때부터 산토리와 니카는 숙명적인 경쟁을 벌이게 되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일본 위스키 업계는 대대적인 위스키 붐을 조성하였다.
이때 위스키 업체들은 중간 가격의 신제품을 개발했는데 그것이 '산토리 레드'와 '하이
니카'였다. 일본의 양주는 올림픽 이전에는 유흥업소에서만 소비되었으나 산토리와 니
카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가정에서의 소비도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 그 후
1983년까지 일본의 위스키 시장은 가파른 성장을 지속했다.
산토리는 앞장서서 일본의 양주 소비 문화를 창조해 갔는데 이른바 젓가락 작전이
그 하나였다. 즉 위스키는 일본 음식과 잘 어울리기 때문에 젓가락으로 식사를 하면서
위스키를 반주로 마시라는 내용으로 대대적인 홍보작전을 전개했고, 이것이 적중하게
된 것이다. 또한 산토리 사에서는 독한 술을 좋아하지 않는 일본식 음주문화에 착안하
여 위스키에 물을 타서 마시는 '미즈와리(물로 희석한 위스키)'를 개발하여 보급시키기
도 했다. 이처럼 산토리는 오늘날 일본인들에게 생활의 즐거움과 활력을 주는 회사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성공을 거두었다.
한편 니카는 창업자인 다케스루의 품질 지상주의 정신을 반영하여 최고의 품질을 지
닌 정통 위스키의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그는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제조 방법을 완벽하
게 모방하였다.
오늘날 산토리와 니카는 양주를 위주로 한 음주 문화를 보급시킴으로써 일본인들에
게 아주 좋고 친숙한 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들 두 회사의 경쟁을 통
해 일본 위스키는 세계 5대 위스키의 반열에 자리를 함께 하게 된 것이다.
세계 유명 위스키
*더 글렌리벳(The Glenlivet)
스카치 위스키의 본 고장인 하일랜드 지방에는 스페이강 상류의 리벳강을 끼고 유명
한 위스키 증류소들이 모여 있다. 1700년대 초부터 지나친 주세를 피하기 위하여 밀조
자들이 숨어들었던 오지 중의 오지인 이 곳은 위스키 제조에 더없이 좋은 환경을 갖추
고 있다.
스코틀랜드 해안에서 양질의 보리가 풍부하게 생산되며, 양조용수로서 최상급의 수질
을 가진 샘이 많고, 인근의 언덕에는 무한정의 이탄(Peat)이 매장되어 있어 증류용 연
료 조달이 용이하다.
1800년대 초엽 영국정부는 밀조를 양성화하는 계획을 세웠으나 응하는 사람이 없었
다. 아무도 정부의 선의를 믿으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1824년 용감한 조지 스미스
는 최초로 정부의 허가를 받아 위스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때 증류소 이름 및 제품
이름을 리벳강의 계곡이란 뜻인 '더 글렌리벳(The Glenlivet)'으로 정하였다. 그 후 조
지 스미스는 수년간 밀조자들에게 위협을 받았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향시 쌍권총
을 지니고 다녔는데 한다.
더 글렌리벳은 합법적인 공장이었으므로 설비를 마음대로 개량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얼마 지나지 않아 위스키의 품질이 최상급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더 글렌리벳이
날로 번창하자 다른 밀조자들도 차츰 허가를 받기 시작했다. 그들은 상표명을 더 글렌
리벳과 유사하게 지었는데 나중에 상표권 재판을 받아 타사의 제품은 하이픈(-)표시를
해서 '벤리니스-글렌리벳(Benrinnes-Glenlivet)' 등으로 쓰도록 결정이 되었다.
스코틀랜드 정부에서는 관광객을 위하여 10개 공장을 방문할 수 있는 위스키 관광로
를 지정하였는데 그 가운데 더 글렌리벳 공장이 필수 코스로 지정되어 있다. 더 글렌리
벳 공장은 지금도 양조 용수로 공장 내의 샘물을 쓰고 있다. 그 증류 공장의 박물관에
는 밀조광경을 묘사한 실물 크기의 모형이 있다. 조지 스미스가 차고 다니던 쌍권총도
함께 진열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더 글렌리벳은 풍부한 향과 감칠 맛 나는 맛으로 최고의 위스키 중의 하나로 손꼽히
고 있다. 상표에 스코틀랜드 국화인 빨간 엉겅퀴 꽃이 그려져 있는 더 글렌리벳은 1824
년 이래 싱글 몰트 위스키(한 증류소에서만 만든 몰트 위스키)로서 전 세계의 애주가
들로부터 아낌없는 사랑을 받고 있다.
*블랙 앤 화이트(Black & white)
스카치 위스키의 호상 가운데서도 가장 매력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는 제임스 부캐넌
과 그의 애견에 관한 이야기는 오늘날까지 애주가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1879년,
당시 30세의 제임스 부캐넌은 런던에 위스키 판매점을 내고 '부캐넌즈 브랜드'라는 상
표를 붙였다.
당시에는 대부분의 위스키가 원액 제조공장으로부터 배럴(180리터들이 오크통) 단위
로 거래되고 있었다. 그러나 위스키의 품질은 통마다 달랐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구입할
때마다 다른 품질의 위스키를 마셔야 하는 것이 문제점이었다. 부캐넌은 한꺼번에 많은
양의 위스키를 사들인 다음 자기가 직접 블렌딩을 해서 일정한 품질의 위스키를 제조
하였다. 그는 검은 병에다 흰색의 상표를 부착했다.
그는 위스키 판매를 위하여 당시로서는 기상천외한 상술을 발휘했다. 그는 11명의 친
구들을 동원하여 매일 저녁마다 정장을 하고는 유명 레스토랑을 찾도록 했다. 그들은
예약된 자리에 앉아 식사와 술을 주문하면서 반드시 부캐넌 위스키를 주문했다.
그때 웨이터가 그 술이 없다면서 다른 위스키를 주문하면 어떻겠느냐고 물으면 "뭐
라고? 부캐넌이 없다니 말이 되나!" 하면서 자리에서 일어나 나가 버렸다. 이런 일이
몇 차례 되풀이되자 그 후부터 런던의 고급식당에서는 부캐넌을 비치하고 팔게 되었다
는 것이다.
그는 런던의 홀번(Holborn)가에서 사업을 했는데 그 자리는 원래 위스키 공장이 있
었던 자리였다고 한다. 그런데 1780년, 인근 교도소에서 탈주한 폭도들이 공장을 덮쳐
서 저장하고 있던 위스키를 마구 들이키면서 난동을 부리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그 바람에 위스키 원액에 불이 붙으면서 원액통 들이 대규모의 폭발을 일으키게 되자
(알코올 도수 60%가 넘으면 폭발물로 분류됨)수많은 사상자를 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는 위스키로 인해 대 참사가 일어난 곳에서 위스키 장사로 대성공을 거둔 것이다.
그는 동물을 매우 좋아해서 경주용 말과 개를 길렀다. 그는 특히 죽을 때까지 한 주
인만을 섬기는(이런 성격의 개를 one Man Dog이라 함) 하일랜드 테리어를 좋아했다.
마침내 그는 희고 검은 한 쌍의 테리어를 마스코트로 삼아서 위스키의 상표명을 블랙
앤 화이트로 고치기까지 했다. 요사이 우리나라에서 한 컴퓨터 회사가 원맨독 진돗개를
광고 모델로 삼은 것이 혹시 여기에서 힌트를 얻은 것은 아닐까?
부드럽고 순한 맛을 가진 블랙 앤 화이트는 오늘날까지도 꾸준히 애주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제품이다.
*로열 살루트(Royal Salute)
영국 국민들은 전통적으로 왕가의 일에 관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깊은 관심을 가
지고 있다. 해가 지지 않는 대영제국을 건설했던 왕조에 대한 존경심이 국민들의 마음
깊이 스며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각 지역의 특산물을 왕에게 진상하는 관습이 있었다. 그런데 왕
실에 납품하는 물건은 그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 받는 것이기도 했다. 영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관행이 있었는데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어서 각 분야의 우수한 제조
업체들은 왕가의 경사에 그들의 명품을 진상한다.
1931년 스코틀랜드의 수도 에든버러에 위치한 더 글렌리벳의 제품 공장에서는 현 영
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5세 때, 21년 후에 있을 그녀의 대관식을 위하여 특별한 위
스키 원액을 제조하기로 결정했다. 국왕이 주관하는 공식행사에는 21발의 축포를 쏘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어 이 원액은 오크통에서 21년 숙성되었고, 로열 살루트(왕의 예포)
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950년 힐 톰슨 사의 제품 디자이너들은 이 이름에 걸 맞는 외장을 갖춘 병을 제작
하기 위해 크리스털 유리와 도자기로 다양한 병을 디자인한 끝에, 마침내 16세기에 에
든버러 성을 지키는데 크게 공헌한 몽즈 메그라는 거대한 대포의 포신을 닮은 도자기
병을 로열 살루트 병으로 결정했다. 스코틀랜드인들은 이 대포를 스코틀랜드 수호의 상
징으로 여기고 있다 한다.
필자는 영국 유학 중 로열 살루트의 생산 공장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술을 도자기에
넣고 코르크 마개를 막고 상표를 부착할 때까지의 과정이 전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광경을 보았다. 한마디로 로열 살루트는 정성의 결정체였다.
1952년에 벌어진 엘리자베스 여왕의 대관식에 맞추어 최고급 위스키 로열 살루트가
탄생되었다. 왕실에 진상된 로열 살루트는 왕실의 위스키 애호가들로부터 위스키의 명
품이라는 극찬을 받았다. 로열 살루트는 일반인들을 위해 한정된 양만 제조되고 있는
데, 세계 명품 수집가들의 주요 수집품이 되고 있다.
병 모양이 마치 루비처럼 생겼다 해서 흔히 '로열 살루트 루비'라고 불리는 제품이
있다. 바로 40년 숙성된 로열 살루트이다. 로열 살루트 40년짜리는 원액의 희소성을 입
증하기 위해 병마다 고유 번호가 새겨져 있다. 이 술은 스카치 위스키 가운데서도 명품
중의 명품으로 알려져 있다.
*조니 워커(Johnnie Walker)
민족시인 로버트 번즈와 잉글랜드를 물리친 영웅 부르스(영화 '브레이브 하트'의 주
인공)의 고장인 스코틀랜드의 아이어셔(Ayrshire: 스코틀랜드의 동남부에 위치함)에서
는 많은 문학가와 철학자가 배출되었다. 그러나 1820년에 존 워커(John Walker)가 위
스키 사업을 일으키면서부터는 사업가의 고장으로 더 유명해졌다.
아이어셔의 중심지 킬마녹(Kilmamock) 주변에는 양질의 노천 탄광이 펼쳐져 있어서
일찍이 철도가 부설되었고, 방직공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1850년경부터 킬마녹은 잉글
랜드에서 온 사인들로 붐비게 되었다. 이때부터 존 워커는 아들 알렉산더 워커와 함께
잉글랜드인들에게 자체 블렌딩한 위스키를 도매하기 시작했다.
알렉산더 워커는 상술이 뛰어나 사업을 크게 번창시켰다. 그러나 1852년에 엄청난 폭
풍우가 쏟아져서 킬마녹 전체를 휩쓸어 버렸다. 이때 워커가 이룩한 모든 것이 사라져
버렸다. 그러나 알렉산더 워커는 이에 굴하지 않고 사업을 다시 일으켰다. 1886년 런던
에 사무소를 낸 알렉산더는 두 마리의 나귀가 끄는 마차를 특별 제작하여 그것을 타고
시내를 돌아다녔다. 이때부터 '조니 워커(Johnnie Walker)'가 런던의 위스키 시장에서
명성을 날리기 시작하였다.
1908년에는 그 유명한 조니 워커의 상표가 디자인되었다. 모자를 Tm고 긴 장화를
신은 영국 신사가 지팡이를 들고 걸어가는 모습의 조니 워커 위스키의 심벌 마크는 다
음의 문구에 썩 잘 어울리는 것이었다.
1820년에 태어났지만, 아직도 건재하다(Born 1820 - Still going strong)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이 상표는 광고 전문가들조차 감탄하는 멋진 디
자인이다.
조니 워커는 스탠더드급의 레드 라벨, 프리미엄급의 블랙 라벨, 그리고 슈퍼 프리미
엄급의 블루 라벨이 시리즈 상품으로 출시되어 있다.
6대에 걸쳐 내려오던 워커사(John Walker & Limited)는 2차 대전 당시 경영의 어려
움으로 인해 유나이티드 디스틸러스사에 합병되고 말았다.
*시바스 리걸(Chivas Regal)
1990년 엘리자베스 여왕은 영국에서 생산되는 각종 유명 상품에 대해 시상을 했는데
그 가운데 수출에 가장 크게 기여한 제품으로 시바스 리걸이 선정되었다.
시바스 리걸은 세계의 최고급(Premium) 위스키 시장에서 최대의 판매량을 자랑하는
위스키로서 1801년에 창립된 시바스 브러더스사(Chivas Brothers Ltd.)가 내놓은 제품
이다.
스코틀랜드의 북동부에 위치한 애버딘 항은 일찍부터 하일랜드에서 생산된 위스키의
집하장으로써 기능하고 있었다. 시바스 형제들은 일찍부터 자체 브랜드 위스키를 개발
하여 애버딘 항을 통해 런던과 애든버러 지방에 판매하고 있었다.
시바스 리걸이라는 이름은 1843년 스코틀랜드에 많은 애정을 쏟은 빅토리아 여왕을
위해 최고급 제품을 왕실에 진상하면서 '국왕의 시바스'라고 명명한 데서 비롯된 것이
다. 시바스 리걸의 상표에는 두 개의 칼과 방패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위스키의 왕자라
는 위엄과 자부심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시바스 사는 장인 정신과 정성을 사훈으로 삼
고 있으며 제품의 품질에 대해 최고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시바스 리걸이 자랑거리로 내세우는 것은 원액 공장인데 그것은 현존하는 위스키 공
장 가운데 가장 오래된 하일랜드 지방의 스트라스 아일라 증류소이다. 이 증류소는 '아
일라'라는 조그만 개울을 끼고 있고 거기에는 유서 깊은 물레방앗간도 있다. 지붕이 두
개의 탑(Twin Pagoda)으로 이루어진 이 공장은 스코틀랜드 정부에 의해 위스키 관광
코스(Whisky Trail)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 공장 전면에는 헤더 꽃동산이 있는데, 이 꽃밭 속에 세워진 붉은 표지판에는 '시
바스 리걸의 고향'이라고 쓰여져 있다. 이 공장은 지금도 석탄을 때서 직화 증류하는
공장으로 원액 숙성 창고는 거무티티한 곰팡이로 채색되어 있는 살아 있는 골동품이라
고 할 수 있다.
시바스 리걸의 마스터 블렌더인 콜린 스코트 씨는 지금은 은퇴한 전임 마스터 블렌
더 아래에서 30년 동안 도제생활을 하면서 완벽한 품질의 전수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
는 시바스 리걸의 특징은 '비단 같이 부드러운 맛과 미묘한 미련을 남기는 향기의 조
화'라고 표현한 바 있다.
시바스 리걸에 얽힌 에피소드로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고 박정희 대통령의 최
후의 만찬이다. 그는 평소 시바스 리걸의 중후한 향기와 부드러운 맛을 무척이나 좋아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술을 대단히 즐겼던 1979년 10월 26일, 그는 자신의 오른팔,
왼팔과 함께 시바스 리걸에 흠뻑 취한 상태에서 숨을 거두었으니 술에 관해서 만큼은
여한이 없으리라 생각된다.
*발랜타인(Ballantine)
'영원한 사랑의 속삭임'이라는 제품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발랜타인은 덤바튼에 소재
한 조지 발랜타인 앤 선사(George Ballantine & Son Ltd.)의 제품이나, 이 회사의 실질
적인 소유주는 캐나다의 거대주류 기업인 하이럼 위커사이다.
발랜타인(Ballantine)은 회사의 설립자인 조지 발랜타인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인데,
발음 때문에 흔히 발렌타인 데이(Valentine Day)의 발렌타인과 혼동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발렌타인 데이를 연상하며 이 술을 찾기도 한다는데, 어쨌거나 발랜타인은 동
음어의 혜택을 톡톡히 보고 있는 셈이다.
1827년 일개 농부였던 조지 발랜타인이 에든버러로 나가 식료품점을 창업한 것이 발
랜타인사의 출발점이지만 취급품목에 위스키가 추가된 것은 19세기 말엽 그의 아들에
의해서였다. 그러나 정작 독자적인 위스키 블렌딩 사업을 시작한 것은 1919년 발랜타인
사를 인수한 맥킨리라는 사업가였다. 그 후 1937년 이 회사는 캐나다의 하이럼 워커사
로 넘어가게 된 것이다.
발랜타인에는 엉뚱하게도 거위와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당시 스코틀랜드에도
위스키 숙성 창고에서 술을 훔치는 좀도둑들(아마도 알코올 중독자였을 가능성이 높
다)이 있었던 모양이다. 회사에서는 이 골칫거리들을 거위를 길러서 멋지게 해결하였
다.
100여 마리의 흰 거위 군단은 창고 주위를 돌아다니다가 거동이 수상한 자가 나타나
면 큰 소리로 외쳐 대는 것은 물론, 떼거리로 공격을 가하곤 해서 감히 좀도둑이 침범
할 생각을 품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다.이런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져서 스코틀랜
드의 덤바튼에 있는 발랜타인 공장은 관광 명소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발랜타인의 품질관리 비결은 브렌딩 후의 재숙성(Marrying)과정에 있다고 주장한다.
즉 로우랜드 몰트인 인버레븐과 하일랜드 몰트 등 특색이 각기 다른 종류의 위스키 원
액들을 블렌더의 후각에 의해 결정한 비율에 따라 섞은 후 이것을 다시 오크통에 넣어
일정기간 숙성시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스카치 위스키가 다른 위스키에 비해 맛과 향
이 강한 것이 특징이지만, 일련의 발랜타인 제품은 비교적 맛이 부드러운 편이다.
발랜타인은 시리즈로 출고되는 제품이다. 프리미엄급으로는(주령이 30년인 발랜타인
30에서 시작하여) 17년인 발랜타인 17, 발랜타인 골드씰(Gold Seal, 12년), 스탠다드급
으로 발랜타인 화이니스트(Finest)가 있다. 특히 30년짜리는 블렌디드 위스키 중에서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고주로서 가격도 대단히 비싼 편이다. '영원한 사랑'과
'원숙한 품질'을 모토로 하는 발랜타인 제품군은 유럽 지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대표
적인 스카치 위스키로 손꼽히고 있다.
70년대 말 최초로 국내 위스키 시장을 태동시켰고, 80년대 중반까지 왕자로 군림하던
베리나인 골드는 바로 이 발랜타인 제품을 모델로 제조한 것이다. 병이나 상표는 물론
내용물까지도 발랜타인을 본떴다. 당시 베리나인 골드를 개발한 사람들은 발랜타인이
주질이 부드러워서 국내 위스키 소비자들의 기호에 잘 맞을 것이라는 판단에서 발랜타
인을 모델로 삼았다고 얘기한다.
*짐빔(Jim Beam)
1700년대 말 미국이 독립하여 한창 발전하기 시작할 무렵 캔터키 주에는 버번 위스
키 붐이 일고 있었다. 1795년 제이콥 빔(Jacob Beam)이 증류소를 세운 이래 6대에 걸
쳐 200년간 버번을 제조하여 온 것은 매우 희소한 일이다. 1920년대 금주법 시대를 지
낸 후 빔 가족은 사업을 재건하여 오늘날 짐빔을 가장 맣이 팔리는 버번 위스키가 되
도록 하였다.
짐빔사가 자리 잡고 있는 곳은 양질의 샘물이 풍부한 곳이다. 짐빔사는 품질의 비결
을 자연 효모를 사용하는 것이라 한다. 짐빔사는 버번 위스키의 산 증인으로서 짐빔 제
조 방법은 버번 위스키의 표준으로 되었다.
짐빔은 버번 위스키로는 드물게 다년간 숙성을 하여 고급 브랜드를 내고 있다. 스카
치 위스키에서는 흔한 일이지만 숙성 시 새 통만을 사용하는 버번 위스키에서는 흔한
일이 아니다.
짐빔은 저도주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경향에 편승하여 짐빔과 콜라를 믹수한 짐빔
콜라를 만들어 미국 및 동남아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한 미군들이 가장 즐기는 위스키로서 미국 위스키 하면 짐빔이 떠
오를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다.
*잭 대니얼(Jack Daniel)
술은 특히 전쟁 중의 병사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물건이다. 전투에서 지치
고 스트레스를 받은 병사들을 진정시켜 줄 수 있는 물품으로 술보다 더 나은 것은 없
기 때문이다. 미국 남북전쟁의 와중에서 북군에게 위스키를 공급하여 유명해진 위스키
가 있으니 그것이 바로 테네시 위스키를 대표하는 잭 대니얼이다.
소년 시절에 친척집에서 양조기술을 익힌 잭 대니얼은 1846년 테네시 주의 링컨 카
운티에서 잭 대니얼사(Jack Daniel Distillery)를 창업하였다. 그는 우연한 기회에 사탕
단풍나무로 만든 목탄으로 여과한 위스키의 맛이 매우 뛰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사탕단풍나무 숯(차 콜 필터)으로 위스키를 여과하는 공정을 도입하게
되었다. 이것은 미국의 위스키 분류 상 버번 위스키와 테네시 위스키를 구분하는 방법
이 되었다.
위스키의 품질에 자신감을 갖게 된 그는 동업자 친구와 함께 자신들이 제조한 위스
키에 벨 오브 링컨이라는 상표를 붙여서 80여 킬로미터나 떨어진 북군 주둔지에 판매
했다. 당시 군 주둔지에는 통행이 금지되어 있었으나 잭 대니얼은 일주일에 한 번씩 목
숨을 걸다시피 하며 위스키를 판매했다. 그들은 위스키를 실은 마차를 건초 더미로 덮
어서 위장한 다음 심야를 이용하여 병사들에게 위스키를 판매했다.
전쟁 중이라 즉석에서 총살을 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 있었지만 잭 대니얼 위스키의
맛에 매료된 병사들은 그들을 보호하여 주었다. 잭 대니얼은 남북 전쟁이 끝난 후 귀향
한 병사들의 입을 통하여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에 자신을 얻은 그는
아예 자신의 이름을 상표로 사용하게 되었다.
1865년 잭 대니얼은 린치버그라는 작은 마을의 계곡 물이 대량의 천연 지하수가 용
출되어 흐르는 것임을 발견하고 증류공장을 아예 그곳으로 옮겼다. 그곳은 위스키 제조
에 적합한 천혜의 지역이었다. 그는 이듬해 미국 최초로 위스키 공장을 정부에 합법적
으로 등록하였다. 1890년 세인트 루이스에서 열린 위스키 경연 대회에서 '잭 대니얼 올
드 넘버 7'이 최우수상을 획득한 이래 잭 대니얼은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명실공히
미국의 대표적인 위스키로 군림하고 있다.
잭 대니얼은 위스키 사업의 수익금의 상당부분을 자선 사업과 종교 분야에 투자함으
로써 개인적으로도 상당한 명예를 쌓았다. 그의 뒤를 이어 받은 조카는 그의 명성을 이
용하여 잭 대니얼 상표에 그의 초상화를 집어넣었다. 창업자의 이름을 회사명과 상표명
으로 하고 있는 잭 대니얼은 좋은 이미지를 계속 유지할 수 있었다. 콧수염을 길게 기
른 잭 대니얼은 지금 이 순간에도 자신이 만든 위스키를 열심히 팔고 있다.
*크라운 로얄(Crown Royal)
미국의 금주령이 해제되던 1934년부터 캐나디언 위스키는 날개 돋힌 듯 팔려나가 미
국의 위스키 시장을 점령하였다. 그리하여 맛과 향이 가벼운 캐나디안 위스키는 단맛이
풍기는 버번 위스키와 대조를 이루며 발전하였다. 그러나 값싼 위스키, 그저 그런 위스
키라는 인식은 지울 수 없었다.
그러다가 1939년 영국왕 조지 6세와 엘리자베스 공주가 캐나다를 방문한 것을 계기
로 이러한 통념은 깨어지게 되었다. 영연방국가인 캐나다로서는 영국 왕의 방문은 크나
큰 영광이었다. 이 영광을 빛내기 위한 진상품이 있었으니 바로 '크라운 로얄'이었다.
세계에서 가장 고급스런 위스키를 모토로 탄생한 크라운 로얄은 캐나다 대륙을 횡단하
여 밴쿠버로 가는 왕실 열차 안에서 개봉되었다.
정교하게 조각되어 보석 같은 왕관 모양의 미려한 병은 부드럽고 깊은 맛을 지닌 황
금색 위스키에 투사되는 빛을 현란하게 반사하여 황홀함을 더해 주고 있다. 이 병은 전
량 융단 주머니에 넣어 판매되고 있다. 자색이 융단 주머니는 금색 끈으로 장식되어 있
어 위스키의 품위를 한층 높여주고 있다.
그 후 크라운 로얄은 엘리자베스와 에든버러공의 결혼식과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
에 진상되었다.
1948년 2월 엘리자베스는 씨그램사에 감사의 서한을 보냈다. 이로서 크라운 로얄의
명성은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크라운 로얄은 캐나디언 위스키의 전반적 특징인 가벼움을 지니면서도 과일향이 은
은하게 스며 나오며 비단같이 부드러운 맛을 낸다. 목에 넘어 갈 때의 부드러움은 어느
술에도 뒤지지 않는 최고급의 위스키이다.
#양주 마시는 법
위스키를 마시는 데는 대개 컵처럼 생긴 온더락스 잔(On The Rocks Glass: 200ml)
과 소주 잔보다 폭이 절반 정도인 숏 글라스(Shot Glass: 30ml) 그리고 칵테일 잔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위스키와 브랜디는 알콜 농도가 40% 이상이다. 알콜 농도 40도 정도에서
술에 녹는 성분들이 많은 변화를 일으키므로 향미를 좋게 하기 위하여 도수를 40도 이
상으로 한다.
고도주를 좋아하는 사람드은 숏 글라스로 그냥 마시는데 흔히 스트레이트(Straight)
로 마신다고 한다. 그러나 스트레이트로 마시면 너무 강하여 입안과 목이 화끈거리고
제대로 향과 맛을 느낄 수 없다. 그리하여 큰잔에 위스키와 찬물을 섞어 희석한 후 마
시는 사람들도 많다. 이것을 보완하여 온더락스 잔에 얼음 조각을 넣고 위스키를 따라
마시게 되었는데 요즈음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되었다.
물론 다양한 칵테일이 생겨 취향에 따라 자기 나름대로의 방법을 갖게 되었다. 브랜
디나 진, 럼, 보트카도 마시는 방법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브랜디의 세계
십자군 전쟁을 통해 아랍의 연금술사들로부터 전수된 증류 기술은 프랑스에서는 와
인을 증류하는 데 사용되었다.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술이 브랜디이다. 브랜디의 어원
을 살펴보면 그 성격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브랜디의 어원은 프랑스어인
Brandewjin(Burnt Wine-즉 구운 포도주)에서 파생된 것이다.
브랜디는 와인(과실주)의 원료가 무엇인가에 따라 포도 브랜디, 사과 브랜디, 체리 브
랜디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브랜디라고 하면 포도 브랜디를 말한
다. 아일랜드나 스코틀랜드에서 위스키가 제조되기 시작한 13세기경부터 프랑스에서도
브랜디가 제조되기 시작했다.
브랜디는 처음에는 수도원에서 약으로 사용되거나 와인이 산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 와인을 만드는 알코올로 사용되었다. 브랜디가 대량 제조되어 널리 애용되
기까지는 다음과 같은 에피소드가 있다.
프랑스의 포도 주산지로는 보르도, 부르고뉴, 롱느, 샹파튜, 꼬냑, 그리고 아르마냑 지
방이 손꼽힌다. 영국의 기후는 포도 재배에 그다지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영국인들은
프랑스나 이탈리아 등지에서 와인을 수입하였다. 17세기 후반 네덜란드의 상인들은 꼬
냑과 아르마냑 지방에서 생산된 값싼 와인을 영국으로 수출하였다. 그러나 이 와인들은
보르도 지방에서 수입된 와인의 풍미에 눌려 판매되지 못하고 저장고 안에 대량으로
체화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궁지에 몰린 무역상인들은 와인을 증류하여 저장하기로 했다. 처음에 증류한 브랜디
는 무색의 거친 증류주일 뿐이었다. 그러나 자작나무나 오크나무로 만든 통에 저장된
브랜디는 색깔과 향과 맛이 기막히게 어우러진 전혀 새로운 술로 변해 있었다.
보르도 지방의 와인에 눌려 기를 펴지 못했던 꼬냑지방의 와인 업자들은 뜻밖에도
브랜디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리하여 꼬냑 지방에서는 와인보다는 브랜디 제조에 힘
쓰게 되었다.
요즈음 사람들이 카페에 가서 브랜디를 한 잔 마시고 싶을 때도 '꼬냑 한 잔 주시오'
라고 주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브랜디 한 잔 주시오'라고 하는 것이 올바른 것이에도
불구하여 브랜디 대신 꼬냑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다. 꼬냑은 프랑스의 지방 이름이지
만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브랜디가 워낙 유명한 탓에 사람들은 숫제 브랜디를 꼬냑으
로 혼동해서 부르고 있는 것이다.
꼬냑에서는 10월 말경부터 발효가 끝난 와인을 증류한다. 꼬냑 증류기는 1,000리터
정도의 전통적인 소형 단식 증류기(pot still)인데 2회 증류해서 알코올 농도 70% 가량
의 원액을 얻는다. 모든 브랜디는 위스키처럼 오크통에서 숙성을 시키는데, 꼬냑 지역
에서는 흰색 오크나무 통을 사용한다.
꼬냑에 버금가는 브랜디 생산 지역으로 아르마냑이 있다. 아르마냑에서는 반연속식
증류기로 1회 증류를 하는데 알코올 농도는 50% 정도이며 숙성은 검은색 오크나무 통
을 사용한다.
브랜디의 품질은 포도와 발효, 그리고 증류솥의 모양 및 숙성 등에 따라 천차만별이
다. 따라서 모든 브랜디 원액이 완벽하게 우수한 품질과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그 때문에 브랜디 제품은 거의가 여러 증류 공장에서 숙성된 원액을 블렌딩해서
제조한다.
꼬냑과 아르마냑의 브랜디는 콩트(Compte)라는 단위로 주령을 관리하는데, 전 해의
와인이 완전히 증류되는 매년 4월 1일을 콩트 0으로 표기하며, 1년이 지나면 콩트 1로,
2년이 지나면 콩트 2 등으로 표기한다.
꼬냑과 아르마냑의 모든 브랜디는 최소한 콩트 1 이상 숙성시킨 제품이라야 한다. 트
리 스타는 콩트 2 이상이어야 하며 V,S,O,P는 콩트 4 이상이어야 한다. 콩트 6 이상이
면 X,O나 나폴레옹(Napoleon)으로 표기할 수 있다.
주령에다 왜 나폴레옹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가 하고 의아해 할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나폴레옹은 1811년에 아들을 낳았는데, 그 해의 포도 농사가 대 풍작을 이루었을 뿐 아
니라, 그 해에 증류한 브랜디의 품질도 특별히 우수했다. 브랜디 제조업자들은 그 해의
풍작과 황태자의 탄생을 기념하면서, 동시에 자기가 제조한 브랜디가 최고급이라는 표
시로 상표에 나폴레옹이라는 명칭을 쓰게 된 것이다.
꼬냑(Cognac)과 아르마냑(Armagnac)의 유명 브랜디
꼬냑은 프랑스에서도 서부 대서양으로 유입하는 지롱드 강의 북부에 위치한 지역으
로서 강 남부에 있는 보르도 지방과 이웃해 있다.
이 지역은 석회질 토양으로 주로 생산되는 포도의 품종은 우니 블랑(Ugni - Blanc)
인데, 워낙 신맛이 강해서 이 지역에서 제조되는 품질이 좋지 않았다. 그러나 사람들은
석회질이 강한 토양에서 생산된 포도로 만든 브랜디가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35년 와인에 대한 A.O.C. 제정 당시 브랜디에도 토지의 등급을 정하게 되었는데,
이때 지정된 지역은 핀느 샹파뉴(Fine Champagne), 그랑 샹파뉴(Grand Champagne),
보르더리(Borderies), 팡 부와(Fin Bois), 봉 부와(Bon Bois), 부와 오르디네르(Bois
Ordinaires) 등 6개 지역이다. 이 가운데 최상급의 브랜디를 생산하는 핀느 샹파뉴, 그
랑 샹파뉴, 보르더리의 3개 지역은 상표에 직접 표기하나, 나머지 3개 지역은 그냥 꼬
냑으로만 표기한다. 지명이 샹파뉴이지만 샴페인을 만드는 샹파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핀느 샹파뉴의 브랜디는 향이 가볍고 부드러우며, 반대로 그랑 샹파뉴의 브랜디는 향
이 무겁고 강해서 이 두 지역의 브랜디를 블렌딩하면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보르더리의 브랜디는 향이 풍부하고 맛이 부드러워서 그 자체로 좋은 평
가를 받고 있다. 나머지 세 지역에서 생산되는 브랜디는 주로 블렌딩용으로 사용된다.
꼬냑 지역의 유명한 브랜디 제조회사로는 마르텔(Martel), 헤네시(Hennessy), 쿠브와
지에(Courvoisier) 등 3대 메이커를 비롯하여 카뮤(Camus), 레미 마르탱(Remi martin),
폴리냑(Polignac), 고티에르(Gautier), 하인(Hine) 등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회사들이
많다. 아르마냑은 스페인 접경 지역인 피레네산맥 북쪽에 위치하여 여름은 뜨겁고 겨울
에는 추운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 꼬냑 지역과는 기후가 판이한데다 토양도 사력
질이어서 포도의 품종도 바코(Baco)를 주로 사용한다. 아르마냑은 바사르마냑(Bas
Armagnac)과 테나레즈(Tenareze), 그리고 오아르마냑(Haut Armagnac)의 3개 지역으
로 나뉘어져 있으나, 가장 품질이 좋은 바샤르마냑을 제외하고는 단순히 아르마냑으로
만 표기한다. 아르마냑 지역의 유명 회사로는 샤토 드 로바드 (Chateau De Laubade),
샤보(Chabot), 마르키 드 비브락(Marquis De Vibrac) 등이 있다.
꼬냑과 아르마냑의 품질을 비교해 보면 꼬냑은 우아한 여성 같은 풍미를 지니고 있
는 반면, 아르마냑은 강렬한 야성미가 풍겨 나오는 브랜디라고 할 수 있다.
*사랑의 메시지 마르텔
꼬냑 브랜디를 세계적 고급 증류주로서 개척해 온 장본인이 바로 마르텔가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정도로, 마르텔은 역사나, 생산 규모, 혹은 품질의 우수성이라는 측면에서
꼬냑을 대표하는 브랜드이다.
쟝 마르텔이 1715년 꼬냑 지방에서 브랜디를 제조하기 시작한 이래 마르텔가는 8대
에 걸쳐서 가업을 전승했다. 꼬냑의 역사는 곧 마르텔가의 역사에서 찾을 수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헤네시사도 초창기 한때 마르텔과 동업을 한 적이 있다.
꼬냑 지방에는 소규모의 증류 공장이 산재해 있는데 마르텔은 33개소의 자가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22개의 증류 공장과 계약을 맺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라 할 수 있는
12개소의 자체 포도원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랑 샹파뉴와 퍼티트(핀느) 샹파뉴 등 꼬냑
지역의 핵심부 내 2,500여 농가와 계약 재배를 하고 있다.
꼬냑 지방에 가면 낮은 구릉의 지평선 너머까지 마치 병사들이 도열해 있는 것처럼
포도나무가 줄지어 있는 광경을 보게 된다. 마르텔의 포도원에서는 폴레 블랑체, 콜롬
바드, 우니 블랑 등 브랜디 전용 포도 품종을 재배하는데 모두가 청포도 품종이다. 가
을이 되면 조용하던 꼬냑의 포도원은 포도를 수확하는 농부들로 법석을 이룬다.
마르텔은 전량 리무진 오크통에서 숙성을 시킨다. 리무진 오크는 루이 14세 당시 재
무장관이던 콜베르가 프랑스 해군의 전함을 만들기 위해 꼬냑 동부의 리무진 지역에
조성한 오크나무 숲에서 생산된다. 오크 목재는 5년 이상 자연 상태에서 건조시킨 후
사용한다. 현재 마르텔의 원액 보유량만 하더라도 세계 최대인 약 150,000배럴이라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마르텔은 명실공히 세계 최대의 꼬냑 회사이다.
부침이 심한 브랜디 업계에서 280년 이상 지속적으로 성장해 온 마르텔의 비결은 무
엇일까? 마르텔사측은 서슴없이 대를 이어온 블렌딩 기술 덕분이라고 얘기한다.
아무리 뛰어난 단일 증류공장에서 생산된 브랜디라도 자체로서 모든 품질요소를 다
갖추고 있지는 못합니다. 마르텔에서는 대를 이어온 셀러 마스터(위스키의 마스터 블렌
더에 해당하는 직책)와 그의 팀이 개성있는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라는 것이 마르텔의 주장이다.
마르텔에서 생산하는 유명 제품으로는 마르텔 스리 스타, 코르동 느와르, 30년생 코
르동 블루가 있으며, 연간 1,400병만을 생산하여 한정 판매하는 60년 생 엑스트라의 그
윽한 향기는 수성의 극치를 보여 준다.
사랑의 메시지 마르텔. 소리없는 부드러움으로 전해 오는 마르텔. 아직도 못다 한 사
랑의 이야기를 마르텔과 함께 하세요.
오늘도 마르텔의 사랑의 메시지는 전 세계에서 울려 퍼지고 있다.
*헤네시 꼬냑(Hennessy)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굴착기를 포크레인이라고 부르고 있다. 포크레인은 굴착기의
한 제품명에 불과한 것임에도 하도 유명해서 굴착기의 대명사가 되어 버린 것이다. 브
랜디와 꼬냑의 관계가 이와 같다. 꼬냑이 브랜디의 대명사가 된 것은 헤네시사의 제품
에 최초로 '꼬냑' 이라는 명칭을 붙인 데서 기인한다.
창업자인 리차드 헤네시(R. Hennessy)는 루이 14세의 근위대에 속한 아일랜드 출신
의 병사였다. 꼬냑 지방에 주둔한 연대에서 근무하던 그는 간간이 고향으로 브랜디를
보냈다. 아일랜드는 스코틀랜드와 함께 위스키의 본고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브랜디의
독특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그래서 아일랜드의 친구들은 헤네시에게
브랜디를 더 많이 보내 주도록 요청하곤 했다.
1765년 뜻밖의 부상으로 군에서 명예 제대한 헤네시는 브랜디 수출이 전망이 좋은
사업이라고 확신하고 그대로 꼬냑 지방에 눌러 앉아 브랜디 사업을 시작하였다. 그 후
헤네시의 후손들이 회사를 조직적으로 발전시켰다.
창업 1세기 후 헤네시사는 꼬냑업계에서 최초로 병을 사용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전까지는 목통 단위로 거래되었기 때문에 소비처가 제한되었었는데 병을 이용한 혁
신적인 브랜디 포장으로 판로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 1865년부터는 상표에 스리 스타
를 표시하였는데 숙성 기간을 보증한다는 뜻이었다. 이렇게 하여 헤네시는 좋은 품질의
브랜디라는 인식을 주게 되었다. 헤네시사는 블렌딩 비법이 품질관리의 생명이라고 여
기고 있다. 실제로 블렌딩을 책임진 셀러 마스터가 대를 이어 품질 관리를 전담하고 있
다.
헤네시사는 꼬냑 지방에 백 만평 이상의 포도원과 28개의 증류공장을 소유하고 있다.
자체 생산한 원액뿐만 아니라 꼬냑 지방의 수십 개 소규모 증류공장으로부터 원액을
수집하여 이를 블렌딩하여 숙성시키는 대규모의 원액 숙성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헤네시는 금으로 된 도끼를 든 무사의 팔을 상표로 하고 있어서 일명 '금도끼'라고도
불리는데 스탠더드제품으로 헤네시 스리 스타, 그리고 30년 저장한 원주를 블렌딩한
V,S,O,P가 유명하다. 1971년 헤네시사는 굴지의 샴페인 회사인 '모에 샹동(Moet &
Chandon)'과 합쳐서 모에 헤네시 그룹이 되었다. 이 회사는 유명한 동 페리뇽 샴페인
을 생산하고 있다.
헤네시사는 꼬냑의 3대 메이커의 하나로서 꼬냑이 브랜디의 대명사로 남아 있도록
하기 위해 마케팅이나 광고에서도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중에서 팔리고 있는 술 가운데 가장 비싼 것은?
-프랑스산 꼬냑 '루이13세' : 700ml 짜리 한병에 200만원을 넘음(1996년 일부 국회의
원이 유럽 시찰을 마치고 귀국하 서 몰래 들여오다 말썽이 되었던 술로 병 뚜껑 부분
이 14금으로 장식되어 있어서 빈병 값만도 7~8만원을 호가한다고함)
-프랑스산 와인 '샤토 페트르스(Chateau Petrus)' : 가격은 100만원선(보르도 지방의
포메롤 지구에서 생산되며 보르도의 8대 와인 가운데 하나).
-샤토 디캉(Chateau d' Yquem) : 90~100만원.
-인버 하우스(Inver House) 35년짜리 : 99만원(이 술은 매년 780병만 생산하기 때문
에 희귀성 면으로도 세계적으로 유명함).
-위스키 '롭 로이(Rob Roy)' 30년짜리, '킹 스트라이트(King Strite)' 30년짜리 : 53만
원 선.
-발랜타인 30년짜리 : 43만원선.
*쿠브와지에(Courvoixsier)
마르텔, 헤네시와 함께 세계 3대 꼬냑 메이커의 하나로 손꼽히는 쿠브와지에사는 다
른 메이커들과는 달리 자가 포도원이나 자가 증류소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순수한 블
렌딩 전문기업이다. 그러나 막대한 원액 저장량이나, 그것을 자사의 숙성 시절에서 숙
성시킨 다음 이를 블렌딩하여 상품화하는 기술 수준은 세계 최상급의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꼬냑시의 인근 자르낙 시의 샤랑트 강변에 본사를 둔 쿠브와지에사는 1790년 파리
의 와인 전문상인이었던 엠마뉴엘 쿠브와지에가 창업한 회사이다. 쿠브와지에는 나폴레
옹의 친구였으며, 나폴레옹은 그가 헌상한 꼬냑을 즐겨 마셨다. 나폴레옹이 엘바 섬으
로 귀향 갈 때도 이 꼬냑을 가져가 외로움을 달랬다 한다. 쿠브와지에는 나폴레옹의 팬
이었으므로 그의 입상을 쿠브와지에의 심벌 마트로 썼다.
쿠브와지에사에서 생산하는 유명 제품으로는 쿠브와지에 스리 스타, 쿠브아지에 엑스
트라 V,S,O,P, 그리고 쿠브와지에 나폴레옹 크리스털 디캔더가 있다.
쿠브와지에사와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쿠브와지에 박물관이다. 이 박물
관에는 1789년 이후 생산된 거의 모든 꼬냑이 전시되어 있어서 전 세계의 꼬냑 팬들이
몰려드는 꼬냑 지역 최고의 관광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쿠브와지에의 향은 풍부하며 진한 리무진 오크향이 뒷맛으로 남는다. 스리 스타가 가
장 많이 팔리고 있다.
노르망디인들과 칼바도스(Calvados)
프랑스의 북서쪽 해안에 있는 노르망디 지방은 역사적으로 수많은 사건이 일어난 지
역이다. 고대에는 켈트족이 거주했고 9세기에는 노르만인이 침입하여 점령한 지역이었
다.
영국과 인접한 탓에 한때는 영국 영토가 된 적도 있으며 2차 대전 때는 연합군이 독
일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한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유명하다. 전략적 요충지였던 이곳
에는 여러 종족이 얽히어 산다.
이 지방은 겨울이 춥고 여름에도 습기가 많아 포도재배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신 한
랭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사과의 주산지이다.
다양한 종족이 모인 이곳은 예로부터 미식가들이 많아 음식문화가 발달했다. 그들은
오래 전부터 사과즙으로 시드르, 즉 사과주를 만들어 마셨다. 우리나라에서는 무색 청
량음료를 사이다라고 부르지만 유럽에서는 사이다(Cider:불어로 시드르)하면 사과주를
말하는 것이다.
18세기 이후 프랑스 남부의 꼬냑 브랜디가 명성을 날리기 시작할 무렵 노르망디 사
람들은 시드르를 증류하여 브랜디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 중 칼바도스 지역의 사과 브
랜디가 특히 품질이 좋아서 상표에 아예 칼바도스를 표기하여 특산품임을 과시했다. 오
늘날 칼바도스는 사과 브랜디의 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사과의 약간 시면서도 입안을 상큼하게 하는 맛이 그대로 남아 있는 칼바도스는 대
체로 감칠맛과 그윽한 기품을 지니고 있는 술로 평가받고 있다. 칼바도스 중에서도 최
상급인 페이도쥬 지방 제품은 꼬냑과 같이 2회의 단식 증류를 하며 라벨에는 A.O.C법
에 따라 '아페라숑 페이도쥬 콩트롤레'라고 표기되어 있다. 저급의 칼바도스는 연속식
증류를 통해 생산되며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페이도쥬 지역의 소규모 칼바도스 제조자들은 협동 조합(C.D.R)을 만들어서 공동 제
품을 출하하였는데 유명한 바론 란돌프 V,S,D,P가 그것이다. 칼바도스 뷰넬사와 칼바
도스 볼라사는 C.D.R.과 함께 칼바도스의 3대 메이커에 속한다.
흔히 '노르망디의 밑 빠진 독'이라 불릴 정도로 노르망디인들의 식사량은 엄청난 편
이다. 그들은 결혼 피로연 등 잔치가 있을 때면 하루 종일 먹고 마시기만 하는 것 같
다. 통상 유럽인들은 술을 마실 때 천천히 맛과 향을 음미하는 스타일이다.
그러나 노르망디 사람들은 칼바도스를 단숨에 목구멍으로 털어 넣는 식으로 마시는
데, 그 이유는 칼바도스의 향 때문에 다른 요리맛에 영향을 주지 않도 하기 위해서라
고 한다. 글쎄, 이걸 미식가들다운 주법이라 해야 할지...
다양한 증류주
이뇨제용으로 제조된 진(Gin)
1650년대에 네덜란드의 라이덴 대학 약학 교수이던 프란시스코 살바우스 박사는 약
재와 알코올을 이용해서 약술을 만들었다. 그는 이뇨제로 알려진 주니퍼 베리(노간주열
매)의 약효에 주목하고 이를 알코올에 담구어 침출시킨 후 증류하여 약국에서 팔도록
했다. 이 약은 해열 및 이뇨작용이 뛰어나 날개 돋힌 듯이 팔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겨울이 길고 흐린 날이 많은 네덜란드의 사람들, 특히 애주가들은 이 약품을
아예 술로서 마시기 시작했다. 이 술은 주니버(Geneva)와인이라 불리었는데, 이것이 17
세기 말경 영국으로 전파되면서 진(Gin)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17세기 말 네덜란드 출신으로 영국 왕에 즉위한 윌리엄 3세는 진을 즐겨 마셨다. 그
덕분에 진은 일반 노동자들의 술로 널리 음용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진은 '제왕이 부
럽지 않은 가난(ROYAL POVERTY)'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아무리 가난한 사람
이라도 이 술을 마시고 취하면 제왕 같은 기분을 낼 수 있다는 이야기인 것이다. 그런
데 가난한 사람들이 왕이 된 기분을 만끽하기 위해 너도나도 이 술을 마시는 바람에
영국이 어느새 주정뱅이들의 국가로 변모했다는 웃지 못할 에피소드도 있다.
진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런던 타입과 네덜란드 타입이 있다. 19세기 들어 연속식 증
류기가 개발되면서 영국에서는 옥수수, 대맥, 아이보리 등을 원료로 고농도의 알코올을
만들고, 주니퍼 베리, 커리 앤 시이즈 등으로 향기를 낸 진을 제조하기 시작했다. 이 술
은 숙성을 시키지 않기 때문에 무색 투명하고 맛이 산뜻하며 드라이하다. 이에 비해 네
덜란드에서는 전통적인 제법을 고수하여 중후한 풍미의 진을 제조하고 있다. 오늘날 진
이라고 하면 런던 타입으로 만든 것을 가리키며 이름도 통상 '드라이 진'이라고 부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진이 대량으로 소비되기 시작한 것은 80년대 중반이었다. 진토닉 등 진
을 이용한 칵테일이 크게 유행했는데 진을 너무 많이 마셔서 숙취에 시달린 술꾼들도
많았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겠으나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당시의 권력자들은 소주,
진(현재는 일반증류주, 당시에는 기타 재제주로 분류되었음), 막걸리 등의 주세를 낮게
매겨서 일반 서민이 싼값에 술을 많이 마실 수 있게 하는 정책을 펼쳤다. 하고 싶은 말
이 있어도 말을 할 수 없었던 대중들은 술 한잔으로 울분을 달래야 하는 시절이었다.
정통성을 갖지 못한 통치자들이 서민을 달래는 수단의 하나로 값싼 술을 공급하게 했
던 게 아닐까 싶다. 이 땅의 술꾼들이 값싼 대중주로 진을 마실 수 있었던 시절을 떠올
리며 아마도 이것이 윌리엄 3세로부터 배운 고도의 정치적 술수가 아니었을까 하는 느
낌을 지울 수 없다.
진은 특유의 주니퍼 향기와 상큼한 뒷맛을 가지고 잇어서 한두 잔 정도 마시기에는
그지없이 좋은 술이다. 그러나 진을 많이 마시면 술 속에 함유된 약효가 발동되어 오히
려 몸에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일주일의 피곤한 일과를 마치고 주말 저녁에 부부나 연
인이 마주 앉아 레몬즙 한방울을 곁들인 진토닉을 앞에 놓고 담소를 나누면 진의 참맛
을 만긱할 수 있을 것이다.
무색, 무미, 무취의 술 보드카(Vodka)
청주는 글자 그대로 맑은 술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맑은 술이 보드카이
다. 따라서 진정한 청주는 바로 보드카라고 할 수 있다.
보드카의 어원은 즈이즈네니야 바다(생명의 물)에서 물을 뜻하는 바다가 애칭형인
보드카로 변한 것이다. 따라서 그 의미는 위스키나 브랜디와 마찬가지로 Aqua Vita(생
명의 물)이다. 보드카는 오랜 세월에 걸쳐 러시아인들의 사랑을 받아 온 술이다. 왠지
이름에서부터 광활한 러시아의 설원 풍경이 떠오르는 것만 같다. 눈보라 치는 시베리아
의 설원을 헤치며 썰매를 타고 온, 털외투를 입고 콧수염에 고드름을 매단 거한들이 마
시는 술, 그것이 바로 보드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드카는 이미 12~13경세기부터 러시아에서 생산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당시에는 보
드카의 원료인 옥수수나 감자, 혹은 라이 보리 등이 러시아에서 재배되지 않고 있을 때
이므로 원료가 무엇이었을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그 무렵의 보드카는
벌꿀을 원료로 하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러시아는 공산 체제 하에서도 보드카를 다량으로 소비했다. 마지막 서기장으로서 자
유화의 영웅이었던 고르바초프는 실은 보드카 금주를 실현시키려다 실각당했다는 얘기
가 있을 정도로 보드카는 러시아인들의 사랑을 받는 술이다. 그의 뒤를 이어서 러시아
의 초대 대통령이 된 보리스 옐친은 에이레를 방문했을 당시 보드카를 과음하여 정상
회담을 연기한 적도 있을 정도로 광적인 보드카 애호가로 알려져 있다.
보드카는 러시아 전역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옥수수, 감자, 밀, 보리 등을 발효시켜
양조한다.
이 거친 술은 연속식 증류기에 의해 알코올 농도 85%의 주정으로 증류된다. 갓 증류
된 보드카는 물과 희석시킨 다음 한 대림에서 많이 나는 자작나무 숯으로 여과시킨다.
자작나무 숯은 참나무 숯과 함께 가장 훌륭한 숯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여과 과정을 통
해 술에 녹아 있는 일체의 향미 성분이 제거된다. 이 과정을 통해 거의 순수한 주정에
가까운, 크리스탈과도 같이 빛나는 무색, 무미, 무취의 술 보드카가 탄생되는 것이다.
소련의 유명한 보드카는 스미르노프(Smirnoff)인데 근래에 들어서는 미국으로 이민
간 스미르노프가의 후손이 미국에서 제조한 스미르노프 보드카가 역으로 러시아에 수
입되어 시판되고 있어 러시아 보드카의 자존심을 건드리고 있다.
보드카는 순수한 알코올 그 자체여서 무미 건조하기 때문에 술의 향과 맛 그리고 빛
깔을 음미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칵테일이 널리 보급되면서 보드카는 오히려
무미 건조하다는 특성으로 인해 칵테일 베이스로서 크게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체리, 레몬 등의 향미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것들은 보드카와 칵테일함으로써 좋아
하는 과일의 향미와 술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이것이 보드카가 가진 최대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맛없는 술을 이용하여 정말 맛있는 술을 만드는 아이러니가 보드카의
세계 속에 들어 있다.
#주세 정책은 국민의 건강을 고려?
성인의 질병 발생은 성인의 40%가 음주의 직간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는데, 우리나라 주세 제도는 알코올 농도 25%인 소주의 주세율은 판매원가의 35%, 알
코올 농도 4%인 맥주의 주세율은 130%. 독한 술을 많이 마시라는 것인가?
*북국의 술 앱솔루트(Absolut)와 핀란디아(Finandia)
동서양을 막론하고 눈을 싫어하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사람들이 눈을 좋아하
는 이유는 그 하얀색의 순수함에 있지 않을까 싶다. 기나긴 겨울을 눈 속에서 사는 북
구인들은 대체로 독주를 즐기는 편인데, 아마도 독주의 열기와 설국의 정취 속에 한데
어우러지는 그 무엇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북구 사람들은 주로 담백하고 순수한 보드카 계통의 술을 마시는데, 그 가운데 스웨
덴의 앱솔루트(Absolut)와 핀란드의 핀란디아는 북구에서 생산되는 보드카의 백미로
인정을 받고 있다.
1879년에 개발된 앱솔루트는 스웨덴 남주의 윤택한 대지에서 생산된 밀을 원시의 침
엽수림을 통과한 깨끗한 물로 양조하여 증류한 그레인 보드카이다.
앱솔루트는 병 디자인이 단순하면서도 강한 이미지를 풍기고 있으며, 상표를 병에 직
접 인쇄하여 병 속의 맑고 투명한 액이 그대로 보이도록 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보드카
의 이미지에 가장 잘 어울리는 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병에서 풍기는 이미지와는
대조적으로 앱솔루트는 매우 마일드한 술이라는 특색을 가지고 있다. 앱솔루트는 병을
의인화하여 병에 나비 넥타이를 맨 모양을 광고한 것으로 유명하다.
스웨덴과 같이 북구에 위치한 핀란드산 보드카인 핀란디아(FILANDIA)는 숲과 호수
사이의 평원에서 풍부하고 생산되는 밀과 보리 등 100% 곡물만을 사용하여 만든 술이
다. 고드름을 디자인한 무늬로 장식한 핀란디아의 병은 차고 순수한 이미지를 갖고 있
다.
핀란드인들은 핀란디아를 '흰 영양의 밀크'라 부르는데 그들은 한여름의 길고 긴 백
야를 보드카와 함께 지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백야에 흰 순록 두 마리가 힘겨루기
하는 모습을 상표에 새기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드카가 그러하듯이 앱솔루트와 핀란디아는 주로 칵테일의 베이스로 많
이 이용된다. 이를 이용하여 만든 대표적 칵테일인 스크루 드라이버(Screwdriver)는 보
드카와 오렌지 쥬스를 2대 5의 비율로 섞고 얼음을 넣은 다음 긴 칵테일잔 상단에 오
렌지 슬라이스 한쪽을 끼운 것이다.
처음에는 거의 술맛을 느끼지 못할 정도이기 때문에 이름이 풍기는 이미지처럼 여성
을 취하게 만들어 유혹하기에 좋은 술이라고 알려져 왔지만 실상 그러한 목적에서 만
들어진 술은 아니다.
#술과 체온
험준한 알프스 산악에서 조난 사고가 나면 구조대의 대원으로 견공이 합세한다. 이
개는 대개 세인트 버나드종으로서 송아지만큼 크고, 뛰어난 후각으로 조난자의 위치를
빠르게 찾아낸다. 개의 목에는 수통이 달려 있는데 그 통에는 브랜디가 담겨 있고, 개
는 브랜디를 조난자가 마실 수 있도록 도와준다. 조난자가 온기를 회복하여 희망을 잃
지 않고 기다리는 사이 구조대가 도착하여 구해 낸다. 이것은 알프스 산록에 있는 수도
원 수사들이 조난자를 구하기 위한 지혜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서 한잔의 브랜디는 추위
에 더는 조난자에게 온기를 주고 생명을 소생시키는 생명수로 여겨진다.
겨울이 춥고 긴 러시아의 사람들은 보드카를 좋아한다. 추위를 이기는 데는 입에서
불이 나는 듯한 독주가 제격이라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 만주 지방에 독한 고량주가 발
달한 것이나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위스키가 유명한 것은 이러한 생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술을 먹으면 체온은 내려가게 된다. 추울 때 체온이 강하하면 외기온도와의
차가 줄어들어 추위를 덜 느끼게 되는 데서 이러한 습속이 비롯된 것이 아닌가 싶다.
태양과 정열의 술 럼(Rum)
적도 부근의 열대 지방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사탕수수에서 설탕의 결정을 분리해
낸 찌꺼기, 즉 당밀을 가지고 만드는 술이 럼주이다.
이 술이 처음 태어난 지역은 카리브해 연안이지만, 오늘날은 사탕수수가 재배되는 열
대 지역 어디서나 양조되고 있다. 이 지역 사람들은 럼주를 태양의 술이라고 부른다.
그만큼 성격이 불같은 카리브해 연안 지역의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술이다. 어린이 소
설인 '보물섬'에서 애꾸눈의 해적선장이 부하들과 함께 호탕하게 마시는 술이 바로 이
럼주이다.
럼은 원료의 품질이나 증류 및 숙성 방법 등의 차이에 따라 풍미가 가벼운 라이트
럼,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미디엄 럼, 중후한 풍미를 지닌 헤비 럼으로 구분되며, 색
깔도 무색 투명한 것에서 짙은 갈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단일 브랜드의 증류주로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술은 단연 바카르디(Bacardi)
럼주이다. 미국의 뉴욕 주에서는 일요일에는 소매점에서 술을 팔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토요일이면 주말에 마실 술을 미리 사두기 위하여 리커 스토어에 수
십 미터씩 줄을 서는데 이때 절반 이상의 사람들이 손에 바카르디 병을 들고 돌아간다
고 한다.
19세기 말 돈 파쿤드 바카르디라는 스페인계 쿠바인에 의해 설립된 바카르디라사는
100년 동안 단일 가족경영을 하면서 거친 맛을 내는 불순물을 상당 부분 제거하여 부
드럽고 무색 투명한 라이트 계열의 바카르디 럼을 생산하여 전 세계로 보급시켰다.
쿠바 사태가 일어난 후 바카르디사는 본사를 버뮤다로, 그리고 공장을 푸에르토리코
등지로 옮겨갔는데 그곳에서도 성장을 계속했다. 그러나 럼은 전반적으로 향이 비교적
약하며 약간은 거친 맛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스트레이트로 마시는 것보다는 다른 음
료와 섞어서 마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점에 착안한 바카르디사는 콜라와 바카르디
를 칵테일에서 마시는 럼앤콕(Rum and Cock)을 유행시키기 시작했는데 이 작전이 대
성공을 거두었다.
정열적인 성격의 스페인계 중남미인들은 자나깨나 공산 독재 치하의 쿠바를 걱정했
다. 그들은 럼앤콕의 잔을 부딪치면서도 '쿠바 리브르(쿠바의 자유를 위하여)'를 외쳤다
고 한다. 미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럼앤콕을 마실 때는 이 구호를 외친다고 한다.
80년대 중반부터 미국에서는 증류주의 소비량이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했으나, 바카르
디사는 처음부터 열대 과일 주스와 럼을 섞은 럼펀치(Rum Punch)를 개발하여 오히려
대히트를 쳤다. 애주가들이 각종 열대 과일 맛과 향, 그리고 럼의 정열을 한꺼번에 즐
길 수 있도록 만든 바카르디사의 작전이 불황을 이기도록 만든 요인이 된 것이다.
바카르디로 만든 럼앤콕 한 잔에는 열대의 정열과 함께 자유를 향한 카리브해 사람
들의 열망이 이글이글 타오르고 있다.
테킬라(Tequila)
멕시코인들은 원샷(one shot) 음주문화의 원조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술을 급히 마신
다. 그들이 즐기는 술인 테킬라(Tequila)는 투우사의 정열만큼이나 강열한 술이다.
옛날부터 멕시코인들은 사막에서 자라는 용설란의 일종인 캑토스 사보텐의 즙을 발
효시켜 술을 만들었다. 요즘 들어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는 알로에 즙을 이용하여 술
을 만들면 아마도 테킬라의 베이스라고 할 팔케(Pulque)와 흡사할 것이다.
팔케는 캑토스 사보텐 즙을 발효시킨 하얗고 걸쭉한 마치 막걸리 비슷한 양조주인데
맛과 향이 고약해서 처음 마시는 사람은 구역질을 할 정도이다. 아즈테크 문명을 일으
킨 멕시코인의 선조들은 팔케와 함께 태양신에 가까이 다가갔을 것이다.
쿠바나 푸에로토리코에서 사탕수수로 럼을 만들기 시작할 무렵 멕시코에서는 팔케를
증류하여 테킬라를 만들었다. 테킬라는 숙성하지 않은 화이트 테킬라와 통에서 숙성한
골드 테킬라로 구분된다. 노르스름한 것은 2개월 이상, 갈색의 것은 1년 이상 숙성한
것으로 보면 된다. 화이트 테킬라는 팔케에서 나는 향이 그대로 옮겨와 향미가 대단히
거칠다.
손등에 레몬즙을 바르고 거기에 소금을 뿌린 다음 테킬라를 한 모금 마시고 안주 대
신 소금을 핥아먹는 기이한 멕시코식 음주 습관은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싶다.
이보다 더욱 희한한 관습이 테킬라에 누에 비슷하게 생긴 벌레 한 마리를 넣어서 마시
는 것이다. 대개 그 벌레는 병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다가 마지막 잔을 따를 때 따라 나
오는데 그 벌레를 먹으면 행운이 있다는 얘기가 있고 보니 누구든 마셨다 하면 반드시
술병의 바닥을 보기 마련이다.
세계적인 양대 테킬라 상표로 손꼽히는 것이 멕시코의 쿠에르보(Cuervo)와 사우자
(Sauza)이다.
쿠에르보사는 1795년에 창업되었고, 미국에 대한 수출에 힘을 쏟아서 미국에서의 매
출액이 제1을 기록하고 있다. 숙성을 하지 않은 쿠에르보 화이트, 통에서 2년 이상 숙
성시킨 쿠에르보 골드, 그리고 골드의 최고급품인 쿠에르보 센테나리오가 있다.
이에 비해 1875년에 창업된 사우자사는 테킬라 메이커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있
는 회사로 멕시코 국내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사우자 실버는 멕시코 내 주류의 베스트
셀러라고 할 수 있으며, 알맞게 숙성시킨 사우자 엑스트라, 그리고 1975년에 동사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발매한 이래로 대통령 선거가 있는 매 6년마다 발매하는 사우자
콘메모라티브가 있다.
테킬라 역시 칵테일의 베이스로 많이 애용되고 있는데, 테킬라로 만드는 칵테일 가운
데 이름난 것은 마가리타이다. 마가리타를 마시는 잔에는 미리 소금 처리를 하는 관습
이 있다. 잔의 테두리 부분에 물을 묻힌 다음 거꾸로 들고 소금 그릇에 담그면 하얗게
소금 띠가 생긴다. 여기다가 칵테일을 부어서 마시면 별도로 손등을 핥을 필요가 없다.
테킬라는 1960년대의 유명한 재즈 그룹인 '테카라'가 신나는 '테킬라' 노래를 히트시
키면서 세계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멕시코 올림픽을 계기로 하여 테킬라
는 전 세계로 알려지게 되었고 세계적인 증류주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액체의 보석 리큐르(Liqueur)
서양 사람들은 단 음식을 좋아한다. 후식으로 초콜릿, 푸딩, 아이스 크림, 파이 등 단
음식이 빠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아마도 이러한 취향 때문인지 꿀을 넣은 술을 만들어
서 식후에 마시는 관습이 있다. 이것이 바로 리큐르이다.
리큐르는 중세의 연금술사들이 증류주를 만드는 기법을 터득하는 과정에서 그 변종
의 하나로 탄생되었다고 한다. 즉 증류주를 증류하는 과정에서 각종 약초나 향초를 넣
어서 그 향이 우러난 특수한 증류주를 만들었는데, 그들은 약초나 향초의 성분이 녹아
있는 이 술을 '생명의 물'을 능가하는 영약으로 생각했다. 그들은 이 술을 리케파세르
(Liquefacere: '녹아 있다'는 뜻)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리큐르의 어원이다.
일반적으로 리큐르는 알코올 농도가 15도 이상으로서 당분이 10% 이상 함유된 술로
정의된다. 우리나라의 주세법에서는 내용물에 함유된 증발 잔류물이 2% 이상인 술이라
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세계적인 분류와는 차이가 있다. 어쨌든 리큐르는 다량의 고
형물질이 함유된 술이라고 하겠다.
초기에는 알코올에 약한 여성들을 위하여 위스키나 브랜디에 꿀을 섞어서 만들었으
나 점차 향료도 섞게 되었다. 대체로 식물성 향미 성분을 가미해서 만들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각종 기호품을 넣어 다양한 리큐르를 개발하였다. 즉 리큐르의 원료로는 과일,
꽃, 잎사귀, 뿌리 등에서 더 나아가 동물성인 젖, 알 등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은 무엇이
나 사용하는 추세이다.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미를 추구하는 여성들의 취향에 맞추어 제품화하는 과정
에서도 여러 가지 착색료나 감미성분을 가하여 색과 맛이 환상처럼 리큐르를 개발하기
도 했다. 이것이 리큐르를 '액체의 보석'이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리큐르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제조되고 있으나 세계적으로 유명한 몇몇 브랜드는 원
료 배합 비율이나 제조 방법이 비밀로 되어 있다.
리큐르는 그 원료면에서 크게 약초류를 이용한 것, 과일류를 이용한 것, 종자류 이용
한 것, 그밖에 크림 리큐르나 에그 브랜디 등 특수한 리큐르가 있는데 그 가운데 우리
나라에도 잘 알려진 대중적인 리큐르를 몇 가지 소개한다.
#원샷과 완샷
영어의 원 tit(one shot)에서 유래한 듯 싶다. 고참은 자기가 원하는 만큼 마시고 신
참은 완전히 건배(술잔 바닥이 비도록 해야 된다는 뜻이다. 거역할 수 없는 술자리의
압력에 곤드레 만드레가 되어야 하는 고달픈 풍속이다.
*약초 리큐르
약초를 이용한 리큐르에는 박하, 오랑캐꽃 향이 첨가된 크렘 드 바이올릿, 크렘 드
이베트, 박하를 직접 증류하여 만든 페퍼민트, 캐러웨이와 오렌지 과피로 만든 캄파리
등이 대표적이다.
베네딕틴(Benedictine)은 16세기 초 프랑스 북부 베네딕트 사원에서 약용으로 제조된
리큐르이다. 베네딕틴의 제조 공식은 비밀이나 주니퍼 베리, 박하, 계피 등 27종의 약초
와 향초가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도원의 수사들은 이 비방을 대대로 전수해
오다가 재정적 부담으로 인해 1863년에 베네딕틴의 비법과 브랜드를 개인에게 팔았다.
그리하여 이 오랜 전통의 술은 현재는 개인 기업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우리가 중국 음식을 먹을 때 자주 접하게 되는 죽엽청주도 약초류의 리큐르이다.
*과일 리큐르
대표적인 과일 리큐르로는 오렌지의 과피를 사용하여 큐라소라는 명칭을 붙인 것으
로 네덜란드 산의 화이트 큐라소, 프랑스산인 코앵트루 등이 유명하다. 감귤(만다린)계
의 리큐르에는 대체로 만다린이라는 상표가 붙어 있다.
오렌지 리큐르 못지 않게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체리 리큐르로는 체리 색깔을 그
대로 간직한 체리 브랜디와 무색이 마라스키노(혹은 마라스캉)가 있다. 한편 베리를 이
용한 리큐르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카시스(블랙 커런트)로 만든 크렘 드 카사스가 있
다.
*종자 리큐르
식후에 단맛과 구수한 향기를 입 속에 퍼지게 한다는 이유로 종자 리큐르가 애용되
고 있다. 카카오나 커피 등 식물의 씨앗에 함유된 향기 성분과 독특한 맛을 이용하여
식후에 마시는 차를 대신 하고, 당분(꿀이나 설탕)으로 후식(Dessert)을 겸하는, 일거양
득의 장점을 지닌 리큐르가 바로 종자 리큐르이다.
상품명에 크렘 드 카카오(Cream De Cacao)라고 표기한 리큐르는 마치 술에 초콜릿
을 탄 것 같은 맛을 지니고 있다. 약간 탄내가 나는 구수하면서도 부드러운 카카오는
종자 리큐르의 대표격인 술이다.
카카오 리큐르를 만들기 위해서는 카카오 콩을 볶은 다음 주정에 침출시킨 후 증류
하여 향기 높은 원액을 만든다. 여기에 바닐라 엑기스를 가미한 후 시럽이나 꿀을 넣으
면 화이트 카카오가 된다. 때에 따라서는 캐러멜 색소를 첨가하여 브라운 카카오를 만
들기도 한다.
유명한 제품으로는 아그벨 카카오와 파리조 카카오, 데카이퍼 카카오 등이 있다.
이탈리아 사람들이 자랑하는 특산품 가운데 아마레토 리큐르가 있다. 사람들은 아마
레토가 아몬드 너트로 만든 것이라고 잘못 알고 있으나 사실은 살구씨를 주원료로 한
리큐르이다. 살구 씨를 물에 불려 증류한 액에 향미 식물의 엑기스를 가미한 후 주정과
섞고 여기에 당분을 첨가하여 만든 술이 아마레토이다.
한방에서 살구씨는 변비 치료제나 진해 거담제로 쓰여진다. 이태리 사람들이 아마레
토를 좋아하는 것을 보면 만성적인 변비나 기침병 환자들이 많은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알바사르노사의 아마레토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리큐르이며 이를 본뜬 시칠리섬의
플로리오 아마레토도 꽤 알려진 제품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커피를 이용한 리큐르가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커피 리큐르의 제법
은 볶은 커피 원두를 침출한 주정에 사탕 시럽을 첨가하는 것이다. 유명한 커피 리큐르
에는 멕시코 고원에서 생산한 커피에 바닐라 향을 가미한 칼루아(Kahlua) 커피 리큐르
가 있다.
유럽에서는 크렘 드 카페, 리큐르 드 카페 등으로 불리는 제품들이 있다. 커피 리큐
르 가운데 아이리시 벨벳(Irish Velvet)은 찻잔에 부운 다음 더운물을 넣고 크림을 가
하면 멋진 아이리시 커피 맛을 내준다.
그 밖에 크림 리큐르는 크림에 초콜릿, 커피, 오렌지 향을 가미한 것으로 현대적 감
각을 살린 리큐르이다.
리큐르는 당분과 고형분, 그리고 여러 가지 향미 성분이 들어 있어서 많이 마시기에
는 부적합하며, 식후 또는 잠자리에 들기 직전 한 잔하는데 가장 어울리는 술이다. 아
직 우리나라에서는 리큐르의 음용량이 극소량인데 비해, 이웃 일본의 경우는 전체 양조
류 시장의 1/3을 리큐르가 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여성 애주가들이 점차 늘어가는 추세여서 앞으로 리큐르의 소비자가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칵테일 이야기
칵테일(Cocktail)이란 어떤 술을 기본으로 하고 거기에 다른 종류의 술이나 과즙 혹
은 탄산음료들을 혼합하여 새로운 맛과 향을 지닌 술을 만들어 낸 것을 말한다. 사람들
이 언제부터 이와 같은 혼합 음료(Mixed Drink)를 만들어 즐기게 되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사람들은 누구나 단조로운 것을 싫어하고 생활 속에서 뭔가 변화를 추구해 보려고
하는 본능을 지니고 있다. 음식도 재료의 종류나 혼합 비율, 혹은 조리 방법을 달리 하
면 전혀 다른 맛을 지닌 음식을 만들 수 있다. 맛이나 영양가 등 그 음식이 가진 기본
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향과 미관을 여러 가지로 변형시켜서 즐긴다. 심지어 음식을 먹
으며 소리까지 즐기는 이른바 오감 식사를 추구하는 것이 바로 인간이다.
술은 다른 음식과 달리 영양을 위해서 먹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분위기를 즐기기 위
한 기호 식품이므로 더욱더 색다른 것을 추구하기 마련이다. 진과 리큐르 제조 과정에
서 여러 가지 향료 식물을 쓰는 것이나 위스키와 브랜디를 숙성하는 것이 그 예이다.
칵테일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그 가운데 국제 바텐
더 협회(IBA)에서 만든 텍스트에 소개된 유래는 다음과 같다.
먼 옛날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에 있는 칸베체라는 도시에 영국 선원들이 탄 배가 입
항하여 배에서 내린 선원들이 항구의 어느 술집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때 카운터에 있
던 한 소년이 닭꼬리 모양으로 생긴 나무 막대기로 원주민들이 즐기는 혼합 음료를 젓
고 있었다. 한 영국인 선원이 그 음료의 이름을 물었는데 소년은 나무 막대기를 가리키
는 줄 알고 "콜라 데 가죠."라고 대답하였다. 콜라 데 가죠란 스페인어로 수탉의 꼬리
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때부터 술과 혼합된 음료를 칵테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칵테일의 역사는 대략 17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다양한 술의 제조와 밀접
하게 관련되어 있다. 즉 와인가 맥주만을 마시던 시기에는 칵테일이 낭로 수가 없었으
며, 브랜디와 위스키, 진, 럼 등이 출현하면서 칵테일도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을 것이
다.
칵테일의 고전으로 알려진 포트를 베이스로 한 '니거스'는 1720년경 영국의 프란시스
니거스(Francis Negus) 대령이 고안한 것으로 현재까지 만드는 법이 전해지고 있다.
또 1750년 무렵에는 서인도제도에서 '럼 펀치'를 마시기 시작했다는 기록도 있다.
현재 우리가 즐기는 칵테일은 거의 대부분 제조 과정에서 얼음이 사용되는 찬 칵테
일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칵테일은 1870년대에 인조 제빙기가 발명된 이후의 산물이라
고 보아야 할 것이다.
칵테일은 어떤 술로도 만들 수 있어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다양한 과일즙으로 여러
가지 색깔과 향을 낼 수 있으며 마음대로 알코올 도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대개 40도
정도되는 증류주에 음료나 과일을 섞어 알코올 도수가 10~20도 되는 칵테일이 많다. 또
잔의 모양을 바꿔 아름다움을 한결 돋보이게 하기도 한다.
위스키 베이스의 칵테일 중 맨해튼은 잘 익은 체리를 넣어 짙은 분홍빛을 띠고 있다.
파라다이스는 드라이 진과 아프리코트 브랜디와 오렌지 주스를 섞어 만드는데 노란색
을 띤다. 선라이즈나 푸즈 카페는 무지개처럼 색깔이 층을 이루고 있다.
보드카와 과즙을 이용한 칵테일은 짙은 과일 주스의 맛만 나므로 단순 음료로 오인
하여 과음하는 경우도 있다. 보드카와 오렌지 주스로 만든 스크루 드라이버는 한때 여
성들을 취하에 만드는 칵테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빛깔과 모양뿐만 아니라 칵테일에는 기상 천외한 이름을 붙이고 있다. 버진 메리나
알렉산더 등의 인명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더러는 섹스 온더 비치, 오르가슴 등과 같이
낯뜨겁게 하는 이름도 있다.
문득 한 잔 생각이 간절한 밤, 혹은 좋은 사람 옆에서 낭만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싶은 시간에 멋진 빛깔과 향을 지닌 자기만의 칵테일을 한 잔 만드는 것이야 말로 애
주가만의 낙이자 특권이 아닐까.
제조법에 따른 칵테일 분류
-사워(Sour): 증류주를 베이스로 감귤류의 과즙과 감미를 더해 쉐이크한 것. 피즈보
다는 덜 달게 해서 마무리 한다.
-피즈(Fizz): 증류주나 합성주를 베이스로 하고, 감귤류나 과즙과 감미를 더하여 쉐이
크한 뒤 탄산에 탄 것.
-콜린스(Collins): 증류주를 베이스로 감귤류의 과즙과 감미를 더해 탄산에 탄 것. 피
즈와 다른 점은 빌드로 만드는 것과, 주로 콜린스 글래스를 사용한다는 데에 있다.
-리키(Ricky): 증류주를 베이스로 하고, 라인 또는 레몬의 과즙을 더하고 탄산에 탄
것. 감미를 더하지 않은 점이 사워와 다른다.
-슬링(Sling): 증류주를 베이스로 하고 감귤류와 과즙과 감미를 더하여 쉐이크한 뒤
물이나 탄산에 탄 것, 콜드와 핫의 2가지 타입이 있다.
-쥴(Julep): 베이스의 술에 민트의 잎과 감미를 더하여 순하게 만든 뒤, 민트잎을 제
거하고 크래시드 아이스를 넣은 잔에 따른 것.
-터디(Toddy): 증류주를 뜨거운 물 또는 냉수에 탄 것. 콜드와 핫의 2가지 타입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미를 더하고 레몬, 글로브 등을 곁들인다.
-펀치(Punch): 양조주 또는 증류주를 베이스로 하고, 과즙이나 과일을 넣는 것. 대형
펀치 볼도 만들어지며, 파티에 많이 사용된다.
#당신도 알코올 중독자인가?
다음은 알코올 환자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준표이다.
1. 근무시간에 술을 마신 경험이 있는가
2. 술로 인해 가정 생활이 불행해졌는가
3. 대인 관계에 있어서 부끄러움을 없애기 위해 술을 마시는가
4. 술로 인해 명예에 손상을 입었나
5. 음주 후 후회한 적이 있나
6. 음주 결과로 경제적 곤란을 받았나
7. 자기보다 못한 사람과 같이 술을 마시면 우월감을 느끼는가
8. 가정생활을 술 때문에 소홀하는가
9. 술을 시작한 후 의욕이 줄어들었는가
10. 매일 어느 특정한 시간에 한잔 생각이 간절한가
11. 해장술을 꼭 해야 하는가
12. 술 때문에 잠을 잘 못 자는가
13. 술 때문에 능률이 떨어졌는가
14. 술 때문에 직장이나 사업에 지장이 있는가
15. 걱정거리나 문제를 잊기 위해 술을 먹는가
16. 혼자서도 술을 먹는가
17. 음주 결과로 기억을 상실한 적이 있는가
18. 술 때문에 병원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가
19. 자신감을 갖기 위해 한잔 하는가
20. 술 때문에 병원, 요양원에 입원한 적이 있는가
이 중 어느 한 문제에 대해서라도 '그렇다'고 대답했다면 당신이 알코올 환자일지도
모르고, 두 가지이면 알코올 환자, 세 가지 이상이면 틀림없이 알코올 중독자라고 한다.
양주잔의 종류
한국의 술
우리나라 술의 역사
우리의 선조들이 음주와 가무를 즐긴 민족이라는 사실은 여러 고문헌들에 잘 나타나
있다. 고구려 건국설화에서 천제의 아들 해모수와 하백의 딸 유화가 합환주를 들고서
동명성왕을 낳았다는 사실(제왕운기)을 통해 예로부터 혼인할 때는 술을 빚어서 부부
가 함께 마셨을 것이라는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사기 고구려 대무신왕 편에는 지주를 빚어서 그 효력으로 한의 요동 태수
를 물리쳤다는 이야기가 있다. 전투를 하기 전에 병사들에게 술을 하사하여 사기를 높
이고, 나라의 큰 행사 때도 술을 나누어 마셨다는 뜻일 것이다.
일찍이 '동쪽의 활 잘 쏘는 민족'들은 추수 때 천신에게 제사 지내며, 음주와 가무를
즐겼다(위지 동이전)는 기록이 남아 있지만, 지금도 중국의 길림성에 살고 있는 조선족
들은 야유회를 가면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춘다는 점에서 한족들과 금방 구
별이 된다고 하니 수처년 동안 내려 온 풍습이 유전적으로 굳어져 버린 것이 아닌가
싶다.
삼국시대에는 술 문화가 대단히 발달했던 것 같다. 이 시대에는 이미 술이 상업적으
로 판매되기도 했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술이 특수 계층이 아닌 일반 백성들에 의해
양조되었다. ('한국의 음주 문화 변천사' 참고)
일본 최초의 역사책인 고서기에는 백제의 장인이었던 수수거리가 응신 천왕에게 술
을 빚어서 대접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는 이 일로 하여 일본의 주신으로 대우를 받게
되었다. 삼국 시대의 각국에서 술문화가 고도로 발달했음을 알게 해주는 대목이다.
삼국이 통일되는 과정에서 중국과 여러 차례 전쟁을 치렀는데, 이 시기에 엄청난 문
명의 교류가 일어났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고려 시대에는 체계적인 양조술이 정착된
것 같다. 이에 따라 누룩 제조법과 각종 약주의 제조법도 크게 발달하였다. 고려의 유
명한 문인 이규보는 '국선생전'을 저술하여 누룩(술)의 덕을 칭송하면서 그 남용으로 인
한 폐해를 경계하였다. 한편 원 나라의 침공 이후로는 소주 제조법이 전래되어 양조 기
술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조선 시대에는 각 지방마다 유명한 토속주가 뿌리를 내렸다. 이에 따라 선비들의 풍
류도와 함께 주막을 중심으로 한 서민들의 술문화도 크게 발달하였다. 양조 방법으로는
누룩으로 밑술을 먼저 앉힌 다음 덧술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이런 식으로
양조된 팔도의 명주로는 경기의 삼해주, 양산춘, 충정의 소곡주, 노산춘, 평안도의 벽향
주, 감홍로, 영남의 과하주, 송엽주, 호남의 호산춘, 두견주 등이 있다.
구한말에 주세 제도가 생기면서 각 가정에서 술 만드는 것을 금지하는 바람에 이러
한 토속주들이 자취를 감추게 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해방이 된 이후로 민간
의 일부에서 제사, 혼사, 회갑연 등에 사용하는 술을 밀조해 왔고 이것이 토속주의 명
맥이나마 잇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대중적으로 빚어 왔던 토속주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자.
우리나라의 대중 토속주는 청주와 막걸리인데 이것은 모두 누룩을 이용하여 만든 술
이다. 누룩은 일종의 미생물 덩어리이다. 누룩의 제조법은 지극히 간단하다. 한 여름 삼
복 더위에 밀을 거칠게 빻아서 솥에 찐 다음 자연 상태로 놓아두면 며칠 후 표면에 곰
팡이와 효모가 뒤엉켜 누렇게 뜨게 된다. 술을 빚기 위해서는 우선 곡물에 함유된 전분
을 당으로 분해해야 하는데, 누룩에는 당화 효소가 듬뿍 들어 있어서 술밥을 당화시키
게 되는 것이다. 누룩의 작용은 우선 꼬들꼬들한 밥을 흐물흐물하게 죽처럼 만들고 마
침내는 액체 상태로까지 변화시키는 것이다.
요즘이야 당 분해 효소가 많이 개발되었고, 기술도 발전하여 곡물을 당화시키기가 쉽
지만, 예전에는 어떻게 하여 누룩을 만들어 내게 되었는지 감탄스럽기만 하다. 누룩 속
에 들어 있는 효모는 당을 분해시켜 알코올 발효를 일으킨다. 누룩은 당화와 발효를 동
시에 일으킬 수 있는 일종의 미생물 군집체였기에 예로부터 주모나 술꾼들이 애지중지
해 온 신비의 물건이었다.
술이 다 익으면 액체(술)와 고체(술지게미)로 나뉘어 지는데 액체를 분리해 내기 위
해 일종의 체에 해당하는 용수를 박는다. 이 용수에는 맑은 술이 고이게 되는데 이것이
청주다. 서민층은 양이 적은 청주보다는 술지게미가 섞이기는 했지만 양이 많은 막걸리
를 선호했다.
우리나라의 술이라고 하면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아니면 최소
한 우리나라에서 수확한 원료를 사용하여 빚은 술이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
의 대중주인 소주나 막걸리는 원료를 거의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제조 과정에
서 누룩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비하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쌀을 누룩으로 양
조하여 빚는 청주야말로 우리 전통 술의 맥을 이어주는 대중주라 할 수 있다. 명절 때
나마 우리의 전통주가 애용되고 있는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 하겠다.
#밑술: 누룩에 있는 효모를 배양하여 활성화시키는 과정
(소량의 곡물 사용)
#덧술: 배양된 효모를 사용하여 본격적인 술을 만드는 과정
약주 이야기
민속 전래의 명절인 설날이나 추석을 전후하여 약주를 마시는 기회가 많을 것이다.
흔히 약주라 하면 약으로 쓰이는 술인 것처럼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약주는 약으로
쓰이는 술이란 뜻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유래를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흉작이 들거나, 가뭄이 심한 경우 금주령을 내린 일이 여러 번 있었다.
그런데 한 세도가가 금주령이 내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술의 감미로움을 잊지 못해 몰
래 밀주를 담가 놓고 마셨다. 그러다가 누구에게 들키게 되면 "이건 술이 아니라 약일
세."하고 변명을 했다는 것이다. 그는 술을 마시는 게 아니라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행
세했던 것이다. 이때부터 약주라는 말이 생겨났고 이 말이 민간에 널리 퍼지면서 윗사
람 앞에서 술 얘기를 할 때는 약주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다는 것이다. 술에 취한 사람
을 보고 "술 취하셨군요."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약주가 좀 과하셨군요."라고 점잖게 말
하는 것이 한결 여유가 있어 보이지 않는가.
물론 술이 약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지금은 대수로운 병이 아니지만 옛날에는 치
명적일 수밖에 없었던 병이 있다. 칼슘 등의 고형 성분이 콩팥에서 미처 배출되지 못하
고 뭉쳐서 돌이 되는 신장 결석 현상이다.
이 돌이 콩팥의 어느 부위에 들어 있다가 요관으로 이동하게 되면 마치 몸이 오그라
드는 것 같은 격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 경우 돌의 크기가 너무 커서 자연적으로
는 도저히 배출되기가 어려울 정도라면 부득이 수술을 하거나 약물로 녹여서 내려야
한다.
그러나 돌의 크기가 요관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특효약이 있으니 그게
바로 막걸리이다. 술을 마시면 대부분 위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주로 대장에서 흡수되는
물을 마실 때보다도 배뇨에 걸리는 시간이 훨씬 짧아진다.
따라서 막걸리를 한꺼번에 많이 마시면 다량의 소변을 보게 되는데 이때 신장에 끼
어 있던 결석을 술로 씻어 내릴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막걸리는 술이 아니라 약인
것이다. 필자는 두 번이나 술로 신장 결석을 치료한 경험이 있다.
동의보감의 한방 미주 편에는 약술의 제조 방법과 효능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그 대부분이 과일이나 꽃을 소주에 침술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
다.
오가피주는 이른 봄 오가피나무가 발아하기 전에 뿌리를 채취하여 껍질만 벗겨서 담
근다. 낭습을 치료하며 정력을 돋우는 데 특별한 효능이 있다.
죽순주는 어리고 연한 죽순을 채취하여 담그며, 장복하면 신경통이나 중풍 예방에 효
과가 있다. 취미 삼아 약재를 이용한 좋은 약술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주세법상 주류로 분류되어 있는 약주는 청주와 유사하지만, 감미료나 약
재를 첨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토속주는 일제 시대의 가혹한 조세
정책으로 말미암아 대부분 자취를 감추었다. 민가에서 담그는 가용주는 주세를 징수하
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제조를 금했기 때문이다.
다행히 88서울올림픽과 함께 민속주 개발에 관한 법령이 개정되면서 요즘은 전국 각
지에서 민속주 개발붐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그 중 몇 가지를 제외하면 제조량이나
품질 및 영업 활동 면에서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하루속히 경쟁력을 갖춘 민속
약주가 개발되어 기존의 제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한국의 절기주
백년도 안 되는 짧은 인생, 그 가운데 얼마만큼의 즐거움이 있으랴!
그러나 굳이 시인의 통찰력을 빌리지 않더라도 우리 선조 들은 가난한 생활 속에서
도 때를 가릴 줄 알았고, 고달픈 가운데서도 스스로 즐길 줄 알았다. 정초에 한해의 각
오를 다짐하는 자리에서부터, 모내기를 마친 후 일터에서, 그리고 추수 이후의 한가위
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절기마다 그때에 어울리는 술을 빚고 인생의 즐거움을 찾을 줄
알았던 현명하고 여유를 아는 백성이었던 것이다.
*정월 액막이 술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새해가 시작되는 첫날을 휴일로 삼고 있다. 물론 새해를 어떻
게 살아갈까를 차분하게 구상하라는 뜻이 담겨 있는 것이겠지만, 아마도 그 해의 안녕
과 풍요를 기원하는 데서 비롯된 풍습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세시 풍속은 새해 아침에 조상들에게 지낸 다음 가족들이 한자
리에 둘러앉아 세찬(정초에 대접하는 음식)을 먹는 것이다. 음식을 먹기 전에 제상에
올렸던 술이나 물을 마시는데 이것을 음복이라 한다. 음복의 풍습은 조상들이 드신 음
료를 마시면 귀신을 쫓을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각종 질병에 사악한 귀신
의 조화 때문에 비롯된다고 믿었던 시절의 풍습이다.
이처럼 액운을 막기 위하여 마시는 술을 액막이 술이라 한다. 정초의 액막이 술로는
후추와 측백나무 잎사귀를 맑은 술에 넣어 우려낸 초백주가 있다. 또 하나 액막이 술로
널리 알려진 것이 도소주인데 이것은 삼국지에 나오는 명의 화타가 만든 술이라고 알
려져 있다.
이 술은 청주에 귤껍질, 계피, 산초, 도라지 등의 분말을 넣어서 우려 낸 것으로, 정
월 초하루에 이 술을 마시면 일년 동안 삿(잡)된 기운을 없애 준다고 믿었다.
도소주를 마시는 절차에는 특이한 점이 있다. 온 집안 식구가 한자리에 모여 나이 어
린 사람부터 윗사람에게 차례로 절을 한 다음 도소주를 마셔야 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음주 문화를 통하여 어릴 때부터 술 마시는 예법을 자연스럽게 몸에 익힐 수
있었을 것이다. 어른들 앞에서 술을 배우며 경망스럽게 행동하지 않는 예법을 익혔을
것이니, 함부로 술에 취해 주정을 하는 일은 생각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오늘날에야 술이 흘러 넘칠 정도로 흔하지만, 1960년대만 해도 술은 귀한 음료의 하
나였다. 집집마다 정성스레 담근 술을 함께 마시며 가족의 안녕을 기원하고, 자녀들에
게 주도를 가르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생각만 해도 흐뭇한 광경이 아닌가 말이다.
*농주
모내기, 김매기, 보리 베기, 벼 베기, 그리고 타작과 같은 힘든 농사일은 걸쭉한 농주
를 빼고는 생각할 수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일들은 대개 동네 단위의 두레에
서 이웃들이 품앗이로 하기 마련이었다. 힘든 일을 하다가 배가 고파지면 허기도 채울
겸, 이웃 간에 협동심도 다질 겸해서 주인집에서 담근 농주 한두 사발을 들이키곤 했던
것이다.
이때 마시는 술은 물론 막걸리였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농사철을 앞두고는 집집마
다 술을 담그는 것이 농사 준비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일거리였다. 누구나
자기 집일을 할 때는 술을 내야 하기 때문에 농사일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각 가
정의 술 빚는 솜씨를 뽑낼 수 있었다.
*단오절 창포주
음력 3~4월에 시작되는 보릿고개가 막바지에 이를 즈음에 다가오는 단오(음력 5월 5
일)는 또 하나의 전통적인 명절이다. 사람의 양식이야 어떻게 되었든 산야는 녹음으로
생기가 만발할 때이니 어찌 즐기지 않을 수 있으랴. 고려 시대부터 단오가 되면 청년들
은 공차기 등을 하고 아가씨들은 그네를 뛰었다고 한다. 이날 부인네들은 창포 삶은 물
로 머리를 감고 남정네들은 창포술을 마셨다.
이몽룡이 단옷날 남원 광한루에서 그네를 뛰는 춘향의 자태에 혹한 것이 혹시 창포
주의 취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이리 오너라, 같이 놀자." 춘향가의 한 구절이 절로 떠
오른다.
*한가위 동동주
팔월 대보름은 신라시대부터 내려오는 우리 민족의 가장 큰 명절이다. 대다수의 나라
에서 가을철에 추수감사제를 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선조 들도 한가위에는 햇
곡식으로 술과 송편을 빚어 조상과 하늘에 감사의 제를 지냈다. 이때가 연중 가장 음식
이 풍성할 때이므로 가난한 사람이라도 음식과 술을 배불리 먹고 마실 수 있었다. 한가
위에는 주로 찹쌀을 가지고 동동주를 빚었다.
이 밖에도 선비들이나 풍류객들은 봄에는 청명주(음력 3월), 여름에는 유두주(음력 6
월 15일), 가을 중양절(음력 9월 9일)에는 국화주를 즐겼다.
한국의 전통주
*갖가지 꽃술
조선 영조 때의 빙허각 이씨는 그의 명저 '규합총서'에 주부가 알아야 할 살림살이
지식에 관해 썼는데 그 가운데 술 담그는 방법을 제일 앞에 썼을 정도로 술 담그는 일
은 주부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요건 가운데 하나였다.
행사가 있을 때면 다른 음식은 당일 또는 2~3일 전에 준비하면 그만이지만 술은 적
어도 보름 전에 담가야 한다. 더구나 술은 넉넉지 못한 양식을 할애하여 담그는 것이므
로 술 담그는 법을 소중하게 여겼을 것이다.
빙허각은 음주론에서 주도에 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꽃에 취하기는 낮이 마땅하며, 취하여 흥겨우면 곱게 부름이 마땅하다. 취하여 헤어
질 때는 절도가 있어야 한다. 선비가 취함에는 지나친 음악을 삼가고, 정신을 잃지 않
아야 하니 절주는 예요, 깨어 있음은 법이다. 대에 취함에는 여름이 마땅하며 물에 취
함에는 가을이 마땅하다.
빙허각은 술과 자연의 풍류를 하나로 합하여 생각했던 모양인지 유난히 꽃술에 대하
여 관심이 많았다. 술 중에서도 꽃술은 꽃이 필 때를 이용해야 하므로 온갖 정성을 다
기울여야 한다. 규합총서에는 봄에는 도화주와 두견주(진달래 술)를, 가을에는 국화주
담그는 방법을 설명했다.
꽃술을 담그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생화를 술밥과 같이 넣어 꽃이 술에 직접
들어가게 하는 방법과 건조된 꽃잎을 주머니에 넣어 술이 닿지 않도록 술독 내부에 매
달아서 향만 배게 하는 방법이다. 앞의 방법으로 술을 담그면 꽃잎이 분해되어 향과 맛
뿐만 아니라, 꽃잎의 색깔까지 우러나온 그야말로 완벽한 꽃술이 된다. 이처럼 좋은 향
기와 아름다운 색깔을 가진 꽃술은 귀중한 음식 중 하나였다.
꽃술은 꽃이 가진 의미 때문에 더욱더 정취를 돋우었을지도 모른다. 빙허각의 시대에
는 완고한 유교의 격식 때문에 남녀간에 애정을 표현하는 데 제약이 많았다. 심지어는
부부간에서도 남의 눈을 의식하여 담소조차 나누기가 쉽지 않던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
에 꽃술은 남녀간의 정을 돈독하게 해주는 합환주로 은밀하게 애용됐을 법하다.
백화주 담그는 법을 살펴보자. 이른봄부터 매화, 동백꽃, 복사꽃, 연꽃 등 온갖 꽃잎
을 따서 잘 건조시켜 보관한다. 한여름에 밀기울로 누룩을 빚어 잘 보관했다가 가을에
국화가 필 때쯤 밑술을 담근다. 국화 꽃잎이 흐드러지게 피면 국화꽃잎을 하나 하나 정
성스레 뽑아서 소쿠리에 담는다. 서리가 내릴 때쯤 이른봄부터 준비해 온 백화주를 드
디어 빚는 것이다.
우선 술독에 밑술과 술밥, 그리고 마른 꽃잎들과 함께 생 국화 꽃잎을 버무려 넣는
다. 한 이레 후 용수를 박으면 백화향이 듬뿍 밴 술이 말갛게 괸다. 빙허각은 술이 잘
익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밤중에 심지에 불을 붙여서 술독에 넣고 둘러보아서 불이
꺼지면 술이 덜 익었고, 불이 안 꺼지면 술이 잘 익었다고 판단했다. 알코올 발효가 진
행될 때에는 탄산가스가 왕성하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빙허각의 글에서는 우아한 아름다음과 함께 섬세한 관찰력이 흘러나오고 있
다.
교교한 달빛이 창호를 비출 대, 용수에 괸 백화주를 떠 손수 병에 담아 술상을 내오
는 사랑스러운 여인의 정성을 상상해 보라. 그 딱딱하고 엄격하기만 했던 조선 시대의
규방에서도 이처럼 멋진 풍류가 눈에 띄지 않게 면면히 이어져 온 것을...
요즘은 모든 물자가 흔해서 귀한 것을 구하고 아끼는 소박한 재미가 옛날보다 훨씬
덜하다. 음식도 필요할 때 바로 살 수 있으므로 직접 술을 담가 먹는 일은 극히 드물
다.
금년에는 시중에서는 구할 수 없는 꽃술을 담가 보면 어떨까? 가을에 국화 꽃잎이나
늦은 봄에 흐드러지게 피는 아카시아 꽃잎을 한아름 따서 손수 양조하여 좋은 사람과
함께 나누어 마신다면 인생을 사는 또 다른 맛과 멋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소나무 술
온 산에 눈이 덮이고 날씨가 추울 때일수록 소나무의 푸르름이 한결 돋보인다. 소나
무 가운데서도 특히 우리나라의 적송은 그 의젓한 자태로 주변의 풍광까지도 빼어나게
치장해 준다.
소나무는 어느 산에나 다 있어서 우리에게 친근함을 느끼게 해줄 뿐 아니라 예로부
터 우리 민족의 식단을 장식하는 재료의 하나로 역할을 해왔다. 추석 때 솔잎을 따서
시루밑에 깔고 송편을 찌면 솔 향기가 그대로 배어 한층 입맛을 돋운다. 춘궁기를 맞아
먹을 것이 없을 때는 소나무의 속껍질을 벗겨 먹기도 하였다. 거기에 눈썰미 있는 규수
들이 소나무를 술 빚는 데 쓰기도 했으니 나라의 나무를 정한다면 소나무로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 아닐까 싶다.
소나무 술에는 송절주와 송순주가 있다. 송절주는 멥쌀로 빚은 밑술에다 소나무 가지
의 마디마디를 잘라 푹 달여 낸 물로 덧술을 담근다. 덧술을 담글 때는 멥쌀밥을 밑에
놓고 찹쌀밥을 위에 놓는다. 봄에는 진달래꽃을, 가을에는 국화꽃을 위에 얹고 겨울에
는 유자 껍질을 액에 잠기지 않을 정도로 달아매 주면 은은한 솔 향기와 꽃향기가 어
우러져 기이한 맛을 낸다. 송절주는 원기를 보하며, 풍과 담을 치료해 주고 팔다리를
못 쓰던 사람에게도 신기한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순주는 소나무 순을 이용하여 만든 술이다. 봄에 소나무의 새순이 나오면 이것을
잘라서 잘 다듬어 뜨거운 물에 살짝 데쳐 낸 후, 밑술에 버무린 술밥과 한켜씩 번갈아
안친다. 이때 솔순을 지나치게 삶으면 솔 향내가 빠져나가고, 너무 살짝 데치면 쓴맛이
심하게 된다. 한 이레쯤 지난 후 소주를 부어 익힌 후에 용수를 박아 맑은 술을 뜨면
된다. 송순주도 약용으로 쓰이는데 알코올 도수가 높아서 보존성이 특히 좋다.
요즘은 솔눈으로 만든 음료수나 솔잎가루 등 소나무를 이용한 건강 식품이 속속 개
발되고 있지만, 소나무를 많이 심어 산림 훼손이 되지 않게만 한다면 솔술을 한국 고유
의 식품으로 삼아도 안될 리 없다. 서양에 노간주 열매로 만든 진(Gin)이 있듯이 우리
나라에는 일찍부터 솔술이 있었던 것이다.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 전역에 몰아닥친 몹쓸 솔잎혹파리 때문에 토종의 적송들이
사라져 가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소나무와 함께 이를 이용한 민속주도 함께 보존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백세주
춥지도 덥지도 않은 가을의 저녁, 오래 살기를 기원하며 마시고 싶은 술이 있다. 바
로 일백세까지 살게 한다는 백세주이다. 백세주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옛날 한 선비가 길을 가다가 어느 마을 앞을 지나가게 되었다. 마을 정자나무 밑에
한 노인과 한 청년이 있었는데, 청년이 회초리로 수염이 허연 노인의 종아리를 때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선비는 깜짝 놀라 벽력같이 청년을 꾸짖었다. "어찌 젊은것이 노인
을 때리는고. 천벌을 받을 일이로다." 그러자 청년이 대답했다. "이 아이는 내가 여든에
본 자식인데 이 약을 먹지 않아 나보다 먼저 늙었소." 선비는 얼른 말에서 내려 그 청
년에게 절을 하고 약의 내력을 물었다. 청년은 백세주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그 비방을
알려주었다. 그리하여 그 선비는 신비한 백세주를 세상에 전하게 되었다. <지봉유설>
백세주에 들어가는 약제는 거의가 강장 보양제로 알려진 것들이다. 그 약재들 가운데
하수오는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며 혈액 순환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 약재에 얽
힌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당나라 때 한 도인이 있었는데 그는 나이가 60에 가깝도
록 혼자 살았다. 그가 우연한 기회에 어떤 약재를 7일간 복용했는데 그때부터 정기가
동하여 아내를 얻고 자식을 많이 두었다. 그는 그 후로도 약재를 장복했더니 100세가
넘도록 검은머리가 그대로 있었다는 것이다. 그 후 이 약재는 하수오라 불리게 되었다.
그밖에 구기자, 숙지황 등의 보약재를 넣고 술을 익히는데 주원료는 찹쌀이다. 백세
주의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찹쌀을 깨끗이 씻어 물기가 없게 고두밥을 지어 말린다.
완전히 말린 다음 같은 양의 누룩 가루를 섞은 후 약재를 넣는다. 이때 복령, 음양곽
등의 약재를 넣어 강장의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여기에 물을 적당히 부은 다음 독을
밀봉하여 땅속에 묻는다. 그 상태로 약 30~100일간 발효시키면 맑은 약주가 된다. 이것
이 바로 백세주이다.
백세주가 얼마나 큰 약효를 지니고 있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장수하고 싶
은 사람들의 소망을 달래 주는 술이라니 나름대로 애교가 있지 아니한가. 추석에 고향
에 들러 노부모 님의 얼굴에 패인 주름살을 보면 한 세대 후의 자신의 앞날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백세주를 불로장생의 약으로 여기기보다는 그저 짧은 인생의 덧없음을 깨
닫게 하는 술이라 생각하며 그 맛을 음미한다면 이 술에 얽힌 전설은 새롭게 우리 곁
에 다가오지 않겠는가.
*청주
한국의 청주는 중국의 황주와 함께 곡자(누룩, 곰팡이 덩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서
깊은 술이다. 백제인 '인번'은 일본의 나라 시대에 술(청주) 제조법을 전수하였다. 옛 시
에 "청탁을 불문하고 즐겨 마신다."는 구절이 있는데, 바로 청주와 탁주를 일컫는 말이
다. 그런데 여기서 청주와 탁주는 그 뿌리가 같은 것이다. 술독에 용수를 박아 놓으면
맑은 술이 괴는데 그것을 청주라 하고 나머지 중 찌꺼기를 대강 체로 쳐서 받아낸 술
을 막걸리라 한다.
제사나 어른의 생신 등이 다가오면 쌀로 고두밥을 짓고 누룩과 버무려 항아리에 넣
고 밀봉한 후 아랫목에 놓고 이불을 덮어 5~6일 두는 것이 전통적인 청주 제조법이다.
청주는 쌀로 만들기 때문에 쌀눈에 있는 성분의 영향으로 숙취를 많이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전통 청주는 따뜻하게 데워서 마셨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도정 기술이 발달하여
쌀눈을 완전히 제거하고 곡자와 효모를 적절히 조화시켜 발효하여 굳이 데워서 마시지
않아도 되는 이른바 냉청주를 개발하였다.
일본에는 약 2,000여 개의 청주 공장이 있다. 그 중 일제 시대에 우리나라에 많이 소
비되었던 정종이 아예 청주 이름처럼 된 적도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에는 두 개의 청주
제조회사가 있으며, 유명 제품으로는 백화 수복, 청하, 국향이 있다.
그 제품들의 특색을 보면, 명절 때나 제사 때는 의례히 찾는 백화 수복은 가장 전통
주에 가까운 누룩 내가 은은하다. 데워 마시는 전통을 깬 냉청주 청하는 한식과 일식
음식에 잘 어울려 시원하고 깔끔하여 목에 넘길 대의 감촉은 비단처럼 부드럽다. 국향
은 장기간의 저온 발효로 양조하여 다양한 향이 풍부한 고급 청주이다.
*한국의 서민의 친구, 소주
우리나라와 일본의 소주는 세계적인 정통 증류주의 분류에는 속하지 않는 지역적 증
류주의 일종이다. 세계적인 정통 증류주들은 천연 원료 이외의 성분을 첨가하지 못하도
록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소주에는 상당량의 인공 조미료가 들어간다는 점에서 차이
가 난다.
우리나라의 소주는 일본의 희석식 소주를 본 딴 것이다. 1965년 정부가 식량 확보 차
원에서 곡류로 소주를 제조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이후 고구마, 타피오카(열대에서 나는
값싼 전분) 등을 발효시켜서 주정을 만들고 이것을 희석하여 소주를 제조하였다.
60년대에는 소규모 소주 업체가 전국에 산재해 있었는데 점차 정리되어 80년대에는
각 도에 하나씩 남게 되었다. 그들은 시장 점유율을 적당한 수준에서 나누어 갖고 경쟁
을 자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도는 보해의 무사카린 소주를 시발로 깨지기 시작하였다.
희석식 소주에는 감미료 등 수십 가지의 조미료(술의 2% 이내)가 들어간다. 이들 조
미료의 종류는 주세법에 예시되어 있는데, 1988년 주세법의 개정으로 소주의 첨가물료
의 범위가 넓어졌다. 이때를 기하여 보해에서는 무사카린 소주를 내어 기존의 사카린
소주와 차별화 하였다. 당시 사카린이 발암 물질이라는 논란이 일고 있어서 차별화 전
략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에 맞서 금복주에서 무사카린 알칼리 소주를 개발하였다. 이후 모든 소주 업체는
신제품을 개발하였는데 사카린 대신 아스팜탐, 스테비오 사이드, 설탕, 꿀 등으로 대체
하면서 제품의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소주 업계의 신제품 전쟁은 경월의 '그린' 소주가 대히트를 치면서 본격화되었다.
1965년 희석식 소주가 나온 이래 30년 간 소주는 톡 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린은
이런 개념을 뒤엎는 부드러운 소주였다.
그린 소주는 주정을 활성탄으로 처리하여 맛을 순화시킨 것이다. 여기에 가세하여 굴
이 첨가된 고급 소주 김삿갓과 곰바우가 새로운 부류를 형성하게 되었고, 진로에서는
오크통에 담아 몇 개월 저장한 증류식 소주를 1~2% 섞은 참나무통 맑은 소주를 개발
하였다. 이렇듯 끊임없는 제품의 개발로 신제품 전쟁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우리나라 희석식 소주는 향과 맛이 담백하여 고기류나 찌개류의 안주에 잘 어울린다.
또한 주세가 매우 저렴하여 세계에서 가장 싼 증류주이다.
1996년의 우리나라의 소주 판매량은 약 8천 8백만 상자(상자 당 9리터)로써 이를 순
알코올로 환산했을 경우 국민 1인당 4.6리터(2홉들이로 54병)의 알코올을 섭취한 셈이
된다. 이것은 우리 국민의 전체 알코올 섭취량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양이다. 따라서
소주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된 알코올 섭취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희석식 소주와 달리 우리나라의 전통 소주는 쌀, 보리들의 곡류를 원료로 하며 누룩
을 사용하여 당화 발효시킨 막걸리를 소줏고리(재래식 증류기)로 증류한 술이다. 이 술
은 향이 강렬하고 톡 쏘는 맛을 갖추고 있어서 숙성시키기 이전의 위스키와 유사하다.
유명한 전통 소주로는 안동 소주가 있다.
1991년 주류의 제조에 관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증류식 소주가 다시 생산되기 시작했
다. 그러나 이 소주는 개량식 감압 증류기를 주로 사용하며, 전통식 소주와 희석식 소
주의 중간 정도의 향미를 지니고 있다. 몇몇 나라에도 이와 비슷한 증류주가 있지만 비
교적 값이 싸다. 소련의 보드카는 세계적인 기준의 품질을 확보하고 있는 반면, 이름은
보드카이지만 값싸고 저급인 술이 있다. 브라질에는 아구아덴트(Agurdente)라는 값싼
증류주가 있다. 터키에는 라키(Raki)라는 이름의 증류주가 있는데 이것은 미나리과의
애니스(Anis)열매를 주원료로 한 것이다.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술, 다양한 침출주
서양에 칵테일이 있다면 동양에는 침출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원나라 때 중동지역
으로부터 소주 내리는 법이 전파된 이후 동양 각지에는 각종 약재를 알코올에 담가 약
주를 만들거나 또는 향미 식물을 이용하여 술맛을 낸 미주를 빚었다.
일반적으로 알코올 농도가 20%를 넘는 술은 강력한 방부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증류주에 원하는 재료를 넣어서 재어 두면 여러 가지 성분이 우러나 다양한 술맛을 낼
수 있다. 특정한 약효를 지니고 있는 것이거나, 혹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향이나 맛을
내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침출주의 재료가 될 수 있다.
담그는 방법도 아주 수월하다. 재료를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말린 다음 소주나 보드
카 등의 증류주에 넣어 3개월 이상 저장하면 된다. 각 가정의 진열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삼주는 대표적인 침출주이다. 인삼주와 같이 식물의 뿌리를 원료로 하는 침줄주
로는 더덕술, 칡술, 생지황술, 당귀술, 우슬술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칡술은 위장에 좋고 우슬술은 신경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다른 침출주
들도 약효와 맛을 겸비하고 있어서 많이 음용된다. 뿌리로 만든 침출주는 곰팡이 냄새
(musty flavor)가 나기 때문에 향과 맛이 텁텁한 게 흠이다. 뿌리로 침출주를 담그는
경우에는 향료 식물을 약간 가미하는 것이 향과 맛을 내는데 도움이 된다.
열매나 잎 등으로 담근 술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매실주, 머루주, 다래주, 대추주,
민들레주, 국화주, 창포주, 계피주, 배술, 앵두술, 살구술, 찔레술 등 이루 헤아리기 어려
울 정도이다. 이들 재료들은 대부분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침출 이후의 알코올
농도가 20%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양을 적절히 조절해야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침출주의 원료로는 동물성도 많이 쓰인다. 징그러운 뱀술이나 지네술을 비롯하여 호
골주, 녹용주 등이 유명하다. 이중 지네술은 허리병에, 녹용주는 허약체질에 효험이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산 호골주는 뱀술과 함께 강장제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는 확인되어 있지 않다. 동물성 침출주는 특유의 비린내가 나므로 이를
없애기 위해 식물성 향재를 함께 넣는 것이 좋다.
세계화의 물결을 따라 지구촌 각지의 술이 물밀 듯이 들어와 자칫 우리의 것에 대한
정체성(identity)을 찾기 어려운 오늘날 자기만의 비법으로 침출주를 만들어 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자기 취향에 맞는 재료를 이용하여 나름대로의 향, 맛, 색깔을
내는 침출주를 담가 지인과 함께 한 잔 한다면 술꾼의 낙으로 이만한 것이 있을까 싶
다.
과일주 담그기
예로부터 과일의 감미로운 향기를 술에 담아보려는 노력은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포도처럼 과즙 자체가 알코올 발효의 원료가 되는 것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과일은 씨
방이나 껍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그대로 술을 담그기에는 부적합하다.
그런 과일들을 으깨어 술을 만들 경우 속씨나 껍질의 성분이 술맛을 버릴 수 있다.
또한 발효를 잘 시키기 위해서는 면밀한 주의가 필요하므로 가정에서 과일주를 양조하
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런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주정(소주)을 이용한 침출식 과일주
제조 방법이다. 주정에 원하는 과일을 넣어 침출시킨 대표적인 과일주는 매실주이다.
매실은 여름 과일이나 가을 과일은 종류가 매우 많다.
백과가 여무는 가을이 아닌가.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양질의 향미를 지닌 침출 주는
다래주와 모과주이다. 다래는 머루와 함께 산중미를 지닌 과일로 여겨져 왔는데 다래주
의 맛은 참으로 권장할 만하다. 모과는 생김이 투박하여 과일전 망신을 홀로 시킨다는
옛말이 있으나 그 향기는 백과의 으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과주는 가정에서 가
장 인기 있는 침출주의 하나이다.
그러면 과일주를 어떻게 담가야 제 맛이 날까. 우선 신선한 과일을 구입해야 할 것이
다. 다래는 녹익으면 무르게 되는데 무르지 않은 다래가 좋다. 모과는 단단하지만 썩기
쉽다. 따라서 약간 덜 익은 과일이 좋다. 침출에 쓰는 술은 증류주면 모두 가능하지만
값싸고 비교적 향미가 적은 소주가 적당하다.
술을 담을 때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술과 과일의 비율이다. 과일을 너무 많이 넣어
서 알코올농도가 10% 미만이 되면 식초가 되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소주
1.8L에 과일 무게가 2kg이하로 담그면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용기는 유리 항아리나 자기가 좋다. 뚜껑은 면으로 된 천을 덮은 후에 닫아 약간의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장소는 그늘지고 선선한 곳이 좋은데 온도가
높으면 과일이 짓무르기 쉽기 때문이다. 단맛을 선호하는 취향이라면 약간의 설탕이나
꿀을 넣어도 좋다. 보름 이상 되면 색깔이 우러나기 시작하며 2개월 이상 되면 따라 마
셔도 좋다. 술은 과일의 향기와 과육의 맛으로 마시기에 부드럽게 변화된다.
중국의 8대 명주
중국의 증류주 고량백주
불과 20년 전만 하더라도 독주(알코올 농도가 높은 술)하면 으레 고량주를 떠올리곤
했었다. 중국집 골방에 앉아서 도토리 깍지 만한 사기잔으로 그 불같은 고량주를 한 잔
들이키면 자기도 모르게 목구멍에서 저절로 '카--'하는 소리가 올라올 정도로 독한 술
이었다. 중년이상의 술꾼들이라면 그 거친 고량주 향기와 톡 쏘는 맛에 대한 추억을 간
직하고 있을 것이다.
고량(수수)은 보리와 마찬가지로 싹이 틀 때 당화 효소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술을
만드는 데 아주 좋은 곡물이다. 반면 다른 곡물에 비해 단백질 함유량이 적어서 고량을
원료로 만든 술은 비교적 숙취가 적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고량을 술의 원료로 많이 써 왔다. 이 고량으로 양조하여 증류
한 술을 백주(빠이주)라고 하는데 아마 무색 투명하기 때문에 그렇게 분류된 듯 싶다.
중국의 증류주는 항아리에서 숙성되기 때문에 숙성 기간이 아무리 길어도 색이 변하지
않는다. 오크통을 사용하여 숙성을 하는 위스키나 브랜디는 통으로부터 우러난 나무의
색깔이나 목질부의 분해 산물로 인해 맛과 색깔에 영향을 받게 되는 데 비해 백주는
원래 술에 함유되어 있던 성분들의 유기화학적 변화만 일어날 뿐이다.
중국의 고량주 증류 방법 중에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고체 발효법
도 있다. 신비의 고체 발효법은 물이 귀한 지방에서 고안된 것으로 제조 과정이 매우
과학적이고 경제적이다. 원료인 수수를 분쇄하여 왕겨와 섞고 물을 뿌려서 축축하게 적
셔 버무린 다음 시루에 넣고 찐다. 왕겨는 반죽을 엉성하게 하여 찔 때 증기가 골고루
잘 통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술떡을 식힌 다음 표면에 누룩과 효모가루를 뿌리는데 이것은 메주를 띄우는 원리와
동일하다. 효모가 접종된 술떡은 깊이 2~3m의 갱 속에 묻는데 이것은 발효 온도를 적
절하게 유지하는 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이다. 발효 기간은 1주일에서 1개
월 정도이고, 각 양조장의 전통이나 비법에 따라 달라진다.
발효시키는 갱을 발효지라 부르는데 훌륭한 발효지의 벽이나 흙바닥에는 발효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생물의 집단이 형성되어 서식한다. 따라서 새로 발효지를
만들 때는 유명한 발효지에서 흙을 얻어다 바르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발효가 끝난 술떡은 시루로 옮긴 다음 수증기로 찌는데 이때 증류용 시루 아래에 새
로 버무린 술떡이 담긴 시루를 놓는다. 즉 술떡을 찔 때 나오는 증기를 이용하여 고체
상태로 배양해서 증류시킨다. 알코올은 물보다 비등점이 낮기 때문에 이 증기만으로도
충분히 증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나오는 백주의 알코올 도수는 50~70도로서 바로 원액이 된다. 한 차례의 증류
로 이렇게 도수가 높은 술이 증류되어 나오는 것은 중국식 고체 양조법만의 비법이다.
중국의 8대 명주
중국인들은 예로부터 과장에 능했다. 그들은 폭포의 높이를 3,000척이라 하고, 심지어
는 흙먼지가 자욱한 것을 황진 만장이라 비유했다. 그러니 그들의 술에 관한 비유는 어
떠하랴.
중국에는 증류주 공장이 5,500개가 있다. 이들은 제각기 자기들이 제조한 술이 으뜸
이라고 주장하였다. 1949년 현재의 중국 정부가 수립된 이래 해마다 주류 품평회를 개
최함으로서 이런 주장은 정리되었다. 품평회에 나온 주류 중 우수한 것에 금장을 수여
한 8대 명주가 등장하게 되었다.
중국의 남서부 귀주성은 산세가 험준하여 풍광이 빼어나고 강물이 맑고 아름답다. 양
쯔강 상류인 이곳에는 한무제 때부터 술의 고장으로 이름나 있었다. 이 고장의 명주로
는 전 세계에 이름난 마오타이와 가장 판매량이 많은 우량예, 그리고 동주가 있다. 증
류주의 8대 명주 중 3개의 명주가 이곳에서 생산되니 이곳은 가히 중국의 주향이라 할
만하다.
이 중 마오타이는 전통적인 고량주 제조 방법을 고수하고 있으며 국빈주로 지정되어
있다. 우량예는 말 그대로 다섯 가지 곡물로 빚은 술로서 끊임없이 과학적인 방법을 적
용하여 마오타이와 맞서고 있다. 동주는 수수에 100여 가지 약재를 넣고 빚은 술로서
풍성한 향미를 자랑하고 있다.
귀주성과 이웃한 사천성 노주시에 샘물은 촉나라 때부터 하늘에서 내려 준 신선의
주천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의 노주 노교는 400녀 년 전통 있는 술로서 8대 명주 중 하
나이다.
우리나라에 널리 알려진 명주로는 죽엽 청주가 있다. 죽엽 청주는 고량주에 10여 가
지의 약재를 침출 시키고 당분을 첨가한 술로서 우리나라 주류 분류법으로는 리큐르에
해당된다. 이 술은 양나라 때부터 유명했는데 기를 돋우고 혈액을 맑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죽엽 청주는 산서성 행화촌에서 생산되는데 이 곳에서 나는 또 하나의 명주로서
분주가 있다.
강조성의 양하주는 달콤하고, 부드럽고, 연하고 맑으며, 산뜻한 특징으로 이름나 있
다. 조조의 고량인 안휘성의 고정은 남북조 시대로부터 물이 좋기로 이름이 나 있었다.
이 이름난 고정의 생수로 빚은 고정 공주는 화사한 맛으로 모란에 비유되고 있다.
*마오타이
중국의 서남부 사천성과 운남성이 접해 있는 귀주성은 지세가 험준하고 풍광이 빼어
나며 강이 아름다운 지방이다. 장강의 남쪽 상류인 적수가에는 예부터 미주가 이름을
날렸다. 기원전 135년경 이 지역을 평정한 한무제는 이곳의 술을 '달고 아름다운 술'로
감탄하였다. 그 이래로 종비주를 비롯한 이곳의 술은 두보, 황정견, 왕희지 등 시인 묵
객으로부터 칭송을 받아 왔다.
원나라 초기 증류 기술이 전파된 이래 소흥주 등 전통적인 중국의 양조주는 그 색깔
에 따라 황주로 부르는 반면 증류주는 무색이므로 백주라 부르게 되었다. 이 주향에서
도 백주를 증류하여 이름을 내기 시작했다. 적수가의 마오타이 마을에서는 백주를 빚어
널리 판매하였다. 여기서 빚은 술은 고을 이름을 따라 마오타이라 불리게 되었다. 1915
년 파나마에서 열린 세계 박람회에서는 주류 품평회가 있었는데 이때 마오타이는 세계
3대 명주의 하나로 뽑히게 되었다. 그리하여 마오타이는 세계 명주의 반열에 오르게 되
었다.
고대로부터 술을 빚는 데는 보리나 수수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곡물들이 싹이
틀 때 당화 효소가 다량으로 생성되기 때문이었다. 기원전 3,000년경부터 서양에서는
보리를 중국에서는 수수를 이용해서 각기 토속주를 양조해 왔다. 귀주성은 기후가 온난
하고 물자가 풍부한데 특히 수수의 질이 뛰어나 양조용 원료 공급이 원만하였다.
1949년 현재의 중국 정부가 수립된 이래 매년 주류 품평회가 개최되었다. 중국의
5,500개 증류소에서 출품된 백주 중 뛰어난 술에 금장이 부여되었다. 1953년 연이어 다
섯 번의 금장을 수여한 백주가 여덟 개였는데 이를 팔대 명주라 칭하게 되었다.
마오타이는 단연 명주 중의 명주로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1972년 베이징에서는 냉전을 종식시키는 윤활류로서 마오타이가 올려졌다. 닉슨과 주
은래는 한 잔의 마오타이를 마시고 화해의 손을 잡은 것이다.
마오타이는 중국 국빈주로서 많은 외교 문제를 부드럽게 풀리도록 돕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최근 타계한 작은 거인 등소평의 마오타이 사랑은 남달라 90세가 넘어서도 매
일 반주를 하였다 한다.
술잔에서 솟아오르는 보름달이 묵묵히 대지를 돌아 흐르는 것을 바라보며 마오타이
의 찬가를 음미해 본다.
오늘밤 술의 혼을 부르리니
달과 함께 천상의 봉래경을 노리세
우아한 비파 소리에 몸을 맡기고
마음은 마오타이에 맞겨 두세나
마오타이는 현대의 양조기술이 보급된 오늘날에도 전래의 제조법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마오타이는 제조기간이 길기로도 유명한데 수수를 쪄서 밀기울로 만든 누룩에 버
무려 약 9개월 동안이나 발효시킨다. 그런 다음 증류를 해서 항아리에 담아 2~3년 동안
숙성을 시키면 비로소 마오타이가 된다.
서양술이 목통에서 숙성되는 것과는 달리 마오타이는 항아리에서 숙성되는데 숙성
전후의 맛과 품질의 차이가 현격하다. 마오타이주는 향이 매우 짙고, 마신 후에는 한동
안 입안에 단맛이 남는다. 알코올 도수가 55도나 되는데도 그 도수에 비하면 순하게 느
껴지는 술이다.
마오타이의 알코올 함량은 53%인데 비하여 맛은 매우 부드러우며 취기가 슬며시 오
고 뒤끝이 깨끗하다. 특히 수천 개의 질그릇 항아리로 숙성하는 비법은 아직도 미스터
리로 남아 있다.
*우량예
중국의 남서부 사천성과 운남성을 경계로 하는 지역에 귀주성이 자리 잡고 있다. 이
귀주성은 장강(양쯔강)의 상류 지역으로서 산수가 빼어나고 기후가 온난하며 물자가
풍부하다. 삼국지에서 유비의 본거지였던 파촉지역이 바로 이곳이다.
귀주성에서는 예로부터 명주가 많이 생산되는데 그 가운데 중국의 증류주로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술이 우량예(우리양예)이다. 귀주성의 수도인 이빈에서는 3,000여 년 전
서주 시대의 청동 술잔이 출토된 바 있다. 이곳의 원주민은 '보(복)'인이었는데 그들이
술 문화가 매우 발달되어 있었으며, 귀주성은 중국 술 문화의 발상지의 하나로 간주되
기까지 한다. 한나라 때는 많은 한족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를 했다. 한족의 문화는 토
속 문화와 합류하여 이곳의 술 문화를 더욱 발전시켰다.
우량예는 삼국시대에 제갈량의 칠종칠금의 고사에 등장하는 술이기도 하다. 제갈공명
이 남만을 정벌할 당시 형인 남만왕 맹획을 구하기 위해 거짓 투항한 맹우에게 권한
술이 바로 이 우량예인데 그는 술맛에 매료되어 대취하고 말았다. 그리하여 그들의 계
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맹획은 세 번째로 사로잡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유래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빈의 술은 목숨을 걸고도 마신다는 고사가
있다. 당나라의 시성 두보가 극찬한 종비주도 바로 이빈에서 생산된 술이다.
송대의 유명한 시인 황정견은 이빈에 살면서 우리나라의 경주에 있는 포석정 비슷한
곡수류상을 만들어 놓고 친구들과 술을 마시며 시를 읊었다 한다.
이 곡수류상에서 풍류를 가장 즐긴 사람이 동진 시대의 명필로 유명한 왕희지였다.
이 곡수류상은 S자로 파인 물길의 윗부분에서 술잔을 띄우고 그 잔이 멈추면 그 앞에
앉은 사람이 그 술을 마시고 노래를 하는 놀이였다. 귀주성의 이빈은 하늘이 술을 위해
서 낸 곳이라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백주인 마오타이도 이빈에서 가까운 곳에서 생산된다.
우량예는 명나라 초부터 생산되기 시작했다. 이 술을 처음 빚은 사람은 진씨인데 우
량예의 맛과 향의 비결은 곡식 혼합비율과 첨가되는 소량의 약재의 내용에 달려 있다.
진씨의 비방은 수수 36%, 안남미 22%, 밀 16%, 찹쌀 18%, 쌀눈을 제거한 살 8%로 알
려져 있다. 그러나 진짜 비결은 술에 첨가하는 소량의 약재의 내용과 함량인데 이것은
수백 년에 걸쳐 기술자들 사이에서만 비밀리에 전해져 오고 있다.
1949년 현재의 중국 정부가 세워진 후 우량예가 대량 생산되기 시작했다. 중국에서는
해마다 주류 품평회가 열리는데 우량예는 마오타이와 함께 매년 최우수 명주로 뽑혀
왔다. 이처럼 우량예가 중국 술 가운데서 최대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훌륭한
기술자들이 꾸준히 대를 이어 왔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품질 관리 책임자(마스터 블렌더)인 범옥평은 관능 검사의 최고수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후계자인 범국량도 대단한 고수로 알려져 있다.
마오타이와 우량예는 같은 뿌리를 가지고 성장해 왔다. 다른 것이 있다면 마오타이는
과거의 방식을 변함 없이 유지하는데 비해 우량예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
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 때문인지 우량예의 생산량은 마오타이의 5배 이상 된다. 같은
고향에서 태어난 중국 백주의 맞수 우량예와 마오타이는 수천년 동안 이어온 귀주성
술의 명성을 지켜나가고 있다.
*죽엽청주와 분주
죽엽청주는 고량에 10여 가지의 약재를 혼합하여 양조한 약미주이다. 당이 첨가되어
매우 달기도 한 이 술은 기를 돋우고 혈액을 맑게 하는 명주로 알려져 있다. 양나라 간
문제는 죽엽청주의 맛과 향에 탄복한 나머지 "맑고 그윽함에 난조차 얼굴을 붉힌다."라
는 시를 읊었다. 죽엽청주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중국 술이다.
산서성 행화촌에서는 죽엽청주와 함께 분주가 생산된다. 분주를 마시면 입 안에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남을 뿐 아니라, 소화가 촉진되고 피로 회복의 효과도 있다.
*노주노교와 양하주
사천성은 한나라의 유방과 유비가 기업을 일으킨 촉땅인데 노주시는 예로부터 중국
의 명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샘물은 하늘에서 내려 준 신선의 주천이라고
알려져 있다. 400여 년 전부터 이름이 널리 알려진 노주노교는 사천의 명주를 대표하는
백주이다.
강소성에서 생산되는 양하주는 달콤하고, 부드럽고, 연하고, 맑으며, 산뜻한 5가지 특
징을 고루 갖춘 술이다.
양하주에 대한 평가는 "나는 새 술 향기 맡아 봉황으로 변하고/ 물에 놀던 물고기
술맛을 보니 용이 되어 승천하도다."라는 시의 구절을 통해 익히 알 수 있다.
*동주와 고정공주
귀주성의 준의시에서 생산되는 동주는 130여 가지의 약재로 빚은 술로서 풍성한 향
과 오묘한 맛을 지니고 있다.
1963년에 동주와 함께 8대 명주의 대열에 자리한 술이 안휘성의 고정공주인데, 이 술
은 고량, 소맥, 대맥, 완두를 주원료로 한다. 안휘성 호주시는 삼국지의 영웅 조조와 신
의 화타의 고향으로서 농작물이 풍부하다. 고정은 남북조 시대부터 농작물이 풍부하다.
고정은 남북조 시대부터 물이 좋기로 소문이 나 있었고, 고정의 생수로 빚은 술 또한
이름이 나 있었다. 이 고정 공주의 화사한 맛은 모란에 비유될 정도이다.
세계의 토속주
술은 사람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자연발생적으로 생기는 것이므로 세계 어느 곳에
도 토속주는 존재한다. 토속주는 대개 그 지방의 자연 조건에 따라 발달되는데, 특히
무슨 원료를 사용했는가에 따라 종류가 달라진다.
아프리카에는 수수가 많이 나는 관계로 예로부터 수수로 술을 빚어 왔다. 수수는 보
리와 함께 발아 과정에서 많은 효소를 생성하는 곡물이다. 따라서 이 아프리카에서는
토속주뿐만 아니라 현대식 Beer(맥주는 보리로 만든 술이라는 동양식 표현일 뿐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이 술을 맥주라고 할 수는 없다)나 위스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수
수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수수로 만든 술은 맛이 아주 담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자는 스코틀랜드 유학 시절, 급우들과 술을 마시러간 적이 있는데 그 중 한 친구가
사이다를 주문했다. 그 친구에게 왜 술을 마시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그게 무슨 소리
냐." 하는 반문이 돌아왔다. 알고 보니 사이다가 바로 사과술이라는 것이었다. 무슨 이
유로 우리나라에서는 무색의 탄산 청량 음료가 사이다로 불리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유럽에는 사과 과수원이 많기 때문에 사과술을 생산하는 곳이 많이 있다. 와인에 비
하면 생산량은 미미하지만 사과 술 특유의 산뜻한 뒷맛 때문인지 꾸준히 맥을 이어가
고 있다.
동남 아시아의 열대 지방에서는 야자의 과즙으로 야자술을 담가 마셨다. 야자는 공업
적인 용도가 워낙 다양해서 야자술로는 그다지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야자
술은 축제 때 사용되는 열대 지방의 민속주로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다.
멕시코 고원의 사막 지대에서는 곡물이나 과일이 자라기 어렵다. 그래서 그들은 사막
에서 자라는 용설란의 즙을 이용하여 팔케라는 술을 만들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전통
적인 축제에서 완전히 취할 때가지 팔케를 마시는 것이 신에 대한 예의라고 믿고 있어
서 그들은 축제 때가 되면 팔케를 걸신들린 듯이 퍼 마시고 취하는 풍습이 있다고 한
다.
회교권에서는 음주를 율법으로 금하고 있다. 그러나 회교권 국가의 고위 인사들이 전
부 금주를 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70년대에 걸쳐 우리나라 경
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던 중동 건설에 참여한 한국인들이 무엇으로 사막에서 외로
움을 달랠 수 있었을까?
중동의 오아시스나 식물 생장 가능 지역에는 석류가 흔했다 한다. 과욕이 풍부한 열
대 지방의 석류를 까서 용기에 담고 한국에서 가져 온 건조 효모를 넣은 다음 밀봉하
여 모래 속에 묻어 두면, 며칠 후에는 상큼한 술이 괸다.
이젠 지나간 이야기이므로 안심하고 할 수 있는 말이지만, 금주 지역에서 몰래 숨어
서 마신 술이니 기분이 한결 짜릿하지 않았겠나 싶다. 모르긴 해도 이 석류주는 중동
파견 근로자들의 향수를 달래 주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했을 것이다.
이처럼 사람이 있는 곳, 기쁨과 즐거움, 그리고 외로움과 슬픔으로 얼룩진 인간의 삶
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술이 있기 마련이다.
중국의 황주
증류 방법이 처음 개발된 원나라 이전의 중국의 전통주는 황주였다. 황주는 전설상의
국가인 하나라 사람 의적이 처음 만들었다고 한다. 황주의 색깔은 옅은 갈색으로서 우
리나라의 청주와 유사한 양조주이다.
중국 최초의 역사적 왕조인 은나라 시대부터 술이 다량으로 제조되었던 것 같다. 은
나라 마지막 왕인 주가 못에 술을 가득 채우고 마셨다는 일화에서 주지육림의 설화가
탄생되기도 했었다. 뿐만 아니라 삼국지에 나오는 영웅들이나 당, 송대의 시인 묵객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호걸들은 모두가 이 황주의 맛과 멋에 취했던 것이다.
유명한 소흥주 역시 황주의 일종이다. 멥쌀과 찹쌀, 그리고 소량의 밀기울을 섞은 곡
물 원료에다 일초, 대회향 등의 약재를 섞어 술밥을 만든 다음 누룩가루를 버무려서 발
효를 시킨다.
이 황주를 독에 넣고 밀봉하여 오래 묵힌 술을 노주라 한다. 양조주가 숙성, 저장될
수 있기 위해서는 알코올 농도가 13% 이상 되거나 잡균의 오염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누룩 가루 자체가 여러 가지 미생물 덩어리이기 때문에 잡균의 오염을 막을 수는 없다.
따라서 노주용의 황주는 보통의 양조주에 비해 알코올 농도가 높지 않으면 안된다.
노주 중에서 유명한 것으로는 산냥주가 있다. 산냥주는 물 대신에 이미 발효된 소흥
주를 술밥에 섞은 양조용의 액체로 사용한다. 즉 발효가 완료된 술에 다시 한 번 술밥
을 넣어서 발효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알코올 농도가 올라가 장기간 보관할 수 있
게된다. 이 과정에서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식초가 되어버리는 것이 다반사이
다. 아마도 산냥주를 담그는 데는 특별한 비법이 있는 것 같다.
노주의 일종인 자판주는 딸을 낳았을 때 담궈서 자기 항아리에 밀봉한 채 숙성시키
다 딸이 장성하여 결혼을 하게 되면 신랑집에 예물로 보내는 귀한 술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판주의 숙성 연도가 20여 년에 이르는 것도 있다. 동양에서도 술을 장기간 숙
성하는 오랜 전통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중국은 워낙 거대한 대륙인데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술의 종류가 있으므로 이를 다
알기는 매우 힘든 일이다. 몇 년 전에는 우리나라의 모 재벌이 등소평이 마시는 약술의
제조 비법을 5,000만 달러라는 거금을 내고 사려하다가 거절당했다는 얘기도 있었다.
아마도 약재와 술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불로장생주였나 보다.
초원의 술 마유주
광활한 초원에서 바람을 가르고 달리는 기마병단을 이끌고 세계 최대의 국가를 건설
했던 칭기스칸은 어떻게 그 수많은 병사들을 다스렸을까? 전투가 끝나면 병사들에게
취하도록 주어지는 술이 바로 마유주였다.
내몽고 지방에는 조, 수수, 강냉이 등 작물이 자라기 때문에 내몽고인들은 이들 곡식
을 주식으로 한다. 그러나 고원이면서 강우량이 적은 외몽고 지방에는 곡식을 재배할
수 없는 관계로 목축으로 연명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들은 술
만 마시고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들의 주식은 바로 말 젖을 발효시킨 애락이다. 몽고인들은 일인당 평균 20여 두의
가축을 기르는데 말과 양이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이다. 그들은 집집마다 양가죽으로 만
든 약 100리터들이의 가죽통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말젖을 넣고 고무래 같은 도구로
하루에 5,000번 정도씩 이틀 동안을 저으면 1차 발효가 일어난다. 이것을 절반 가량 덜
어서 겔(집으로 사용되는 몽고 텐트) 안에 있는 가죽통으로 옮긴다. 밖의 말젖통에는
다시 새 말젖을 가득 채우고 휘저어서 애락을 만든다. 겔 안의 통에서는 당연히 2차 발
효가 진행된다. 겔 속에서 2차 발효된 애락의 알코올 농도는 4~5% 정도이다.
몽고 사람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애락을 마신다. 사실 그것 아니면 달리
먹고 살 음식이 없어서 그렇겠지만, 우리 식으로 하면 매일 막걸리만 마시고 사는 셈이
다. 나이를 먹으면 모든 국민이 알코올 중독자가 되지나 않을까 걱정스럽기도 하다.
애락의 맛은 요구르트 맛과 비슷한데 새콤한 향과 맛을 지니고 있다. 애락은 젖산 발
효와 알코올 발효가 동시에 진행된 일종의 유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잡균의 오염이 방
지되도록 두 가지 발효가 적절히 조화를 이룬 것이 아니겠는가.
그들은 애락을 증류하여 '아르키히'라는 소주를 내리는데, 이것이 고려시대에 원나라
에서 우리나라로 전파된 증류 기술이다. 내몽고에서는 말보다 양이 많기 땜누에 양젖을
발효시켜 증류한 아르키히를 만들어 마신다. 내몽고에서는 이 술을 항아리에 담아 수년
간 땅 속에 묻어 숙성시켜서 고급술로 쓴다.
외몽고 지방에서는 발효 기술이 단지 취하기 위한 술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주식
(말젖)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고로쇠 와인
예로부터 식물의 수액은 약품, 화장품, 공업용 원료 등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삼십
년 전만 하더라도 농촌의 아낙네들은 초가을이면 수세미의 줄기를 자르고 거기서 분출
되는 수세미 액을 받아 화장품으로 쓰곤 했다. 열대 지방의 고무나무의 수액은 고무 제
품의 원료로 쓰이는 것이다. 그러나 지독한 술꾼들은 이러한 식물들의 수액을 이용하여
술을 담가 마셨으니 술에 대한 집착과 아이디어만큼은 실로 가상하다 하지 않을 수 없
다.
수년 전 연변을 다녀온 한 친구가 연변에서 귀한 술을 가져 왔으니 한 잔 하자며 초
청을 했다. 저녁 자리에서 만난 친구는 뜻밖에도 와인을 한 병 내놓았다. 연변을 다녀
왔다 길래 으레 도자기 술병을 내놓을 줄 알았는데 와인 병이라니 싱거운 생각이 들었
다. 그러나 그 친구는 그게 보통 와인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그건 고로쇠 와인이라는
연변에서 나오는 만주의 토속주였다.
5월 초 나뭇잎이 막 피어나고 가지에 물이 흠뻑 오를 즈음 고로쇠나무의 표피를 벗
기면 수액이 줄줄 흘러나온다. 이 수액은 풍당이라 하여 예로부터 위장병이나 폐병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리산과 백운산 고지대의 고로쇠나무 수액이
유명하다.
만주에는 고로쇠나무가 지천으로 널려 있다고 한다. 그 액으로 술을 만드는 풍습이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지, 그것이 원래 만주족에 의하여 개발된 것인지 아니면 후에 조
선족에 의해 개발된 것인지도 정확하지 않다. 어쨌든 현재는 조선족 동포가 고로쇠 와
인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장백산(백두산) 일대의 고로쇠나무에서 수액을 받아
이것을 한곳에 수집한 다음 지하 갱 속에 설치된 발효조에서 2~3개월 동안 발효, 숙성
시켜서 만든다고 한다.
고로쇠 와인의 향은 그다지 풍부하지 않았으나 부드럽게 입안을 적시는 맛이 대단히
감미로운 느낌을 주었다. 한마디로 이 고로쇠 와인은 여느 서양 와인에 비해서 맛으로
는 손색이 없는 것 같았다. 이 와인이 고로쇠 즙과 같은 약효가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얼큰하게 취하도록 마셨는데도 전혀 숙취가 없었고, 게다가 은은한 기품마저 느낄 수
있는 술이었다.
한국 사람들의 억척스러움과 어디에서나 술을 즐기는 민족성이 그 척박한 만주 땅에
서조차 여실히 발휘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니 저절로 웃음이 나왔다.
허니문과 벌꿀 술
술은 당으로부터 나오고 당은 태양에 의해 만들어진다. 당이란 식물의 엽록소가 태양
에너지를 받아 탄소 동화작용을 통해 생성한 단당을 말한다. 단당은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포도당과 과당이다. 포도나 과일 등의 과즙에는 다
이 단당 형태로 들어 있다. 사람이 단맛을 느낄 수 있는 당은 단당과 이당인데 이당은
당분자가 2개가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당이다. 효모가 이용할 수 있는 당 역시 단당
과 이당이다.
대부분 식물은 당을 변형시켜서 사용하거나 혹은 저장한다. 곡물의 씨앗이나 감자 등
에 저장된 전분은 단당이 수백만 개씩 결합된 것이다. 싸이나 보리를 입에 넣고 오랫동
안 씹고 있으면 약간의 단맛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은 씹는 동안 전분이 분해되어 당으
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식물의 줄기와 뿌리, 그리고 잎도 실은 당이 변형된 형태이다.
꽃잎과 꽃술에 들어 있는 꿀 역시 당의 한 형태이다.
예로부터 부드럽고 단맛이 강하여 단맛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꿀과 술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한다. 꿀은 당도가 80% 정도로서 그냥 두면 결코 부패(발효)하지 않는다. 꿀 속
에 미생물이 있다 해도 매우 강력한 삼투압이 발생함으로써 미생물은 세포막이 파열되
어 죽을 것이다. 그러나 꿀을 물로 희석하여 당도를 낮추어 주면 다른 당액과 마찬가지
로 알코올 발효를 일으키므로 꿀술을 만들 수 있다.
북유럽의 겨울은 길고 한파는 매섭다. 그래서 북유럽인들은 예로부터 술을 많이 마셨
으며 종교 의식에서는 반드시 술이 제주로 사용되었다. 그 제주가 바로 벌꿀주로서 흔
히 미드(Mead)로 불리 우는 것이다. 미드를 만드는 방법은 물로 꿀을 희석하여 당도를
20% 정도로 낮춘 후 구연산 등의 산과 향초를 넣고 와인용 효모로 발효시키는 것이다.
미드는 꿀에 들어 있는 고유의 꽃향기와 알코올이 어우러져서 미묘한 풍미를 갖고 있
다.
북구의 여러 나라 가운데서도 미드가 가장 유명한 나라는 노르웨이이다. 노르웨이에
서는 신혼 부부가 결혼한 후 한달 동안은 이 미드를 마시는 전통적인 풍습이 있다. 오
늘날 신혼 부부의 달콤한 삶을 허니문(Honey Moon)이라고 하는 것은 바로 신혼부부가
벌꿀주를 마시는 노르웨이의 풍습에서 유래된 것이다.
태양과 꽃, 그리고 달콤함이 함께 어우러진 미드. 인생의 가장 즐거운 한때에 이런
술이 함께 한다면 그 생활이 어찌 달콤하지 않으랴.
우리나라에는 신혼 부부가 첫날밤 조촐한 술상을 마주하고 합환주를 마시는 아름다
운 풍습이 있다. 이 합환주로 벌꿀주를 쓴다면 가정 생활이 꿀같이 달콤하고 화목해지
지 않을까 싶다.
바람과 물을 벗삼아
술의 하늘에 뜬 별들
술과 풍류
세계 각 지역의 음식 문화가 다양하듯 술 마시는 습관도 각양 각색이다. 옛날에는 술
이 귀한 음료였기 때문에 대개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하사하거나 주인이 객을 대접하
는데 쓰였을 것이다.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사교적인 모임이 늘어나 술은 어느 모임에
서나 음용되게 되었다.
우리나라와 인접한 중국과 일본의 음주 습관만 해도 매우 다르다. 일본 사람들은 술
자리에서 잔이 조금이라도 비면 항시 가득 채운다. 우리는 술잔이 완전히 비지 않은 상
태에서 술을 더 따르면 첨잔이라 해서 결례로 생각한다. 따라서 일본인들의 그런 습관
을 모르면 '야 이거 다 마시라는 것인가 보다'라고 착각하여 연거푸 마시다 술에 취해
버릴 수도 있다.
중국인들은 자주 '깐빠이(건배)'라고 하면서 술잔을 들었다 놓곤 한다. 술잔을 부딪히
면 다 마셔야 되고 술잔을 들었다 놓으면 자기가 마시고 싶은 대로 조금 마셔도 된다.
'깐빠이'했다 해서 무조건 다 마실 필요는 없다. 같은 동양이라 해도 술 권하는 습관이
다르다.
서양 사람들은 술을 권하는 데 있어서 동양 사람에 비해 인색하다. 첫잔을 권하기 전
에 꼭 뭘 마실 거냐고 물어 보고, 다음부터는 자기가 따라 마신다. 술집에는 라운드
(Round) 방식이 있는데 몇 명이 라운드에 든다하면 차례대로 한 사람씩 각 사람들이
원하는 술을 잔술로 사는 것이다. 우리네 풍습과는 너무 달라 어색하고, 그들이 쩨쩨하
게 느껴지기도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음식을 권하는 인심이 매우 후하다. 술 권하는 인심도 마찬가지
다. 오히려 강제성이 많아 억지로 술을 마셔야 하는 경우가 많다. 서양 사람들은 그 반
대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해 보면 술 마시는 사람의 취향이나 컨디션을 존중하는 배려
가 깔려 있는 것 같다.
70년대 이장희의 노래 '한잔의 술'이 유행하던 때에는 소위'노틀카(놓지도 말고 트림
도 하지말고 술 마신 후 "카"하는 소리도 내지 말고 마시는 것)'가 유행하였다. 노래 가
사와 같이 '마시자 마셔 버리자'는 것이 술을 마시는 음주 풍경이다. 그리하여 70년대에
는 '꺾는다'는 말이 유행을 했다. 꺾는다는 말은 잔을 들어서 손목을 꺾어(기울여) 입에
다 붓는다는 말이다. 즉 빨리 마시고 빨리 취하자는 뜻일 것이다.
80년대에는 폭탄주가 유행하였다. 70년대의 고도 성장으로 경제적으로는 풍요로워졌
으나 정치적인 압제로 사람들이 내면의 스트레스를 표출할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폭탄주는 맥주와 위스키를 섞어서 마시는 것인데 맥주 속의 탄산가스가 위벽을 자극하
여 알코올 흡수를 촉진하기 때문에 술이 급히 취한다. 그래서 한잔 푸러 가자는 말이
유행했다. 술을 마셔서 마음속의 답답함을 없애버리려 한 것이리라.
얼마 전에 20대 후반의 후배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다. "야 빨러 가자."는 것이었
다. 나는 이 친구들이 혹시 대마초를 빨러 가자는 것인가 생각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술 한잔하러 가자는 말이었다. 얼마나 웃었는지 모른다.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 줄
어들면서 여성 음주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서 그런지 말도 노골적으로 야해졌다.
말은 그 시대의 풍속을 반영한다. 따라서 말이 변천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근
래 한 30년 간의 권주사의 변천을 보면 당시 사회 상황과 사람들의 내면을 엿볼 수 있
을 듯 싶다.
여보게 송암 한잔 드시게나. 그러시게, 청강도 한잔 드시게나.
한 100년 전 사랑방에서 술상을 놓고 친구끼리 마주 앉아 술을 권하는 말이었을 것
이다. 이때는 자세를 꼿꼿이 하여 느릿느릿하게 마셨을 것이다. 어찌 보면 친구들끼리
격식을 너무 차려 딱딱한 듯도 하지만 여유가 있어 좋다.
음주와 풍류에 관해서 우리 선조 들은 가난과 좌절 속에서도 여유를 잃지 않았고 자
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하였다. 조선시대 시가 문학의 양대 거장인 송강 정철과 고산 윤
선도는 늘 음주를 즐겼는데 지나침이 없도록 스스로 경계하여 주도를 지켜 나갔다. 거
기에다가 훈훈한 인정을 실어 서로의 마음을 주고받는다면 한층 술맛이 좋을 것이다.
정철은 권주가에서
한잔 먹세 근여 또 한잔 먹세 근여 꽃 꺾어 산 놓고 무진 무진 먹세 근여
라고 읊조린다. 얼핏 보면 주량에 관계없이 무진장 마시자는 것 같다. 그러나 자세히
내용을 보면 자기가 얼마나 마시는지 잔을 세면서(꽃 꺾어 산 놓고) 주량의 한도 내에
서 마시는 것을 알 수 있다.
윤선도는 한 시조에서
술을 먹으려니와 덕 없으면 문란하고 춤도 추려니와 예 없으면 난잡하니 아마도 덕
예를 지키면 만수무강하리라
라고 하였다. 윤선도는 일생을 통해 수많은 유배 생활을 했으나 마음은 늘 풍요로웠
다. 그의 오우가, 어부사시사는 자연과 합일된 경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술 대함에 있
어서나 놀이에 있어서나 조화와 질서를 지키면 더욱더 즐거우리라고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좋은 선현을 갖고 있다. 그들의 음주 문화와 풍류를 되살린다면 술은 생활에
멋과 여유를 주는 활력소가 될 것이다. 평소 자주 차지 못하던 자연 속에서 술 한잔 곁
들이면 온갖 시름이 물러가고 한층 정감이 무르익는다.
여기에 돌, 바람, 풀, 나무, 물, 구름, 꽃, 정자 등을 완상하며 가까운 이들과 마음을
주고받는다면 풍류객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자기의 마음이 우주의 사물과 어
울려 생기고 흩어지는 것을 본다면 신선이 따로 없을 것이다.
이태백
술의 하늘에 뜬 별을 헤아리노라면 자연히 이태백이 으뜸으로 꼽힌다.
그의 지기였던 두보는 그를 주중선이라 불렀으며, 이태백 스스로는 적선(지상에 귀향
온 신선)으로 칭했다. 그는 자타가 공인하는 주선이었다. 술과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이태백의 아류로 생각하고 그의 경지를 동경하곤 했다. 그는 월하독작이란 시에
서 "석 잔이면 큰 도에 통하고 한말이면 자연과 어우러진다."라고 읊으며 취중의 호연
한 심정을 토로했다.
실로 이태백은 술과 자연을 즐겼으며 이를 노래했다. 그는 오강에서 뱃놀이 하던 중
술에 만취하여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다 빠져 죽었다는 전설을 남길 정도였다. 이태백
의 시에서 절반은 술이 소재이다. 이러한 연고로 술에 만취하여 몸과 마음을 못 가누는
사람을 보고 주태백이라 일컫기도 한다. 그러나 이태백이 과연 그러한 사람이었을까?
이태백은 젊은 시절 도교에 귀의하여 신선도를 닦았으며 검술에도 달인이었다. 그는
벼슬길에 오르고자 많은 노력도 했다. 한때 현종과 양귀비가 노닐던 궁궐에 봉직하여
자기의 기개를 펴고자 했으나, 그는 한낱 궁정 시인으로만 취급 받아 벼슬에서 물러났
다. 그 후에도 그는 단념하지 않고 안록산의 난을 진압하는 데 참여하는 등 오탁한 현
실을 뛰어 넘고자 했다. 그는 정치적인 참여에 연관되어 임종 또한 유배지에서 맞게 된
다. 물론 위의 오강에서의 전설은 후인이 저어낸 우스갯소리이다. 이태백의 생은 인간
의 자유와 낭만을 현실 속에서 찾고자 부단히 노력했던 가장 인간다운 것이었다.
그는 유명한 장진주에서
만고의 시름을 씻어 내리려 연거푸 삼백 항아리의 술을 마신다.
고 읊었다. 인생의 유한함과 현실 속에서의 좌절을 달래기 위하여 술의 힘을 빌린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태백의 생애나 그의 시를 아무리 훑어보아도 그가 술에 의하여 정
신을 잃은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그는 술을 사랑했지 술의 노예로 전락한 적은 없었
을 것이다.
이태백의 시에 나오는 말이나 항아리라는 단위를 보고, 실제로 술독에 빠질 정도로
많이 마셔야 그런 경지를 맛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착각이다. 다만 정신이 그
렇게 활달해야 참된 술맛을 알 수 있다는 행간의 뜻을 음미할 일이다.
김시습과 김삿갓
죽장에 삿갓 쓰고 방랑 삼천리 (중략)
술 한 잔과 시 한수로 떠나가는 김삿갓
한잔 마시고 마이크를 잡으면 술술 나오는 노래이다. 김삿갓은 구름과 같이 방방곡곡
을 돌아다녔으며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는 자유인이었다. 고금을 통해서 술을 마시는 가
장 큰 이유는 자유로워지고 싶은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술꾼들이 그를 영원
한 고참으로 여기는 것은 당연하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과거에 급제했던 김삿갓은 왜
방랑 시인이 되었을까?
김삿갓의 본명은 김병연으로서 그가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에 나아가려던 차에 자기
조상을 자세히 알아볼 계기가 있었다. 이때 그는 자기가 홍경래의 난 때 항복한 선천
방어사 김일손의 손자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세상의 명리를 버리고 대 자유
의 길을 택했다. 각지를 돌아다니며 서민들에게는 웃음을 주고 틀린 세상을 풍자하며
시를 지어 주고 술을 얻어 마셨다.
최초의 한문 소설 '금오신화'를 지은 매월당 김시습은 쿠데타로 왕권을 탈취한 세조
에게 굽히지 않았다. 그는 금오산에 들어가 은둔 생활을 하다 스님이 되었다. 그는 승
복을 입고 각지를 주유하며 술을 마시고 시를 읊었다. 한때 술을 거나하게 먹고 거리를
지나가다가 당시 영의정인 정창손을 만났다. 그가 다짜고짜 "이 나쁜 놈아 네가 어찌
영의정이냐."고 소리치자 영의정은 혼비백산하여 사라졌다. 김시습의 곧은 절개는 부패
한 대감들을 두렵게 만들었다. 그는 달콤한 타협보다 자유롭고 불의에 지배받지 않는
주선의 길을 걸은 것이다.
14대 국회에 참여했던 이주일 씨는 퇴임 소감으로 "국회에서 진짜 코미디를 많이 배
웠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바른 것보다는 이익을 따라 이합집산하는 정치인들의 우스
꽝스런 골을 잘도 지적했다. 요새 술판에는 씹어야 할 안주가 너무 많아 탈이다.
새삼 김삿갓과 매월당이 그리워진다. 비록 술에 취해 방랑하더라도 굽히지 않는 지조
로 언제나 바른말로 불의와 맞서며 서민들에게는 웃음을 선사했던 선배들을 우러르고
싶다.
정수동
조선 후기 기인 중에 정수동이 있다. 그는 재주가 뛰어나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
다. 추사 김정희는 수동의 총기를 기특히 여겨 자기가 아끼는 서책을 주었다. 수동은
책들을 다 통달하고는 어디론지 자취를 감추었다. 그는 마치 물과 같이 세상에 매달림
없이 살았다. 그는 술을 좋아했고 어디서나 거침없이 말을 했는데 잘못된 일은 사정없
이 질타했다.
정수동이 하루는 아는 사람 집에 들렀다. 주인은 소실을 시켜 술상을 내왔다. 그 집
의 크기와 비교하면 술상은 너무 보잘것없었다. 더구나 술잔은 도토리 껍질만 했다. 수
동은 별안간 큰소리로 통곡을 했다. 주인은 깜짝 놀라 물었다. "무슨 변고 있소?" 그러
자 수동은 울음을 딱 그치고 말했다. "우리 형님 생각이 나서 그러오. 형님도 나처럼
친구네 집에서 술을 마시다 술잔이 작아 그만 목구멍에 걸려 돌아가셨소." 주인은 눈치
를 채고 사발을 내왔다. 수동은 사발로 술을 마신 후 껄걸 웃으며 말했다. "진작 그래
야지 술잔만이라도 커야 하지 않겠소?"
한번은 대감 조두순이 여러 대신과 재사들을 모아 놓고 연회를 베풀었다. 술이 몇 순
배를 돌아 거나해졌다. 이야기가 돌다가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이 무엇이겠노?"라는
화제에 이르렀다. 어떤 이는 '호랑이가 무섭다' 어떤 사람은 '역적이 무섭다'고 한마디씩
했다. 수동은 "이 사람은 호랑이를 탄 양반 도둑이 무섭습니다."라고 말했다. 좌중의 분
위기는 갑자기 싸늘해졌다. 벼슬 높은 양반들이 뇌물 도둑질하는 것을 비꼬았기 때문
이었다.
당대의 세도가인 김홍근 대감은 평소 수동의 기상천외한 재주에 그를 아꼈다. 그러나
수동은 별로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다. 어느 해 세모에 김대감은 수동의 집에 선물과 함
께 술과 안주를 보냈다. 짐을 나르던 하인이 수동과 마주쳐 사유를 말했다. 수동은 다
짜고짜로 길바닥에 물건들을 펴놓고 하인과 행인들을 불러 권커니 잣거니 술을 마셨다.
하인은 겁이 덜컥 났다. 수동은 아랑곳없이 술을 선물에 뿌리며 "이 재물은 부정한 것
이니 술로 씻어야 해."라고 했다. 하인을 돌려보낸 후 마침내 대취하여 물건을 버린 채
가버렸다.
오늘날 수동이 있다면 정치가들의 집 골목에는 술냄새가 진동하지 않을까? 씻어야
할 재물이 한도 없으니... 술꾼들이여 대 선배 수동에게 텅 빈 충만의 주도를 배우라.
도연명
전원이 황폐해지니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
(중 략) 지난날의 벼슬살이가 잘못이었음을 이제 깊이 깨달았노라...
그 유명한 도연명의 귀거래사이다. 도연명은 가족들의 가난을 구제하고자 벼슬길에
올랐으나 당시의 관리들이 부정한 것을 개탄하고 10여 년 간 출사와 퇴임을 거듭했다.
그는 마침내 관리들과 결별을 하고 다시는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가난해도 농사일을 하면서 천성을 바르게 지키는 것이 바른 삶이라고 깨달았기 때문
이다. 오탁한 난세의 출세를 버리고 향리에 돌아가 자연의 섭리대로 산 선인 도연명은
애주가들에게 참된 삶과 주도에 대하여 많은 것을 시사한다.
도연명은 본시 술을 즐겨 누가 술을 권하여 부르면 사양하지 않고 갔으나 취하면 홀
연히 사라졌다 한다. 그의 시에는 거의 대부분 술이 등장한다. 그는 초탈한 경지를 스
스로 즐겼다. 그의 음주 후 심경은 다음의 시에 잘 나타나 있다.
마을의 옛 친구들 나를 반겨 술병 들고 찾아왔네
소나무 아래서 자리잡고 마시니 어느덧 술기운 올라 취하네
서로 격의 없이 떠들며 술잔을 돌리며 어울리니
스스로 존재조차 의식 못하고 더욱 명리 귀한 줄 모르노라
유연히 아득한 경지에 드니 술 속에 삶의 참뜻이 있더라
그는 인생의 유한함과 명예와 재물의 덧없음을 노래했다. 그는 혼자서도 술을 즐겨
마셨다. 달빛 아래 비친 자기의 그림자와 대화를 나누고 현실의 자기와 이상적인 자기
를 대비시키고 둘이 합일하기를 꾀했다. 그의 은둔 생활은 현실 도피가 아니었다. 단지
자기의 가치관을 일관되게 관철한 것뿐이었다. 그의 또 다른 시에서는 "자기가 죽은 후
에 초상을 치르거나 제사를 지낼 때 상에 제물과 술을 놓고 사람들이 모여 있는 광경
을 그려 놓고 그때는 이미 술을 보고도 못 마실 테니 후회되지 않도록 평소 음주를 즐
기리라" 할 정도로 현실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요즘 공직을 남용해서 각종 비리를 저지른 사례가 미간을 찌푸리게 한다. 그러나 그
끝이 얼마나 허무한가를 여실히 알 수 있다. 술 한 잔으로 허욕을 씻고 청정한 자아를
회복할 수 있다면 도연명의 후예라 할 수 있지 않으랴!
로버트 번즈
헤어짐이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나 불려지는 구성진 노래 올드 랭 사임.
오랫동안 사귀었던, 정든 내 친구여
잊어야만 하는 건가 우리 옛날을 (중략)
그 옛날을 위해서, 나의 친구여
멀리 흘러간 옛날을 위해
우린 항상 다정히 잔을 들리라
멀리 사라진 옛날을 위해
이 시는 스코틀랜드의 민족 시인인 로버트 번즈의 생애를 그대로 담고 있다. 18세기
영국의 시단은 시어가 정형화되어 대부분의 시가 진부하였다. 이때 스코틀랜드 방언으
로 쓴 로버트 번즈의 시는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술을 좋아하였으며 위스키를 스코틀랜드의 나라 술로 만드는데 많은 기여를 하
였다. 스코틀랜드 각지를 고루 다니면서 시를 짓고 술을 마셨다. 그의 시에는 서민적이
고 민족적인 것이 총망라되어 있다. 어떤 농부의 장날 술 주정 이야기, 부도덕한 목사,
악덕 지주, 시골 처녀 총각의 사랑 등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번즈의 시를 읽노라면 내용이 한국의 이야기인지 스코틀랜드 이야기인지 모를 정도
이다. 옛날 한국의 농촌에서 일어났던 일과 똑같은 상황을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집집마다 보리 농사를 지었던 옛 시절, 처녀 총각들이 보리밭에 숨어서 밤새도록 속
삭인 사랑 이야기 '금빛 보리 이랑'은 우리나라에서도 흔한 일이었다. 촌로들의 이야기
속에서 도깨비와 씨름한 일(오 탬샌더)이 스코틀랜드에서도 일어났다니 재미있는 일이
다. 그가 표현한 음주의 즐거움은 다음의 시에 나타나 있다.
축복의 한잔이여/ 활기의 근원이여/ 어떠한 공부보다도/ 위트에 불을 붙이고/ 지혜를
다져 주네/ 위스키 한잔이면/ 시름이 오간 데 없네/ 걱정 말게나 만취할 일 없으니/ 우
리의 관념을 간지르게나/ 밤이고 낮이고
그는 식구가 많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가족 부양에 삶의 뼈저린 아픔과 몇 차
례의 실연도 겪었다. 그러나 그의 시는 낭만과 여유가 있었으니 술은 그의 시름을 승화
시키는 활력소였다.
현자여 눈을 감으라/ 철학적 냄새를 거두고/ 위스키의 이름을 그리스어로 말해 보려
무나/ '생명의 술'이 아니던가/ 스코틀랜드 나의 사랑하는 어머니여/ (중략)/ 자유와 위
스키는 함께 하나니/ 꿈을 향해 용솟음 칠지니
그는 당시 산업혁명으로 사라져 가는 스코틀랜드 민요와 설화를 낱낱이 조사하여 친
구와 함께 민요집을 펴내면서 스코틀랜드인의 생활에 깊이 박혀 있는 위스키 문화를
찬양했다.
스코틀랜드인들은 이 낭만 시인을 로비 번즈라는 애칭으로 부르며 잉글랜드인들이
워즈 워스를 기리는 것 이상으로 번즈를 사랑하고 있다. 오늘날에도 매년 1월 15일 밤
에는 친지들이 모여 로버트 번즈의 생일을 기린다. 스코틀랜드 민속 명절인 번즈 나이
트(Burn's Night)는 사람들이 다음 내용의 로비 번즈의 '셀커크 그레이스'를 암송하면
서 시작된다.
가진 게 있는 이는 먹을 수 없고
먹을 수 있는 이는 가진 게 없네
우리는 맛있게 음식을 나누노니
신의 은총이 여기에 있네
이날 밤에는 위스키를 건배하고 스코틀랜드 전통 음식인 하기스를 들며 밤이 늦도록
대화와 노래를 한다. 한 잔의 위스키를 마시며 인생의 고뇌와 사랑, 낭만과 그리움을
노래한 로비 번즈는 영원히 스코틀랜드인들의 가슴속에 있다.
문학과 영화 속의 술
술과 사랑의 영화 '카사블랑카'
1940년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에는 히틀러의 독재를 피해 유럽 전역으로부터 미국으로
가기 위한 온갖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었다. 카사블랑카에서 리스본 비자만 있으면 리스
본으로 해서 미국으로 건너갈 수 있기 때문이었다.
카페 아메리카(Cafe America)는 미국 출신의 릭(Rick)이 경영하는 술집으로 비자를
거래하고 각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람들로 붐볐다. 여기서는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운동가들의 접선이 빈번했다. 이곳 치안은 프랑스 경찰이 담당하고 있는데 독일의 게슈
타포가 정보를 통제하고 있었다.
게슈타포 소령 스트라써는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거물이 카사블랑카에 잠입한 것을
알고 그를 체포하기 위하여 카사블랑카로 온다. 경찰서장 르노는 스트라써를 접대하기
위해 릭의 카페로 온다. 카페에는 온갖 술이 대기하고 있었다.
웨이터가 주문을 받자 스트라써는 '샴페인 티노 카비아'를 주문한다. 르노는 '1926년
뱁키코 와인'을 주문한다. 이들은 둘 다 자기가 좋아하는 브랜드를 갖고 있었다. 특히
르노는 프랑스인답게 '빈티지 와인'을 구분할 줄 아는 와인 애호가였다.
얼마 후 레지스탕스 거물 라즐로와 일자 부부가 릭의 카페에 들어온다. 일자는 피아
노 연주자 샘을 보고 놀란다. 일자는 샘에게 'As Time Goes By' 연주를 청한다. 샘은
거절하다가 이윽고 연주를 시작한다.
이 곡을 듣고 나타난 릭은 일자를 보고 놀란다. 그때 르노는 수상쩍은 라즐로 부부의
자리로 가서 샴페인 칵테일 두 잔을 시킨다. 한 잔 사면서 신원을 떠보기 위한 것이었
다. 그 날밤 릭은 위스키를 연거푸 마셔 취해가고 있었다. 외로움은 사라지고 파노라마
처럼 추억이 떠올랐다.
파리가 함락되기 전 릭과 샘은 카페 'Liqueur De Marque'를 경영하고 있었다. 릭은
파리에서 일자와 만나 사랑에 빠졌다. 릭은 마르세이유로 탈출할 것을 안한다. 떠나기
전날 밤 둘은 샘의 'As Time Goes By'를 들으면서 샴페인을 마시며 결혼을 약속했다.
그러나 일자는 사라졌다.
느닷없이 나타난 일지... 릭은 현실과 과거 사이에서 고민을 한다. 일자가 자기를 보
러 올 것을 확신하며 술을 마시고 있는 릭의 앞에 나타난 일자. 일자는 그 날 왜 약속
을 저버렸는지 설명하려 했으나 릭은 들으려 하지 않았다.
다음날 아침 라즐로와 일자는 리스본 행 비자를 구하기 위해 카사블랑카를 뒤지고
다녔다. 릭은 비자 중개인인 아랍인 페라리의 카페에 가서 버번을 한 잔 마시면서 자기
에게 비자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라즐로와 일자는 페파리로부터 릭이 비자를 갖고 있다는 정보를 얻는다. 릭의 카페에
서 비자를 구한 노부부가 술을 시키자 웨이터는 꼬냑을 권하였다. 이때 라즐로와 일자
가 들어와 역시 꼬냑을 시켰다. 라즐로는 릭의 방으로 가서 릭에게 비자를 팔라고 하자
릭은 거절하였다. 이때 독일 병사들이 독일 국가를 부르자 라즐로는 피아노 옆으로 와
서 프랑스 국가를 선창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따라 불렀다.
라즐로는 게슈타포가 가장 의심하는 인물이 되었다. 독일 게슈타포 대장은 카페 폐쇄
명령을 내렸다. 그 날밤 일자가 릭을 찾아와 비자를 달라 한다. 릭이 거절하자 일자는
릭을 향하여 권총을 겨눈다. 결국 쏘지 못하고 일자는 눈물을 터트린다.
일자는 파리에서의 상황을 설명한다. 같이 떠나기로 한 전날 밤 죽은 줄로 알았던 남
편 라즐로가 탈옥하여 자기를 찾아온 것이다. 일자는 자기밖에 의지할 데가 없는 라즐
로를 버릴 수가 없었던 것이다. 릭은 술을 마시며 그 사연을 듣고 드디어 그들을 돕기
로 결심한다.
이 영화는 대부분의 장면이 주로 카페 내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늘 술이 있는 풍경
이다. 많은 사람들이 비자와 정보를 주고받는 긴박한 가운데에서도 자기가 좋아하는 술
을 마시고 있다. 샴페인과 꼬냑 그리고 와인과 위스키. 주인공 릭과 일자가 파리에서
샘의 'As Time Goes By'를 들으며 마시는 샴페인은 사랑의 깊이를 더해 주고 있다.
카사블랑카에서 릭이 일자를 기다리며 마시는 위스키는 현실적 고뇌로부터 떠나 추
억을 회상케 하는 해방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사랑과 술이 장미꽃처럼 어우러진 카사블랑카는 영원한 추억의 영화이다.
샴페인과 로제 와인이 있는 풍경 '사브리나'
뉴욕 외곽 대저택의 정원에서 한참 무르익고 있는 파티. 건축 자재 회사를 경영하는
래러비가의 가든 한 모퉁이 울창한 나뭇가지 위에는 파티가 열릴 때면 언제나 한 처녀
가 파티를 구경하고 있었다. 아니 그 처녀는 그 집의 막내인 바람둥이 데이비드를 사모
하고 있었다.
사브리나는 그 집 운전사의 딸로서 어렸을 때부터 그 집의 차고가 달린 행랑채에 살
면서 도련님을 짝사랑하고 있었다. 그 날 파티 중 데이비드는 어떤 여인을 만나 샴페인
을 들고 일광욕장으로 가서 단둘이 샴페인을 마시며 춤을 추었다.
사브리나는 나무 위에서 자기도 언젠가는 초대되어 일광욕장에서 샴페인을 마실 것
이라고 생각했다. 그 날 사브리나의 아버지는 그 집 노마님의 주선으로 사브리나를 파
리로 보내기로 결정했다. 나무 위에서 살다시피 하는 사브리나의 성격을 고치기 위하여
멀리 보내려고 하는 것이었다.
사브리나는 파티가 거의 끝날 즈음 야외로 나 있는 주방의 벽에 있는 술장을 열었다.
벽장에는 각종의 술과 잔이 있었다. 사브리나는 맨 앞에 있는 셰리 병을 갖고 자기 방
으로 갔다. 짐을 싸면서 술을 들이켰다.
술 기운이 솟자 용기가 생긴 사브리나는 데이비드의 방으로 작별 인사를 하러 갔다.
마침 본 댁의 장남이며 노총각 사장인 라이너스가 옷을 갈아입으러 방에 와 있었다. 그
녀는 문 밖에서 자기를 잊지 말아 달라고 고백을 한다. 라이너스가 문을 열고 나오자
사브리나는 무안하여 쏜살같이 뛰어 나갔다.
파리에 간 사브리나는 보그 잡지사의 사진 기사 수업을 하며 사진 작가인 루이와 사
귄다. 와인을 함께 마시며 춤을 추는 등 성격이 밝아지게 되었다. 차츰 변모해 가는 사
브리나. 모델과 기자들에게 유머를 익히고 용모를 밝게 꾸민다.
한편 뉴욕에 있는 데이비드는 건축 자재 회사 시장의 딸 엘리자베스와 사귀게 된다.
라이너스는 그 건축 자재 회사를 매입하여 합병하려고 정략 결혼을 주선한다. 가족 대
면식에서 명랑하고 끼 있는 데이비드는 엘리자베스 부모의 눈에 든다. 엘리자베스 어머
니는 기뻐하며 포토벨로 와인을 한 병 더 주문하여 건배한다.
이윽고 사진 작가가 된 사브리나는 뉴욕의 집으로 돌아온다. 이 날 라이너스의 집에
서는 그의 어머니의 생일 파티가 열리고 있었다. 사브리나는 시내에서 어머니의 생일
선물을 사러 나온 데이비드와 우연히 만난다. 데이비드는 사브리나에게 매료되어 파티
에 참석해 줄 것을 간청한다. 사브리나는 드디어 그토록 그리던 파티에 참석하였다. 파
티의 신데렐라가 되어.
파티가 무르익으면서 데이비드는 사브리나를 유혹하여 일광욕장에서 만나기로 한다.
데이비드는 샴페인 잔을 뒷주머니에 넣고 일광욕장으로 간다. 이때 라이너스는 데이비
드를 제지한다. 그 파티에는 엘리자베스의 부모가 참석하고 있었으므로 데이비드에게
엘리자베스의 부모를 접대하라고 지시한다.
당황하여 의자에 털썩 앉은 데이비드는 샴페인 잔이 깨져 부상을 입는다. 라이너스는
데이비드 대신 일광욕장으로 가서 사브리나와 함께 샴페인을 마신다. 라이너스는 사브
리나에게 이상한 매력을 느낀다. 전에 보던 평범한 사브리나가 아니었다. 지금까지 여
자들에게 매력을 못 느꼈던 라이너스는 자기의 감정에 대해 놀란다.
라이너스는 사브리나를 데이비드에게서 따돌리려고 해안가에 있는 별장으로 사진을
찍으러 간다. 피크닉을 가서 와인을 마시며 옛 이야기를 한다. 라이너스는 사브리나의
위트에 매료되어 점점 사랑에 빠진다. 뉴욕으로 돌아온 다음날 라이너스는 사브리나를
맨해튼으로 불러내어 연극을 보고 레스토랑에서 로제 와인을 마신다. 마침내 라이너스
는 사랑을 고백한다.
샴페인이 있는 가든파티 풍경이 아름다운 사랑이야기. 사브리나는 셰리를 마시고 사
모하는 마음을 내 보이고, 빈틈없는 사장 라이너스는 로제 와인을 마시고 사랑을 고백
한다.
술은 사랑의 매개체인가 보다.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
샤블리스 와인과 맥주를 한 잔씩 하며 가볍게 옆 사람과 담소를 나누고 있는 간이
레스토랑. 신문을 보며 간단한 스낵을 먹고 있던 미모의 엘리스에게 첫눈에 반한 마이
클은 엘리스에게 구애를 한다. 엘리스도 파일럿인 마이클에게 호감을 느끼고 사랑하게
되었다.
엘리스와 마이클은 결혼을 하고, 달콤한 신혼을 보낸다. 엘리스가 데려온 딸과 둘 사
이에서 낳은 딸과 함께 행복한 생활을 한다. 수년 후 결혼기념일에 시내의 멋진 레스토
랑에서 파티를 마치고 돌아와 잠자리에 들려할 때 엘리스의 주머니에 있는 자동차 경
보기를 건드려 경적이 울리기 시작했다. 이 경적 음을 듣고 발작을 일으킨 엘리스는 자
동차에 계란 세례를 퍼붓는다.
마이클은 이 광경에 놀란다. 그러나 술이 과해 주정이 심한 것이라 생각했지 알코올
중독자라는 생각은 못한다. 엘리스는 학교 선생이었다. 마이클은 엘리스가 일과 집안
일에 시달려 그렇다고 생각하여 여행을 다녀오기로 한다. 둘은 멕시코 해변의 휴양지에
서 멋진 하루를 보낸다. 이튿날 엘리스는 뭔가 자꾸 불안하여 맥주를 마신다. 한 병 두
병 마시다 보니 저녁때는 몹시 취하게 되었다. 그 날 저녁 엘리스는 보트에서 떨어진
다. 익사 직전 마이클이 간신히 구해냈으나 뭔가 심상치 않음을 느낀다. 엘리스는 다시
는 술을 마시지 않겠노라고 맹세를 한다.
집으로 돌아온 날부터 엘리스는 매일 보드카를 몰래 마신다. 어떠한 맹세도 소용이
없었다. 어느 날 직장 동료와 과음하고는 간신히 집에 돌아와 큰딸과 사소한 일로 다투
고 보드카를 병째 마신다. 그리고 샤워를 하고 나오다 중심을 잃어 유리문과 함께 쓰러
져 실신한다. 파일럿인 마이클은 비행을 취소하고 집으로 돌아와 사태를 간신히 수습한
다.
엘리스는 마이클에게 자기 아버지는 알코올 중독자였으며 자기는 9살 때부터 맥주를
마시기 시작했다고 고백한다. 일년 전부터는 매일 술을 마시지 않으면 안되었다고. 그
리하여 엘리스는 알코올 중독자 치료 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처음 3일간 엘리스는 죽을 것 같은 금단 증상과 외로움과 싸운다. 며칠이 지나자 병
원에 같이 있는 알코올 중독자들과 사귀게 되고 서로 같은 처지임을 이해하여 서로 의
지하게 된다. 매주 일요일마다 마이클은 아이들과 면회를 왔다. 마이클은 거기에서 알
코올 중독자 가족들의 모임이 있는 것을 알게 된다.
몇 주 후 엘리스는 퇴원하였으나 생활은 왠지 우울하다. 마이클은 엘리스가 하는 일
이 불안하여 사소한 일도 자기가 끼어 들어 해결한다. 엘리스는 그것에 더욱더 짜증을
내게 된다. 엘리스는 술을 마시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고 마이클이 자기의 자신 없는 내
면을 본다면 떠날까봐 걱정하게 된다.
마침내 그들은 별거를 한다. 엘리스는 걱정을 달래줄 술 생각이 간절하지만 이를 악
물고 하루하루 참으면서 지낸다. 이런 엘리스에게 단주회(알코올 중독자 모임)는 유일
한 위안이 되었다. 한편 마이클은 어떻게 하든 엘리스를 알코올 중독으로부터 구해내야
겠다는 생각을 한다.
단주회 모임이 있던 어느 날 드디어 엘리스는 자신의 내면을 고백한다. 자기는 알코
올 중독자로서 늘 불안하며 그래서 그것을 감추고 싶으며, 마이클이 있으면 더욱 강박
관념이 생겨 실수를 하게 되고 그러한 악순환이 지속된다고. 마이클을 사랑하므로 자기
를 더욱 감추게 되는 심정을 고백하고 다시 한번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제 모든 것을
털어놓고 새로운 생을 살 수 있다고 엘리스의 고백이 끝나고 박수 소리가 강당을 울릴
때 뚜벅뚜벅 뒤편에서 누군가 엘리스를 향해 걸어 나온다. 눈물이 글썽한 마이클이었
다.
삼국지의 주당들
난세는 영웅을 만들고 영웅들은 술 속에서 자신들의 포부를 밝히고 회한을 푼다.
동서양 고전 중의 고전인 삼국지에는 수많은 영웅들과 그들의 술자리가 등장한다. 필
자는 삼국지를 수시로 읽는데 여기에 나오는 술자리의 모양을 살펴보면 아주 재미있다.
이 술자리들은 그 의도에 따라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유비, 관우, 장비 3형제는 복사꽃 만발한 도원에서 하늘에 술을 올리고 스스로 술잔
을 나누면서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을 의를 맹세한다. 삼국지에는 수많은 전쟁이 일어
나는데 이때마다 출전에 앞서 파티를 벌인다. 대장은 미주를 내어 승리를 당부하고 선
봉장은 목숨을 걸고 적을 무찌르겠노라고 다짐하면서 건배한다. 이때의 술은 결심을 다
지는 것이다.
동탁은 자주 연회를 열었는데 이는 자신의 권세를 뽐내고 육체의 쾌락을 위한 술자
리였다. 여포 또한 처첩과 어울려 자주 술판을 벌였는데 같은 유형이었다. 주지육림, 경
국의 술 파티가 바로 이런 것일 것이다.
유비는 술과 여색을 은근히 좋아하는 애주가 타입이다. 평원 현령으로 있을 때 감가
장을 들락거리며 감부인을 사귀는데 매일 술을 마셨다. 또한 손권의 동생을 아내로 맞
고 반년 동안을 매일 술로 지낸 적이 있다.
방통은 조그만 현령으로 있을 때 100일 동안을 업무를 폐하고 술에 젖어 지내는데
이것은 세월을 달래느라고 마신 술이었다.
왕윤은 초선과 함께 여포와 동탁을 술자리에서 꾀어낸다. 몇 차례의 술자리 끝에 둘
을 이간하는 데 성공한다. 현대의 접대 술이 바로 이러한 유형으로 어떤 의도를 가진
사람이 술자리에서 상대방을 녹여 자신의 뜻을 관철하는 것이다.
허창에서 조조가 유비를 청하여 단독 술자리를 마련하여 천하의 영웅에 대하여 논하
였다. 주유가 제갈량을 청해 천하의 향방을 논하는 술자리를 만들었다. 이는 상대방의
의중을 떠보기 위하여 마신 술이었다.
관우는 화웅을 베고 돌아와 제후들 앞에서 술을 마신다. 조조는 전쟁이 끝나면 연회
를 열어 공로자들에게 술을 내린다. 이것은 축하의 술이다. 조조는 평화시에나 전장에
서나 자주 파티를 열고 부하 장수들과 술을 마시며 시문을 논하고 자기의 국량을 과시
한다. 적벽 대전 전야에 대취하여 악사를 베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한다. 완성의 장수를
토벌하러 갔다가 주색에 빠져 근위 대장 전위를 잃는 등 조조는 가끔 술이 과하여 실
수를 하나 곧 자기의 과실을 사과하여 국면을 전환시킨다.
조조의 이러한 음주는 비록 전시였지만 풍류의 술이랄까.
삼국지의 술꾼 중 가장 호탕한 인물은 장비일 것이다. 그의 술 이야기는 수도 없이
많다. 그는 술에 취하여 유비를 모욕한 독우(감찰관)를 나무에 매어 놓고 매질할 정도
로 의협심이 높았다. 술을 워낙 좋아하여 서주의 소패성에서 적군이 쳐들어오는데도 술
에 취해 싸워보지도 못하고 여포에게 성을 내어준 적도 있다.
유비가 제갈량을 얻은 후 그의 전술적 지략은 탁월하게 발전했다. 장비는 한중에서
장합과 겨룰 때 장합이 움직이지 않자 적을 유인하기 위해 매일같이 술독에 빠진 흉내
를 내었다. 그가 술 잘 마시는 것은 중국 천지에 소문이 파다한 일이었다. 이때 제갈량
은 유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잘 익은 파촉의 미주를 50동이나 보내어 장비의 책략을
돕는다.
과연 둘의 전법은 성공하여 장비는 대승을 거두고 장병들과 승전 주를 마음껏 마셨
다. 이 장면이 장비의 가장 통쾌한 술자리였다. 관우가 형주에서 죽자 장비는 원수를
갚는다고 전쟁을 서두르는데 전투에 앞서 대취하여 수하 장졸에게 살해당하였다. 이것
은 가장 애석하고 무모한 음주였다.
장비의 경우는 그저 술 자체를 좋아하여 마시는 술이랄까.
예이츠의 'Drinking Song'
20세기 전반 1,2차 대전을 통해 영문학 문단에서 꾸준히 사랑을 받은 시인 예이츠.
영국으로부터 아일랜드의 독립을 부르짖어 온 독립투사 예이츠. 북국의 호수와 자연을
찬미하고 그리워하며 현대인들에게 향수를 심어준 예이츠. 사랑과 인생을 노래한 예이
츠. 그의 삶과 꿈은 학생들의 기숙사 방에서, 생맥주 집에서, 포장 마차에서 취기가 거
나하게 오른 뭇 술꾼들의 술잔에 비쳐 회자된다.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구릉과 호수, 높은 하늘에 낀 낮은 구름들 관목 사이에 산
들거리는 바람. 호숫가의 두터운 돌담집, 그리고 구성진 노래 가락은 왠지 우리 정서에
들어맞는다. 이니스프리의 호도는 마치 우리 시골을 연상케 한다.
필자는 대학 시절 친구들과 한잔 할 때면, 보들레르의 '취하여라', 이태백의 '장진주',
그리고 예이츠의 'Drinking Song'을 즐겨 암송했다. 그중 보들레르의 모든 것에 함몰하
는 취기는 20대와 함께 버렸고, 장진주는 건강의 적신호와 함께 30대 말에 버렸다. 그
러나 예이츠의 Drinking Song은 40대에 들어서도 여전히 남아 있으니 인생의 열정과
애환 그리고 쓰라림을 관통하는 잔잔한 노래이기 때문이다.
한잔 들며 예이츠의 'Drinking Song'을 읊어 본다.
술은 입으로 들고
사랑은 눈으로 든다.
우리가 늙어서 죽기 전에
알아야 할 진실은 그것뿐.
한잔의 와인을 들며
그대를 바라보고 한숨 짓는다.
한국의 음주 문화 변천사
선조들의 음주 문화(선사시대~조선시대)
고대의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술을 마셨을까?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그리고 삼한의 농경의례 등 부족국가시대의 제천의식에는 마을 단위로 술을 빚어
음주와 가무를 한 기록이 있다. 술은 식량을 가지고 만들어야 하므로 식량이 남지 않는
한 서민들이 일상적으로 술을 제조하기는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대에는 일종
의 종교 행사로 추수 후에 전체 백성이 함께 술을 마시고 춤을 추며 놀았던 것 같다.
삼국시대에는 귀족 중심으로 술이 자가 제조, 소비되는 형태였다가 후기에는 귀족들
을 대상으로 술을 판매하는 업소가 생긴 것 같다. 김유신 장군이 드나들던 기생 천관녀
의 집에 대한 이야기는 신라시대에 귀족들 대상의 술집이 있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백
제의 의자왕은 삼천 궁녀와 주지육림 속에서 노닐었는데 결국 국가를 망하게 하였다.
이때의 음주 문화는 귀족들의 전유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통일신라의
원효 대사 이야기로 볼 때 특수 계층이 아닌 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술집도 생긴 것
같다.
원효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스스로 저자거리에서 술을 마시고 서민들과 어울렸다.
이것은 매우 파격적인 일로 간주되었다. 비단 승려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보통 사람들
이라도 당시 그런 일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를 국교로 하여 많은 사람들이 불음주계를 의식했을 것이기 때문
에 일반 서민들이 술 마실 기회는 거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송, 원나라로부터 양조
법과 증류법이 체계적으로 전해져 청주와 소주, 그리고 약미주가 발달하였다. 왕실과
무인들, 그리고 문인들은 다양한 술을 즐긴 것 같다.
조선시대에는 술 이야기가 풍부하다. 유교에서는 조상 숭배, 제례를 매우 중시하였는
데 이때 제물 중 술은 필수였다. 제사 후 식구들이 제주를 나누어 마시는 음복의 관습
은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사대부들뿐만 아니라 서민들에게도
술을 마실 기회가 많이 늘었다. 정월 대보름, 오월 단오, 칠월 백중, 팔월 한가위, 구월
중양절 등 절기 때마다 민속놀이와 함께 절기주를 마셨기 때문이다.
서민들의 농무가 어우러진 떠들썩한 음주 문화와는 대조적으로 선비들의 풍류 문화
도 발달되었다. 술과 시, 그리고 음악이 한적한 경관과 어우러진 야외 놀이가 선비들
사이의 여가를 보내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음주 문화라 하면 조선 중기에 정착된 향음주례를 모델로 삼아야
할 듯 싶다. 향음주례는 향교나 서당에서 가르치던 예법 중의 하나인데 세종과 중종의
계주교서를 근간으로 하였다. 술은 윗사람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들어야 하며, 자세와
위엄을 흐트러지지 않게 하며, 취하여 몸을 상하게 하거나 일을 그르치게 해서는 안된
다. 즉 조선시대에는 타인에게 실례를 범하지 않으면서 술을 마시도록 한 것이다.
허무 속에서의 술(1910~1960년대)
1910년 한일 합방 후 우리나라의 식자들은 나라를 잃은 우울과 통분을 삭히는 술을
마셨다. 문예지 '폐허'의 동인이었던 변영로 선생의 명정 사십 년의 한 구절을 보면 당
시 식자들의 음주 문화를 엿볼 수 있다.
나는 거의 술로서 일생을 보냈다. 그렇다고 새삼스레 울고불고 몸부림칠 까닭은 추호
도 없고, 일이 이렇게 된 바에야 나의 여생이 얼마나 될지, 변절을 개자식이나 돼지 손
자로 아는 이상, 끝끝내 한결같이 마시고 마시고, 꽃 꺾어 산 놓고 또 마시다가 마지막
날 도래할 때 의사나 용사처럼 기꺼이 죽을 뿐이다.
1909년 한일 합방 전해에 주세령을 시행했다. 일제는 1916년부터 강제 단속을 시작했
는데, 이른바 '술 상감'은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가양조를 말살시켰다.
이때부터 우리나라의 술은 개량식 약주 및 막걸리, 그리고 소주로 획일화되었다. 그
리하여 가난한 서민들에게 술 마실 기회도 줄어들었다. 또한 일제의 민족 문화 말살정
책으로 우리나라의 명절도 제대로 지킬 수 없었으므로 조선시대의 음주 문화도 이때
단절된 듯하다.
해방 후 미군의 주둔과 6,25를 통하여 서양 술이 선보였고, 이로 인하여 부유층들은
고급 양주를 선호하게 되었다. 서민들은 집에서 술을 담그기 시작했는데 조선시대의 명
주들은 사라지고 획일적인 개량식 막걸리가 주종을 이루었다.
6,25 이후에도 백성들은 정치적 불안과 가난에 시달렸다. 그리하여 이때의 술은 현실
을 잊게 해주는 역할을 했던 것 같다. 김진섭 씨의 주찬의 한 구절을 살펴보자.
술의 다른 이름을 소수소라 함은 실로 지당한 명명이니, 한잔을 마신 우리는 근심을
잊고 속취를 벗는다. (중략) 이리하여 우리가 이 각박한 현실의 한없는 근심과 괴로움,
그리고 뜻과 같지 않은 속에 살되 언제든지 속박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은 모두 술의 위
대한 은택이어니와, 우울의 안개가 자욱한 이 세상에서 술이 있다는 것을 생각만 해도
우리의 가슴이 한결 가벼워진다.
당시의 술은 시름을 달래 주는 약이었나 보다. '시름의 장'에는 모든 격식이 사라진
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와 서민들의 흥, 그리고 엄격한 취기 조절 등의 전통 음주
문화는 이렇게 해서 자취를 감추었다.
취함의 시대(1960~1970년대)
경제 개발로 한강의 기적을 일으키던 시절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부분이 송두리째 변혁을 겪었다. 사람들은 도시로 이동하였으며 의식주 생활 방식이 달
라졌다. 농경 문화에서 도시 산업사회 문화로 바뀌면서 사람들은 바빠지고 평가 기준은
능률이나 돈이 되었다. 외국과의 무역을 통하여 걷잡을 수 없이 들어온 미국식 문화도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 방식을 흔들어 놓았다.
이런 와중에 음주 문화도 대변혁이 일어나지 않을 수가 없었을 것이다.
우선 술의 공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면 단위마다 막걸리 양조장이 들어서고 생산
량이 해마다 늘었다. 1965년부터는 정부의 양곡 정책으로 쌀이나 보리 등의 곡물을 술
의 원료로 쓸 수 없게 되어 희석식 소주가 대량 공급되었다. 서민들은 값싼 소주를 주
로 마시게 되었으며 점차 경제 수준이 높아지면서 각종 행사에 술을 넘치도록 내놓는
것이 관례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때부터 폭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생긴 것 같다. 음주 문화는 짧은 시간에 술을
연거푸 들이키는 형태로 바뀌었다. 한편 전통적 가치관이 힘을 잃어 가면서 술 취한 후
의 행동에 대해서도 대단히 관대해졌다. 조선시대의 술좌석에서는 용납될 수 없는 행동
도 아무런 제재 없이 행해졌다.
매스컴을 통한 술의 광고나 선전 활동도 사람들의 폭주에 많은 기여를 한 것 같다.
술 마시는 것에 대한 제약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의 대민 정책 중 하나에는
'술 마시고 심각한 정치 문제는 잊어 버리라'는 것도 있었다. 주세에 있어서 막걸리와
소주는 서민의 술로 취급을 해왔다.
70년대 초반 히트를 친 '한잔의 술'이라는 대중가요 가사를 보면 당시 음주 문화를
짐작할 수 있다. '마시자 한잔의 술, 마시자 마셔 버리자' 걱정을 쓸어버리자는 것이었
다. 급작스레 단절되어 가는 전통의 가치관과 새시대의 문화적 충격 속에서 생기는 고
민을 술로 씻어버리기 위해서는 통음이 필요했나 보다.
당시 한국 사람들의 눈에는 술이 어떻게 비쳤을까? 마시면 취하는 것이었을까. 취하
면 골치 아픈 일을 잊는 것이었을까.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70년대 중반 필자가 대학을
다닐 때는 대학의 체육 행사나 축제 등에 술이 널려 있었다. 누구나 술을 마시는 게 인
사처럼 되었고 그것도 빨리 많이 마시는 게 잘하는 것인 양 여겨졌다. 바로 앞 세대의
사람들이 먹는 것이 충분치 않아 실컷 먹어 보는 것이 소원이었던 시대적 보상 심리에
서였을까.
직장인들과 자영업자들은 경기 호황의 붐을 타고 사업상 술을 마셨다. 팽창되는 인력
수요와 일감을 맞추기 위하여 늦게까지 일하고 나서 짧은 시간에 술을 마셔야 되기 때
문이었나 보다. 더구나 당시에는 밤 12시부터 아침 4시까지 통행 금지였는데 이것이 폭
음을 조장하는 데 일조 했을 것이다.
당시의 지식인들 중 반체제 인사들은 군사 독재에 항거하여 술을 마셨다. 그들은 마
치 일제 시대의 우국지사들이 느꼈던 것 같은 분노를 삭이기 위하여 술을 폭음했다.
저항인 들의 대변자들이었던 소위 창비 문인들은 하루에 소주 2~3병 마시는 것이 일상
사였다 한다.
이때 주로 마시던 술은 막걸리, 소주였다. 70년대 말에는 맥주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
었다. 전통 주막과 소주집에서 서구화된 맥주집이 늘어났고 가정 소비도 꾸준히 늘었
다.
60~70년대는 경제 도약과 더불어 술을 마구잡이로 마신 취함의 시대라 생각된다.
#폭탄주
80년대 중반 위스키가 접대주로서 자리를 잡아가면서 유행했다. 맥주 잔에 위스키를
채운 숏 글라스(shot glass: 50ml 정도의 작은 잔)를 넣고 그 위에 맥주를 부어 한번에
마시는 것이 폭탄주이다. 바이어들은 이것을 번역하여 'bomb shot'이라 한다. 잘 안 풀
리는 수출 상담도 bomb shot으로 공격한 뒤 이야기하면 술술 해결이 되었다 한다.
원샷과 완샷이 'one shot'에서 유래된 것처럼 폭탄주도 사실은 미국의 'boiler maker'
에서 유래되었다. boiler maker는 미국 동부의 부두 노동자들이 맥주에 위스키를 섞어
서 마시는 것이다. 노동자들이 짧은 시간에 확실히 취하려 할 때 마셨을 것이다.
접대 음주 시대(1980년대)
80년대에 들어 대중주인 막걸리의 소비량은 해가 갈수록 줄어들고 맥주의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또한 진, 보드카 및 위스키의 소비량이 급격히 늘었다. 특히 이때
의 특징은 주류 소비의 고급화가 진행되었고 접대주의 비중이 커진 점이다.
고급 술집은 삼국시대로부터 서민들과는 상관없이 면면이 이어져 내려왔다. 이곳에서
권세가들이 정치적 담론을 해왔고 그들만의 여흥을 즐겼다. 그러나 70년대 말부터 이런
식의 술집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니 바로 룸살롱이다. 특수 계층만 드나들던 고급 술집
에 대중이 드나들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제반 법규정은 시대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경제적인 성
취에 대한 사회 문화적인 뒷받침이 없어 배금주의가 판을 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파생
된 것이 바로 비뚤어진 접대 문화가 아닌가. 합리적인 방법으로는 일이 처리되지 않으
니 향응을 베풀어 뒷거래를 하여 일을 성사시키기 위함이다.
접대주는 최고의 술과 최고의 서비스를 요한다. 따라서 당시 최고의 술이던 위스키와
접대부의 수요가 급증했다. 접대부 조달을 사고 인신매매가 큰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기
에 이르렀다. 80년대에는 룸살롱, 스탠드바, 카페 등의 업태가 많이 늘었다. 이 모든 업
태에는 접대 여성이 들끓었다. 1988년 올림픽을 전후하여 한국인들의 문화가 크게 변화
했다. 정치적으로는 1987년 6,29 선언으로 군사 독재가 크게 약화되어 국민들의 요구는
거세졌다.
부동산 가격이 치솟아 근검절약의 미덕은 절벽 같은 절망에 부딪치게 되었다. 근로자
들은 더 이상 양순한 무리가 아니었다. 게다가 올림픽 이후 사회 개방으로 사람들의 가
치관은 소비 지향적으로 바뀌었다.
음주에 있어서도 사람들은 무절제한 폭음을 일삼았다. 주류 판매 업소는 더욱더 고급
화, 대형화되었다. 사람들은 술의 참 맛을 즐기기보다는 술을 통해 허영과 과시를 드러
내기 위해 음주를 하였다. 80년대의 음주 문화는 거품에 들뜬 사회가 만들어 낸 뭔가
비뚤어진 허구였다. 우리나라의 음주 문화사에서 가장 퇴락한 시대였다고 생각된다.
신 음주 문화의 형성(1990년대)
90년대에 들어서 우리나라의 음주 문화는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1991년 주류의 수입
개방으로 세계의 술이 밀려왔다. 고급 위스키나 브랜디로부터 값싼 와인과 맥주에 이르
기까지, 따라서 사람들은 세계 유수의 술에 대하여 많은 경험을 하게 되었다. 한편 해
외 여행의 자유화로 사람들이 세계 각지의 음주 문화를 접할 기회가 늘어났다. 즉 우리
의 음주 문화도 세계화되어 가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30여 년 동안 성장과 개발 일변도로 치달아 온 한국 국민들은 점차 환경과 건강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식문화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제 음식에 대한 인식이
양에서 질로, 영양에서 다이어트로 변화하였다. 술을 마실 때도 건강을 생각해서 덜 마
시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는 마이 카 붐(my car boom)도 한몫을 하고 있다. 90년대에 불어닥친 마이
카 붐으로 1995년에 이르러서는 전국이 주차장으로 변화했을 정도이다. 이에 따라 음주
와 운전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상황이 비일비재하게 되었다. 음주 운전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 결과이다.
정부의 주류 정책에도 변화가 많았다. 1996년 모든 술에는 건강에 대한 경고 문구를
기재하도록 국민건강증진법에 규정을 하였다. 1993년에는 알코올 농도가 17%이상인 술
은 전파 매체(TV나 Radio)를 통한 광고 선전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이 밖에 주류 판매
업소 영업 시간의 제한 등 주류의 과소비를 진정시킬 수 있는 정책을 쓰고 있다.
그리고 한국 경제의 구조적 불황으로 말미암아 소위 거품 경기가 사라지면서 사람들
은 점점 실속을 찾게 되는 것 같다. 주류 판매 업태도 룸살롱에서 좀더 개방적이고 저
렴한 형태로 많이 이전되고 있으며, 접대부의 고용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양상이다.
가족 관계의 변화도 음주 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보편화
되면서 여성 음주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다. 오늘날 여성을 상대로 한 술과 담배의 광
고가 많이 눈에 띄는 이유는 술과 담배 시장에서 여성 고객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왜 여성이 소비하는 술의 양이 점점 늘어가는 것일까? 경제 개발과 함께 최근 30년
동안 가정과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가 변화했다. 몇 가지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전보다 직장을 갖는 여성들이 많아졌으며 수입이 남성들과 비교하여 상대적
으로 상승되었다. 따라서 여성들이 돈에 구애받지 않고 술을 마실 수 있게 되었다.
둘째, 국제화와 아울러 주류 수입이 개방되고 여성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술이 늘어났
기 때문이다. 70년대 말까지만 해도 막걸리와 소주가 주도하던 주류 시장이 90년대에는
맥주와 포도주, 그리고 양주류의 비중이 매우 커진 형태로 개편되었다. 또한 여성들이
선호하는 맥주와 양주류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낮아져 여성들의 술 소비가 늘게
되었다.
셋째, 이러한 경제적 여건 못지 않은 이유는 전에 비하여 여성들이 술을 마시는 것에
대하여 사회적 인식이 매우 관대해졌기 때문이다. 만일 20~30년 전에 남편이나 연인을
동반하지 않은 여성들이 술집에 갔다면 사람들이 색안경을 끼고 보았을 것이다. 그 당
시 해수욕장에 비키니를 입은 여성이 동네 노인에게 종아리를 맞은 일과 마찬가지이다.
물론 지금은 여자들끼리 술집에 가는 일이 하나도 이상할 게 없다. 여성들의 음주에
붙어 있던 편견은 전반적으로 사라졌으며, 술집들도 여성들의 구미에 맞게 변화하고 있
다.
일반적인 사회 경제적 이유와는 별도로 여성이 술을 더 찾게 되는 개별적인 문제가
있다. 여성들은 가정과 사회 활동 사이에서 남성 못지 않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여성이 가정 일을 하면서 육아를 담당하던 전통을 버린 죄책감, 즉 '빈 둥지 신드롬'
을 느끼는 여성은 훨씬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술을
찾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여성들의 음주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
망이다.
신 음주 문화의 특징은 여성 음주 인구의 증가와 함께 단순히 취하기 위한 폭음이
줄고 생활의 여유와 멋을 창출하는 음주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음주의 감성 시대
로 진입한다고나 할까.
건전한 음주 문화
'언터처블(The Untouchables)' 이라는 영화가 있었다. 미국의 대공황 당시 금주법을
어기고 술을 제조 판매하여 막대한 수익을 올리던 밀조단과 이를 분쇄하려는 검사와의
숨막히는 대결상을 그린 영화이다.
당시 미국 전역에서는 금주법으로 말미암아 술의 제조 판매가 금지되어 술 거래는
마치 마약 거래와 같이 취급되었다. 자유의 신천지인 미국에서 어떻게 금주법이 생겨났
을까?
1920년대 말 미국은 대공황에 휩싸였다. 그때만 해도 여성들의 사회 활동이 별로 없
었기 때문에 음주는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다. 아마 당시의 미국 남성들은 서부 영화에
등장하는 장면처럼 바에서 위스키 병나발을 불고 난폭한 행동을 일삼았던 모양이다. 경
제난과 술주정에 화가 난 여성들은 일치 단결하여 금주법을 발의하고 통과시켰다.
그러나 상황은 여성들이 뜻했던 대로 전개되지는 않았다. 술을 못 마시게 된 서민들
은 우울증에 걸려 집에서 말을 한마디도 하지 않거나, 툭하면 폭력을 일삼게 되었다.
또한 언터처블에서와 같이 주류 밀매조직이 생겨났고 마약까지 창궐하게 되었다. 그러
자 여성들은 차라리 옛날이 낫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결국 금주법은 폐기되고 말았다.
우리나라나 중국의 역사에도 금주령이 시행된 일은 여러 번 있었다. 세종대왕은 계주
교서(술의 폐단을 경계하는 글)를 인쇄하여 전국에 포고한 적이 있는데, 대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술을 만든 것은 천지신명을 받들기 위해 제사를 지내거나 손님을 접대하고 친목을
가르치기 위하여, 또는 늙은이를 봉양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사람들이 예를 무시하여
풍속이 심히 우려할 만큼 나빠져 술로 인한 화가 심하게 되었다. 그 폐해는 곡식을 없
애고 재물을 허비하며, 안으로는 마음과 뜻이 흐려지고 밖으로는 위신과 예절을 잃어서
작게는 건강을 해치고 집을 망치며 크게는 기강을 문란하게 하여 나라를 망친다. 그러
므로 대소 신민들은 전 사람들의 득실을 보아서 술 마시는 것으로 일을 그르치지 말며,
지나치게 마시어 병이 되게 하지 말며, 각각 행동을 조심하여 예절을 잃지 말고, 술을
삼가 좋은 풍속을 이루게 하라. <장헌 대왕실록 제 62권)
이 같은 포고문은 가뭄으로 흉년이 드는 해에는 약방에 감초처럼 등장하곤 했다. 그
러나 금주령은 얼마 지나지 않아 폐지되곤 했다. 금주령이 지속되지 않는 것은 술이 사
회적으로 꼭 필요한 존재라는 사실을 반증하는 현상이 아닐까?
동양의학에서 술을 '백약의 으뜸'이라고 부르는 것이나 서양에서 증류주의 어원이 '생
명의 물'이라는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술은 개인에게, 그리고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일까?
여럿이 모였을 때 처음에는 서먹서먹하다가 술이 한 순배 돌면 분위기가 부드러워지
고 편안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음식과 잘 맞춰 마시면 식욕을 돋우고 소화도 잘 되게
한다. 피곤할 때 술 한잔하면 생기가 돈다. 잠자기 전에 가볍게 술 한잔하면 잠이 잘
온다. 술을 마시면 쌓인 스트레스가 풀린다. 술 자체의 맛과 향이 좋아서 술을 마신다.
술을 마시면 무료와 권태가 사라진다. 술은 골치 아픈 일을 잊게 해준다. 성적 매력을
더해주며 쾌감을 높여 준다. 자신감을 부여해 준다. 남들이 마시므로 습관적으로 마신
다. 남들이 권하기 때문에 마시지 않을 수 없다 등등 술 마시는 이유는 많기도 하다.
그런데 음주자가 당초 생각했던 목적의 달성 여부는 결국은 자신의 음주 습관에 달
려 있다. 예컨대 술을 적당히 마시면 우울한 마음이 가벼워지지만 과음을 하게 되면 더
욱더 우울해진다. 즉 술도 약과 같아서 적당량을 마시면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과음
하면 부작용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술로 인해서 손해를 보는 경우를 살펴보자. 처음에는 분위기가 부드러워지나 그 중
한 명이라도 술이 취해 주정을 부리게 되면 술좌석의 분위기는 일순간에 깨지고 만다.
과음을 지속하면 간장, 위장 등의 장기 손상을 가져오고 신경계통도 점차 손상을 입게
된다. 과도한 술값 지출로 경제적으로 쪼들리게 되고 술에 취하여 헛된 약속을 하여 신
용을 잃는다.
잦은 과음으로 가정에 불충실하여 가정의 화목을 깬다. 일이나 운전을 하기 전에 술
을 마셔 안전사고나 음주운전 사고를 낸다. 범죄를 쉽게 저지를 수 있다. 임신한 여성
의 경우 비정상아를 출산할 수 있다. 알코올 중독자가 될 수 있다 등등. 이렇게 보면
술로 인한 이익 못지 않게 손실도 크다.
이처럼 음주로 인한 이익과 손해를 따져서 음주에 따른 손익 계산서를 작성해 볼 수
있다. 물론 이런 항목들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술 마시는 사람
들 자신이 음주로 인하여 이익을 얻는지 손해를 입는지는 스스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
다.
영국,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음주로 이익을 보는 사람이 전체 음주자의 95% 이상이
라는 통계가 나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음주자들 가운데서 이익을 본다고 자신할
수 있는 사람이 절반이나 될까 모르겠다.
이와 같은 손익은 비단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가령 음주운전의
성행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는 실로 막심하다.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사람이 술을
마시고 잘못 판단할 경우는 커다란 사회적 혼란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적절
한 음주를 통하여 개인간의 사귐이 촉진되고 사회 분위기가 부드러워져 사회가 안정되
고 풍요로워질 수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의하면 과도하게 술을 마셔서 손해를 보
거나, 알코올 의존 현상이 있는 사람은 15세 이상의 국민 가운데 약 10%라고 한다. 또
이로 인해 초래되는 노동력 감소, 보험료, 성인병과 암 치료비에 든 비용은 1995년에만
약 4조 1천억 원으로 추계 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개개인이 음주의 손익 계산서에서 흑자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
까?
우선 스스로 그 날 마셔야 할 마지막 잔을 알자. 즉 자기 스스로 주량을 조정해야 할
수 있어야 한다. 누가 어떻게 권하건 자기의 상태는 자기가 알 것이므로 이것이 그 날
마실 마지막 잔임을 술 권하는 사람에게 정중히 알려 단호한 자기 컨트롤 의지를 표시
해야 할 것이다.
주선인 이태백의 시에 이런 구절이 있다.
벗과 둘이 앉아 술잔을 기울이노라니 산꽃이 저절로 피네
한 잔 또 한 잔 흥취가 무르 익었네
이제 내 취하여 잠이 오나니 그대는 그만 돌아 가게나
또 한 잔 생각나면 거문고 안고 오게나
자기가 취해 쉬고 싶으니 더 이상 마시지 말고 다음을 기약하자는 정중한 표현이다.
자신의 일은 자신이 결정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 아닌가.
둘째, 술을 천천히 마시자. 필자는 증류학을 배우기 위해 스코틀랜드에 유학한 적이
있었다. 생활의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틈틈이 술집을 들리곤 했는데 그 풍경이 우리의
술집 풍경과는 매우 달랐다.
또한 우리나라 술집에서는 오로지 술만 마시는 데 비하여 영국에는 대개 다트(Dart)
나 포켓 당구(Pocket Billiards) 등의 게임기가 있어서 술 한잔 시켜 놓고는 담소를 즐
기기도 하고 일어나 당구를 치기도 한다.
우리 것은 버리고 남의 것을 무조건 따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술에 만취하는 것이
모임의 목적이 아니라면 지나치게 빨리 마시거나, 무조건 상대방에게도 술을 권하는 습
관은 버려야 할 것이다.
셋째, 술이 아니라 술 마시는 분위기 자체를 즐기도록 하자. 술병, 술잔의 조형미를
감상하고 술의 향기를 맡으며 술맛을 음미한다면 한층 운치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자
연 속에서라면 더더욱 좋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의 선조들은 술을 마시면서 풍류와
운치를 즐길 줄 알았다.
잔 들고 혼자 앉아 먼 뫼를 바라보니,
그리던 님이 온들 반가움이 이리하랴...
<고산 윤선도의 산중신곡 중에서>
진정한 음주의 풍류란 '취하더라도 몸가짐이나 마음 자리를 결코 흐트러뜨리지 않으
며', '남에게 절대로 무례를 저지르지 않는' 예절, 즉 주도를 지키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
다. 이런 점에서 우리의 선조들은 진정한 풍류를 즐길 줄 알았던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자연스레 폭주가 사라질 것이며, 적당한 음주로 인하여 육체적, 정신
적으로 건강해질 것이다.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의하면 술을 적당히 마시는 사람들은
술을 안 마시는 사람들보다 평균 수명이 길다고 한다.
한 집단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의식 및 행동 양식을 문화라고 본다면 음주 문화
는 음주에 대한 그 사회의 인식과 음주행태를 일컫는다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최근
음주 문화는 전통적인 음주 문화나, 혹은 다른 나라의 음주 문화와 비교할 때 그다지
건전한 것이 못된다.
건전한 음주 문화란 적절한 때, 건전하다고 인정되는 장소에서, 적당한 양의 술을 즐
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음주가 개인이나 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고 즐거움과 활
력을 주는 생활의 한 양식으로 자리 잡을 때 비로소 건전한 음주 문화가 꽃 피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술 취한 사람의 유형
-다변형: 속에 있는 말을 가리지 않고 다 한다.
-숙면형: 술만 몇 잔 들어가면 고개를 숙이고 잔다.
-울보형: 술만 마시면 세상의 슬픔을 다 끌어안은 사람처럼 대성 통곡을 한다.
-만용형: 같이 술자리를 하고 싶지 않은 최악의 주정뱅이로 술만 들어가면 폭언과
폭력을 휘두른다.
-쾌활형: 보통 때는 평범한 사람이 술을 마시면 아주 쾌활해진다.
-분위기 조성형: 좌중의 분위기를 재치 있게 리드하며 다른 사람들의 기분도 좋게
만든다.
한편 영국의 극작가 토머스 머틴은 <술 취하는 방법의 8가지 패턴>을 제시하였는데
유쾌하게 춤추면서 마시는 '원숭이형', 난폭한 '사자형', 곧 잠들어 버리는 '돼지형', 이치
를 따지려 드는 '양형', 사소한 일에도 감동하여 우는 '기숙사형', 제정신이 있다고 가장
하는 '성 마틴형', 호색적으로 되는 '산양형', 자꾸 남에게 술을 권하는 '여우형'이 있다
고 한다.
그럼 여러분은?
#즐거운 음주법
1. 자기의 주량을 관리한다.
평소 자기의 주량을 파악하고 그 날 마실 목표를 세운다.
마지막 잔을 압시다.(주선의 첫 걸음)
벗과 함께 술잔을 기울이노라니 산 꽃이 저절로 피네
한잔 또 한잔 흥취가 무르 익었네
내 취해 이제 쉬려니 그대 그만 가게나
더하고 싶으면 내일 아침 거문고 안고 오게나
2. 술자리를 같이 하면서 덜 마시는 방법을 익힙시다.
- 오관을 다 동원합시다. (색깔, 향, 미, 촉)
- 천천히 듭시다.
- 많은 대화를 나눕시다.
- 작은 잔으로 여러 모금 나눠 듭시다.
- 술을 권하지 맙시다.
3. 쉽게 과음하는 환경을 피합시다.
- 누구와 (김주사...)
- 어느 특정한 장소에서 (남행 열차...)
- 특정한 때 (금요일 날...)
4. 술을 권하지 맙시다.
- Round 주법
- 싫으면 거절합시다.
5. 고도주는 on the Rocks 로 마시든 가 칵테일로 마신다.
야누스의 두 얼굴
백약의 으뜸
사회의 윤활제
술을 마시는 사람은 많지만 술의 영향에 대하여 올바른 상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의외로 드물다.
필자가 2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로는 술이 약리적으로 자극제나 흥분제라
고 답한 사람이 전체의 70%를 넘는다. 아마도 술 취한 사람들이 흥분하거나 싸우는 모
습을 본 경험에서 짐작으로 한 응답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술은 의학적으로 진정제의 일종이다. 즉 술을 마시면 평소에 억눌려 있던 감
정을 이완시켜준다. 또 술은 공포감이나 경계심을 없애주고 열등감도 완화시켜 준다.
누군가에 대한 증오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술을 마시면 상대에 대한 미움의 감정이
느슨해져 화해를 하게 되기도 한다. 자기의 내면이 남에게 드러나는 것을 두려워하는
사람이 술을 마시면 두려움이 눈 녹듯이 녹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기 본연의 모습
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술의 진정 작용이야말로 많은 사람들이 술을 찾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
다. 술을 마시면 평소의 꽉 짜여진 생활로부터 해방되는 느낌을 갖게 된다. 여느 때 같
으면 애지중지하던 대상을 두고도 '그까짓 것!'하고 대범해지는 이유가 생길 수도 있다.
즉 술은 아집의 굴레를 벗어버리는 촉매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 성적으로 처리해야 할 일을 술의 힘을 빌어서 하자는 말은 아니다. 여하
튼 많은 사람들이 자기가 쌓아 올린 성에 갇혀서 다람쥐 쳇바퀴 도는 것처럼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인지 예로부터 축제의 자리에는 반드시 술이 있었다. 사람들이 자신의 성을 헐
고, 평소에 두텁게 쓰고 있는 가면을 벗어버리는 데는, 그리하여 인생의 즐거움을 만끽
하는 데는 술이 그만 이라는 것을 알아서였을까?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술잔을 나누며 이런 얘기, 저런 이야기를 주고받는 사이 자
기도 모르게 상대에 대한 경계심이 누그러지고 서먹서먹하던 분위기가 부드러워진다.
그리하여 협상의 장소에는 반드시 술이 끼었다. 국가 원수들간의 정상회담에서부터
사업상의 상담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연인들끼리 서로를 이해시키고 싶을 때도 으레 술
이 한자리를 차지하기 마련이다.
상대방의 심리를 읽기 위해서 술을 마시는 경우도 있다. 사람이 술에 취하게 되면 평
소 자아를 누르고 있던 억제력이 약해져서 자기도 모르게 자기의 진심을 드러내게 된
다. 그래서 '취중 진정발'이란 말이 있는 것이다.
지나치지만 않는다면 술은 마시는 사람에게, 또는 그가 함께 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이로움을 준다. 술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 보라. 술이 없는 연회를 상상해 보라. 만약 어
느 날 갑자기 술이 없어진다면 이 사회는 얼마나 메말라질까?
적절한 음주는 삶에 기쁨을 주며 외로움과 권태를 달래주고 무엇보다도 사람들 사이
를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술의 가장 으뜸가는 사회적 역할을 스트레스를 풀어 인간관
계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윤활제로서의 기능이라고 하겠다.
영감의 촉진제
시인이나 소설가, 혹은 음악가나 화가들 가운데 유난히 술을 좋아하거나 술을 예찬한
사람들이 많은 것은 무슨 이유일까?
술 그 자체가 창의력을 주거나 어떠한 예술적인 능력을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
상 생활 속에 억눌려 있던 인간의 상상력이나 창의력이 술이라는 창을 빌어 발현될 수
있다. 술 자체가 영감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술은 잠재되어 있는 예술가의 예술성이 발
현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셰익스피어는 유명한 희곡 '헨리 4세'에서 술과 영감의 관계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
좋은 셰리는 2가지 선물을 한다. 취기가 오르면 머릿속에 도사리고 있던 권태롭고 천
박한 독기를 말끔히 사라지게 하고, 상상력에 불을 지펴 불꽃이 탁탁 튀는 재미있고 기
발한 생각으로 가득 채워 준다. 그것이 목소리를 타고 밖으로 유람을 하면 혀를 찰 만
한 위트로 넘치지 않겠는가!
아마도 셰익스피어는 술잔을 기울이면서 대목마다 기지와 유머가 번뜩이는 명문을
집필하지 않았을까 싶다.
조선시대의 3대 화가 중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장승업은 종종 대궐에 들어가 그림을
그리곤 하였는데 술을 마시지 않으면 그 발랄한 상상력이 다 허물어진다고 했다. 그의
그러한 습성을 잘 알고 있던 민영환 대감은 그에게 그림을 그리게 할 때는 반드시 술
을 준비했다고 한다. 평상시에는 엄격한 유교적 윤리와 행동 규범이 기계적인 태도를
갖게 하지만 일단 술을 마시면 사물의 모습이 그대로 눈에 들어오고 창의력이 샘솟아
나는 것이다.
대개의 예술가들은 이지적인 면(IQ)보다는 감성적인 능력(EQ)이 발달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돈을 벌거나 권력을 얻는 데는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한 그
들에게 술은 이성을 허물어뜨리면서 그들에게 천부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예술적 감성
을 북돋워 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은 언어의 마술사 보들레르가 술에 대해 평한 것이다.
어느 땐가 만일 철학으로 가득 찬 의사가 나타난다면,
그렇다면 그는 술에 대한 위대한 저술을 하리라.
그것은 술과 사람, 양자의 합작으로 빚어지는 이중 심리에 대한 연구.
그는 이 음료가 무엇 때문에 사람의 인격과 사상을 고양시킬 수 있는가를 밝힐 수
있으리라.
심장병의 예방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망 원인 가운데 위암이나 간암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다. 그러나 80년대 말부터는 고혈압으로 인한 뇌졸중이나 심장병 등 순환기 계통의 질
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들 순환기 계통의 질환은 대부분 과잉
영향 섭취나 운동 부족으로 인해 발병하는 것으로 선진국형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미
국, 영국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성인들의 사망 원인 가운데 심장병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이들 국가에서는 현재 심장병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주로 프랑스나 독일의 와인 제조자들에 의해 제기된 "와인을 적당히 마시
는 사람의 경우 심장병 발병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크게 낮다."는 연구 결과가
심심치 않게 매스컴에 보도되고 있다. 지난 1997년 봄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레드 와인
의 수입과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는 장수의 비결에 관한 어느 TV 프로에서 '레드
와인을 적당히 마시는 것이 장수의 비결'이라고 보도한 후 일어난 현상이다. 최근에는
일본이나 홍콩, 대만 등지에서도 이와 유사한 보도가 있었고 이것이 수입 와인의 가격
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까지 작용하고 있다.
캐나다 존스 홉킨스 대학의 연구 결과 "맥주를 적당히 마시는 사람들이 그러지 않은
사람들보다 병원 신세를 질 확률이 13%나 낮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 또 하와이의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맥주를 적당히(하루 1,500cc 이하) 마신 사람이 다른 사람들보
다 심장병 발병률이 훨씬 낮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이나 심장병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비중과 크게 관련되어 있다
고 알려져 있다. 혈액 속에는 두 가지 타입의 콜레스테롤이 있는데 저비중의 리포 단백
질과 결합하는 A형과 고비중의 리포 단백질과 결합하는 B형이 있다. 이 두 가지의 콜
레스테롤은 몸 속에서 정반대의 작용을 한다. 즉 A형의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를 촉진
하고 B형의 콜레스테롤은 오히려 동맥경화를 방지해 주는 것이다.
그런데 술을 마시게 되면 알코올이 혈중의 B형 콜레스테롤의 비중을 증가시킨다. 따
라서 적절한 음주는 심근경색 등의 질환을 예방해 주는 것이다. 또한 알코올은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고 혈류를 부드럽게 만들어 주기도 한다.
물론 이런 역할은 적당한 양의 술을 마셨을 경우에 해당된다. 과음을 하게 되면 심장
에는 다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지 모르지만 다른 장기들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기
때문이다.
청주 목욕법
한국 프로야구 사상 22연승이라는 불멸의 대기록을 세운 불사조 박철순 투수, 그는
OB 베어스 팀에게 프로야구 원년의 우승이라는 영예를 안겨주었다. 그러나 그 해의 지
나친 혹사로 그는 허리를 쓰지 못할 만큼 심한 척추 디스크 증세를 얻게 되었다.
오랫동안 고생하던 그는 우연히 일본에서 유행하는 청주 목욕법을 권유받았다. 청주
목욕을 장기간 시행한 결과 (물론 수술 등 다른 치료법을 병행하기도 했지만) 다시 마
운드에 서게 되었고 40세 이후까지도 투수 생활을 지속하는 흔치 않은 기록을 보유하
게 된 것이다.
청주 목욕법은 아주 간단하다. 욕조에 따뜻한 물을 받고 청주 한 되(1.8리터)를 부으
면 청주 목욕 준비가 완료된다. 이때 목욕물의 온도는 42도 정도가 적당하다. 탕에 들
어가 5분 정도 몸을 덮힌 다음 탕 밖으로 나와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는 일을 2~3회 반
복한다. 첫 번째의 청주 목욕에서는 모공 속에 낀 때까지 우러나오기 때문에 목욕물이
더러워져 한번 쓰고는 물을 버려야 하지만 두 번째부터는 2~3차례 써도 무방하다.
청주 목욕은 여러 가지 병에 효험이 있지만, 특히 위장병과 변비에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청주 욕조에 들어가 지속적으로 배를 지압해 주면 내장에 쌓인 노폐물
이 완전히 배설되어 마치 단식을 한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하체가 차지는
냉증이나 류머티스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여성의 피부미용이나 그밖에 다양한 만성
질환에도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청주 목욕이 이러한 효과를 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알코올은 지용성, 즉 기름을 녹이
는 성질이 있어서 청주 목욕을 하면 땀샘이나 모발에 끼어 있는 때가 녹아 나오게 된
다. 또 청주에 함유된 비타민 B6는 항 피부염 효과가 있어 피부에 이로운 효과를 낸다.
그러나 이 정도의 화학적 특성만으로 어찌 신비한 효험을 설명할 수 있을까?
예로부터 도교의 도사들은 만물에는 그 나름대로의 기가 있다고 믿었다. 그런데 물
속의 기는 물을 끓일 때 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술을 부으면 술의 기가 인
체에 있는 기의 흐름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병을 물리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면 전신에 퍼져 있는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
아서 그 부분에 이상이 발생하는데 청주 목욕은 바로 이러한 모세혈관의 혈류의 이상
을 정상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귀한 청주를 목욕하는 데 써 버린다고 하면 술꾼들의 입장에서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그러나 청주 목욕을 통해 술의 기를 얻고, 그것으로 질병에서 해방될 수만
있다면 술을 마심으로써 정신적인 위안을 얻는 것이나 다를 바 없을 것이다.
특별히 아픈 데는 없는데 심신의 피로를 심하게 느끼는 사람이나 박철순 투수처럼
불사조 같은 투혼을 가꾸고 싶은 사람들은 시험삼아 청주 한 되로 시원한 청주 목욕을
즐겨 보는게 어떨까?
#숙취 해소법
숙취의 원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그 해결책도 확실한 것이 없고, 알코올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부작용이라 추측되므로 알코올을 빨리 완전히 분해시키는 것만이
해결책으로 보인다.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키는 조효소가 콩나물이나 칡꽃 등에 많다고 한다. 콩나물국이
나 북어국을 먹는 것도 이것들이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 아닌
가 한다. 전래되는 것으로는 칡뿌리와 칡꽃을 바탕으로 하여 여러 가지 약재를 가미한
만배불취단 등의 약이 있다.
또 하나의 방법은 계속 알코올을 섭취하는 것이다.
약주 몇 가지
백세주를 만든 노인에게는 못 미치나 실존 인물로서 술과 장수한 스코틀랜드의 토마
스 파(Thomas Parr) 옹이 있다. 그는 15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152세까지 산 기인이
었다. 그는 80세에 처음 결혼하였으며 102세에 재혼하였다. 당시 국왕이던 찰스 1세는
그를 초대하여 후하게 대접하였다. 당시 유명한 궁정 화가 루벤스에게 명하여 초상화를
그리게 하였는데, 그 그림은 스카치 위스키 '올드 파'의 상표에 쓰이고 있다. 그의 장수
비결은 적당량의 음주였다나. 그는 웨스트민스터 성당의 지하 묘소에 안장되었다.
술이 실제로 약리 작용을 하여 질병의 치료에 쓰이는 진짜 약 술이 있다. 몇 가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우슬주
우슬은 우리나라 전역에 잘 자라는 다년생 풀이다. 여러 가닥의 가는 뿌리가 퍼져 있
으며 쌉쌀한 맛을 낸다. 필자의 고향 진천에도 우슬이 많이 자란다. 할머니께서는 서리
내릴 즈음 가을 밭둑이나 풀 섶에 있는 우슬을 캐어 깨끗이 씻은 다음 독에 소주를 붓
고 우슬주를 담가 1년 동안 장복 하시곤 했다.
우슬주는 인삼주보다 맛이 좋다. 갈색의 색깔이 술맛을 당기게 하며 은은하고 부드러
운 맛을 낸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우슬은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여 장기를 보강하고 각
기관을 편안케 하는 약초이다. 제주에서는 우슬을 달인 물로 쌀과 누룩을 반죽하여 술
을 담가서 신경통과 기침약으로 사용하였다.
*칡술
칡은 콩과식물로서 생장력이 왕성하다. 60년대 이전에는 춘궁기에 칡뿌리를 캐먹는
일이 많았다. 칡뿌리에는 양질의 전분이 많고, 단맛과 향기, 그리고 뒷맛이 좋다. 칡뿌
리를 다져서 즙과 함께 누룩을 섞어 양조해도 좋고 소주에 담가 침출주를 만들어도 좋
다.
칡뿌리술은 강장, 건위에 효과가 있고, 칡꽃술은 적당히 마시면 강장, 발한, 해열에
효과가 있다는 속설이 있다.
*매실주
늦겨울 눈 속에서 피는 꽃으로 유명한 매화. 변화 무쌍한 세상에서 변절하지 않는 상
징으로 숭상되어 온 사군자 중 하나다. 매실과 모과는 바구니에 담아 방 한구석에 놓으
면 방향제 구실을 했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예부터 매실주를 담가 왔다.
매실주에는 구연산이 많아 식전에 마시면 마치 베르무트처럼 침이 많이 나오고 입맛
을 돋운다. 여름철에 물을 바꿔 마셔 탈이 날 경우 매실주를 마시면 좋다. 동의보감 미
주편에는 매실주는 장의 탈 난 것에 좋다고 되어 있다. 매실과 모과는 진해 거담 효과
가 있다. 따라서 매실주도 그러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7월 초 한참 산미가 오른 청매를 따서 주둥이가 큰 유리병에 한 켜 깔고 설탕을 살
짝 덮히도록 뿌려 켜켜이 쌓은 다음 소주를 붓는다. 한 3개월 지나면 맑은 매실주가 탄
생된다. 꽃으로 술을 담그려면 3월에 담가도 좋다.
독약과 마약으로
술과 간장
술을 마시면 술기운은 혈액을 타고 순식간에 온몸으로 퍼지게 된다. 술을 마신 지 불
과 2~3분도 지나지 않아 얼굴이 술기운으로 붉게 물드는 사람을 종종 볼 수 있다. 술이
다른 음식물에 비해 체내에서 그만큼 빨리 흡수되는 것이다.
알코올은 그 자체가 강력한 독성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술이 체내에 들어오
면 인체는 알코올을 바로 분해하여 없애려고 애를 쓴다.
사람의 장기는 극도로 치밀하게 이루어진 것이어서 정확히 맡은 일을 한다. 위는 다
른 영양소에 앞서 알코올을 흡수한다. 흡수된 알코올은 즉시 간으로 보내진다. 여기서
알코올은 알코올 탈수소 효소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효소의 시간당 알코올 분해 능력은 일정하기 때문에 미처 분해되지 못한 과량의 알
코올은 혈액을 타고 온몸을 돌게 된다. 혈액 속에 알코올이 들어있는 한 간은 잠시도
쉴 수가 없기 때문에 과음을 하면 간을 혹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정상적인 경우 위에서 흡수한 여러 영양 물질을 몸에서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합성 또는 분해하여 저장해 둔다. 그러나 과음을 하면 간이 너무 바빠 그러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여유가 없어서 알코올 이외의 성분들은 지방으로 변하게 된다.
실제로 2~3일만 과음을 지속하면 간에 기름이 끼게 된다. 이른바 지방간 현상이 일어
나게 되는 것이다. 흔히 터무니없는 언행을 일삼는 사람에게 간덩이가 부었다고 얘기하
는데 상습적으로 과음을 하는 사람의 간은 지방간 현상이 계속되어 퉁퉁 부어 있을 터
이므로 간이 부었다는 말은 의학적으로 정확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이런 말을
만들어낸 선현들의 지혜에 새삼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원래 간의 표면은 매끈하지만 기름이 끼게 되면 포도송이처럼 부풀어올라 거칠게 변
한다. 그렇게되면 간 표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점차 간염으로 이행되는 것이
다. 그러나 이 상태까지는 절제하면서 치료하면 비교적 쉽게 복원될 수 있다.
간은 재활 능력이 탁월한 일종의 생화학 공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간염 상태에
서도 절제를 하지 않고 계속 과음을 하면 간이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간경변 상태가 되
고 이어 간암으로 이행된다. 이렇게 되면 아무리 술꾼이라 하더라도 더 이상 음주의 즐
거움을 누릴 수 없으며, 심지어 목숨까지 내줘야 하는 것이다.
'술에 장사 없다'는 것은 보편적인 진리. 어떤 권세도 10년을 못 가고, 제 아무리 아
름다운 꽃도 열흘을 못 간다는 이치를 모르는 술꾼들을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나이
들어서도 변함 없이 즐거운 술자리, 그 멋들어진 풍류를 즐기고 싶다면 젊어서부터 부
디 간덩이가 붓지 않도록 미리 절제를 하고 볼 일이다.
술과 두뇌
인간들은 술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맛과 풍미 때문에 술을 마신다. 그러나 엄밀한 의
미에서 본다면 인간들은 알코올이 두뇌에 미치는 효과 때문에 백만 년 동안이나 술을
가까이 해왔다고 할 수 있다. 단 한 잔으로도 술기운이 두뇌를 포근히 감싸는 기분, 바
로 그것 때문에 우리는 술을 즐기는 것이다.
알코올은 진정제로서 중추신경계에 작용한다. 즉 술을 마시게 되면 신경을 통해 전달
되는 메시지의 전달 속도가 늦어지고 반응시간 또한 지연된다. 그런가 하면 익살스러워
지고 게을러지기도 한다. 복잡한 정신 노동은 알코올에 의해 쉽게 장해를 받으며, 특히
두세 가지 일을 한꺼번에 하기는 대단히 어렵게 된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운전하는 사이에는 우선 진행하는 전방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 가를 항상 주시해야 한다. 또 끊임없이 백미러를 체크하고 좌우의
상황을 살피면서 발로는 속도를 조절하고, 손으로는 핸들을 잡고 방향을 조절해야 한
다. 이처럼 동시에 여러 가지 작업을 해야 할 때는 두뇌에서 순간순간 교통 정리를 잘
해주어야 하는데 술을 마시면 이러한 조절 기능이 현격히 떨어진다. 즉 반사신경과 판
단력이 둔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술 취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면 사고의 위험성이 엄청
나게 높아진다.
반복되는 과음은 정신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술을 아주 많이 마시면 술 취한 이
후에 한 행동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때는 흔히 필름이 끊겼다는 표현을
쓰는데 일단 한번 필름이 끊기게 되면 다음부터는 이런 일이 더욱 잦아진다. 이와 같이
지속적인 과음은 정신적 손상을 입힌다.
이런 상태가 되면 일상 생활의 대화 등에서는 크게 지장을 주지 않지만 문제 해결을
위한 추리력이나 판단력의 측면에서는 적지 않은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가족이나 친구
보다는 같은 일을 하는 동료들이 이러한 정신적 손상을 먼저 발견하는 것이 일반적이
다.
알코올의 효과는 술을 끊은 후에도 오랫동안 영향을 준다. 특히 40대 이상의 경우에
는 정신적 손상의 회복 속도가 대단히 늦다. 이러한 손상의 정도가 심하면 금단 증상이
일어나 점차 알코올 중독으로 이행하게 된다. 파리가 단맛에 이끌려 한번 꿀단지 속으
로 들어가면 다리고 달개고 온통 꿀범벅이 되어 결국은 헤어나지 못하게 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남성과 여성 중 누가 술이 셀까?
술은 친수성이기 때문에 물에 잘 녹는다. 인체의 주성분은 물이다. 남성이 여성보다
물의 함량이 높고, 여성은 남성보다 지방 함량이 높다. 따라서 여성은 체액 속에 가두
어 두는 능력이 낮다. 같은 조건의 남성에 비해 약 30%나 차이가 나고 몸무게를 감안
하면 50%의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항상 이 원칙이 통하는 것은 아니다. 주
량은 체질과 유전적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술과 성
모든 것이 개방이 된 오늘날에는 별일 아닐지 모르지만 조선 시대의 신랑 신부에게
는 첫날밤을 치르는 일이 큰 일이었다. 예부터 수치심을 없애고 본능적 즐거움을 누리
라고 신혼 부부에게 합환주를 마련해 주었다.
술을 어느 정도 마시면 이성적 조절력이 약해지면서 본능이 고개를 든다. 남성의 경
우 맥주 1,000cc 정도를 마시면 발기가 쉽게 되거나 발기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다
한다. 여성의 경우도 와인을 200ml 정도 마시면 수치심이 없어지고 성욕이 일게 된다.
그러나 지나치게 마시면 남성은 발기 부전 상태가 온다. 알코올 중독자들은 발기 불능
상태도 겪을 수 있다. 또한 비타민 흡수 장애자로 정자 형성을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
여성도 상습 과음 자는 생리 불순 현상이 일어나고 불감증에 걸린다. 여성 호르몬 분
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여성의 경우 특히 생식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
다. 임신과 수유 중에 있는 여성이 술을 자주 마시면 기형아를 나을 확률이 높다.
술과 비만
많은 사람들이 비만을 걱정한다. 살을 빼기 위해 식이요법을 하거나 운동을 한다. 심
한 경우에는 단식을 하거나 살 빠지는 약을 먹는 등 이른바 '목숨을 건 비만과의 전쟁'
을 불사한다. 그런데 술은 비만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알코올 1g에는 약 7cal의 에너지가 있다. 지방에는 9cal, 당과 단백질에는 4cal의 에
너지가 있으므로 알코올은 고칼로리 식품이다. 그러나 알코올에는 영양가가 없다. 이건
무슨 말인지? 영양가가 있는 물질은 몸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내다 쓸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보통 음식물은 소화되어 필요한 만큼 신체 각 부위에 공급되고 남으면 간에서
글리코겐의 형태로 변화되어 근육에 저장된다.
운동이나 일을 하는 등 신체가 좀더 에너지를 요구할 때에는 이 글리코겐은 포도당
으로 변하여 활동 에너지로 쓰인다. 과식을 하면 몸의 글리코겐 저장고가 꽉 차게 되
고, 나머지 영양분은 지방으로 저장된다. 이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비만이라 한다.
알코올이 분해될 때 나오는 에너지는 축적할 수 없기 때문에 그때그때 발산된다. 과
량의 알코올과 함께 섭취된 음식물은 전부 지방으로 변한다. 따라서 과음을 할 때 안주
를 많이 먹는 등 과식을 하면 비만해지기 쉽다.
그런데 보통 과음을 하면 식욕이 떨어지기 쉽다. 배가 부르기도 하지만, 알코올이 분
해되어 당장 활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넘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음을 상습적으
로 하면서 다른 음식을 먹지 않으면 영양 실조가 되어가 되어 깡마르기 쉽다.
이처럼 알코올과 영향과의 관계는 다소 복잡하다. 술꾼은 술배가 나올 수도 있고 수
수깡처럼 마를 수도 있다. 모두 음주 습관에서 비롯된다. 적당한 안주를 곁들인 적당한
음주는 입맛을 돋우고 균형된 몸매를 유지하게 한다.
알코올 중독
*알코올 내성
밤에 잠이 안 올 때 한 잔 하면 잠이 잘 온다. 그런데 이것이 습관이 되면 처음 마시
던 술의 양만 마셔서는 잠이 잘 안 온다. 그러면 조금 더 마시게 된다. 이런 식으로 술
을 점점 더 많이 마시게 되면 처음엔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일정량을 넘어서면 효과
가 없어진다. 수면제를 상습적으로 복용하거나 과량 복용했을 때의 부작용과 같다.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기 꺼리는 사람이 술 한잔하면 이야기를 술술 할 수 있다 하
여 계속 술을 마시면 술은 더욱 는다. 우울과 권태를 쫓으려 하거나 외로움을 달래려
하거나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술은 자주 마시면 마실수록 그 양이 는다. 즉 처음
에는 맥주 500cc 한잔이면 취하던 사람이 여러 번 마시면 석 잔, 다섯 잔을 마셔야 취
한다. 이것은 술에 대한 내성이 증가했다는 뜻이다.
*알코올 의존
술을 매일 마시던 사람은 건수가 없는 날에는 여기저기 기웃거린다. 한 잔 하고 싶은
것이다. 정 건수가 없으면 집에 가서라도 한 잔 한다. 술기운이 떨어지면 왠지 허전함
을 느끼는 사람은 알코올에 의존하기 시작한 사람이다.
이러한 징후에는 몇 가지가 있다. 배우자나 주위 사람들로부터 술을 끓도록 권유받는
일이 생기면 그것도 알코올에 의존하게 되었다는 증거이다. 자신의 명예가 손상됨에도
불구하고 술을 마시기 때문이다. 금주한다고 선언했다가 다시 마시는 경우도 그렇다.
우울해서 한 잔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는 사람은 우울한 생각만 들면 술을 찾는다. 그
러다가 술을 안 마시면 우울해진다. 이것이 바로 알코올 의존의 시작이다. 술에 자기의
정신이 좌우되는 것이 바로 알코올 의존이다.
*알코올 중독
영화 '라스베가스를 떠나며'가 생각난다. 직장을 그만두고 퇴직금을 받아 자기가 가져
갈 수 있는 최대량의 술을 산다. 그것도 보드카 같이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만 골라서.
그의 유일한 희망은 죽을 때까지 술을 마시는 것이다. 알코올 중독자의 말로는 참으로
비극적이다.
필자는 뉴욕에서 친지의 술 가게(Liquor Store)일을 도운 적이 있었다. 브롱스에 있
는 그 가게에는 토요일이면 술을 사려는 사람들이 100여 미터 가량의 줄을 선다. 뉴욕
주에서는 일요일에 술을 팔지 못하므로 술꾼들은 주말에 마실 양을 한꺼번에 산다.
대개의 술은 럼, 보드카, 그리고 진이다. 위스키나 브랜디, 와인, 맥주 등의 판매량은
미미하다. 증류주 중에서 위스키와 브랜디는 럼 등에 비해 고급이며 가격도 비싸고, 와
인이나 맥주는 알코올 농도가 낮다. 따라서 이들은 술을 즐기기 위해 술을 사는 것 같
지는 않았다. 사람들을 잘 관찰해 보니 수전증이 있는 사람이 상당히 있었으며 개중에
는 누렇게 황달기가 있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의 태반이 알코올 중독자 같았다. 이들
은 무슨 일이 있어도 술은 떨어지지 않게 한다.
필자는 스코틀랜드의 A.A. Club(Alcoholics Ananimous: 단주회) 활동을 조사한 적이
있다. 단주회는 미국에서 금주령이 해제된 후 알코올 중독자 재활을 위하여 1935년 한
의사에 의하여 생긴 단체이다. 이 단체는 회원들이 술을 끊으면서 자기를 이겨 가는 경
험을 서로 나눔으로써 술 끊는 상태를 지속하고자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단주회의 보
고에 의하면 알코올 중독자에게 나타나는 금단 현상은 몇 가지 유형이 있다.
알코올이 몸에 배어 있다가 혈중에 알코올이 없어지면 손이 부들부들 떨린다. 이른바
수전증인데 대부분의 알코올 중독자에게서 나타난다. 벌레가 몸에 붙어 있는 것 같은
착각을 하여 벌레를 잡으려고 한다. 덥지도 않은데 땀이 나는 경우도 있다.
착시 현상을 호소한 사람들도 많은데 집채만한 분홍색 코끼리가 달려들어 무서워 죽
을 것 같았다 한다. 어떤 사람은 남이 자기를 욕하는 소리가 들려 증오심에 불타는 경
우도 겪는다 한다. 따라서 금단 증상은 정신적, 신체적 병이라 볼 수 있다.
모든 중독이 그렇지만 알코올 중독의 금단 증상은 술만 마시면 일단 사라진다. 그리
하여 알코올 중독자는 금단 증상의 무서움에서 벗어나려고 술을 마신다. 알코올 중독의
말기에 가면 간경변이나 다른 신체적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정식적으
로도 기억력 등 지능이 감퇴하고 의욕이 저하되어 결국 죽어 간다.
미국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에서는 알코올 중독에 관한 연구 서적이 많이 나와 있다.
알코올 중독의 치료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 환자를 격리하여 술을 끊게 하면 처음 1~2
주 동안에는 지독한 금단 증상에 시달리다가 점차 회복된다. 완전히 회복된 사람도 술
을 다시 마시면 똑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오히려 더욱더 금단 증상에 시달리므로 중독
증은 깊어만 간다. 그러므로 알코올 중독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혈중 알코올 농도
혈중 알코올 농도의 단위는 혈액 100ml에 들어있는 순 알코올 무게(mg)를 말하며,
단위는 mg%이다. 혈중 알코올 농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줄어드는데 보통 사람의 경
우 시간당 알코올 10g(소주 40ml, 맥주 250ml)를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주 운전의 기준치는 50mg%로, 보통 사람의 경우 소주 한 잔(30ml)이나 맥주 반
병(250ml)을 마신 뒤 10분 후에 음주 측정기로 재면 15~20mg%가 된다.
소주 두 잔이나 맥주 한 병을 마셔도 교통 경찰에게 걸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이야
기?
권장 음주량
20세기 초 영국은 세계 최초로 사회 보장제도를 실시하였다. 사회주의자들의 끈질긴
주장이 받아들여져서 이른바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복지제도가 시행된 것이다. 그 일
환으로 국민의 교육비와 의료비를 국가 예산으로 충당하게 되었다. 그런데 교육비는 취
학 아동의 수에 따라 일정한 비용이 지출되지만 의료비는 국민의 건강 상태에 따라 금
액이 크게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영국 정부에서는 의료비 예산을
절감하기 위해 국민의 보건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그 결과 예방의학이 발달
하게 되었다.
영국의 왕립의학연구소에서는 예방의학의 일환으로 성인의 질병과 음주의 상관 관계
를 연구하였고, 수십 년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성인 질병의 약 40%가 음주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즉 많은 수의 성인들이 음주로 인해 질병을 앓거
나 또는 기존의 질병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성인들이 일상적으로 술을 마시므로 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런 명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사들은 통계를 바탕으로 한 '권장 음주량'
을 설정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음주량의 한계를 설정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간장에서 한 시간 동안에 분해할 수 있는 알코올의 양은 약 10g
이라고 한다. 이것을 알코올 1단위라 한다. 소주 2홉은 약 8단위(순 알코올 량으로
82g)이며 맥주 500ml는 약 2단위(순 알코올량 20g)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통 사람이 2
홉들이 소주 한 병을 마시면 그의 몸에는 약 8시간 동안 술기운이 남아있다.
그러면 권장 음주량은 구체적으로 얼마인가? 서양 남성의 경우는 1일 최대 8단위이
며 1주일 당 최대 21단위이다. 여성은 생리적 차이를 감안하여 1일 6단위, 1주일 14단
위를 넘지 않도록 권유하고 있다. 애석하게도 황인종의 체내에 들어 있는 알코올 분해
효소는 백인종의 그것에 비해 약 7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
람들에게 권유할 수 있는 음주량은 남성에게는 1주일에 15단위 이하, 여성에게는 10단
위 이하 정도가 될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준이 모든 사람에게 일률적으로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체질이나 유전
에 따라 술이 더 세거나 약한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통의 사람들이 이 음주
량을 지킨다면 건강을 지키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참고 문헌
-The Colour book of WINE, David Milligan, Octopus books, 1974
-World Wine Catalogue, Suntory, 1992
-THE ESSENTIAL WINE BOOK, Oz Clarke, Simon & Schuster, 1988
-Wine and Spirits, Alec Waugh, TIME-LIFE BOOKS, 1976
-The World book of Whisky, Brian Murphy, Collins, 1978
-THE WHISKY MUSEUM, 강담사, 일본, 1979
-Cognac, Chene & Hachett, 1984
-Scottish Drink Book, Jan Fairley et al, Chambers, 1990
-The World Guide to Beer, Michael Jachson, MITCHELL BEAZLEY, 1979
-BEER COMPANION, Michael Jachson, Running Press, 1993
-DAS GROSSE LEXIKON VOM BIER, Jochen Bernay et al, Scripta Verlag, 1980
-Cocktails & Punches, Sue Michalski, Bramley Books, 1995
-EXPRLORING WINE, Steven Kolpan & Brian H. Smith & Michail A. Weiss,
Van Nostrand Reinhold, 1996
-STORY OF WINE, Hugh Johnson's, MITCHELL BEAZLEY, 1998
-BAR & COCKTAIL COMPANION, Michael Jackson, Running Press, 1995
-[칵테일 교실], 고치원, 유윤종, 동시출판사, 1993
$$부록. 칵테일 만들기
*위스키를 베이스로 한 칵테일
-맨해튼(Manhattan)
믹싱잔에 얼음과 2온스 분량의 라이 위스키, 1온스 분량의 스위트 레드 베르무트와 3
대시 분량의 비터즈를 넣어서 잘 저은 다음 미리 차게 해둔 칵테일 잔에 따르고 나선
형의 레몬 껍질과 마라스키노 체리 1알로 장식한다.
라이 위스키의 갈색과 체리의 붉은 색이 어우러져 낭만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맨해
튼은 미국 태생이었던 처칠 영국 수상의 어머니가 1884년 뉴욕 주지사 선거 당시 자기
가 후원하는 후보를 위해 파티를 열고 이 칵테일을 내놓아 크게 인기를 끌었는데, 그
후 파티가 열렸던 클럽 '맨해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한다.
-올드 패션드(Old Fashioned)
을드 패션드 잔에 1스푼 정도의 설탕(혹은 큐브 설탕 1개)과 2대시 분량의 비터즈를
넣고 잘 섞은 다음, 얼음을 넣고 그 위에 3온스 분량의 블렌디드 위스키를 따른다. 잔
가장자리를 오렌지 슬라이스 1쪽과 체리 1알로 장식한다.
-위스키 사워(Whiskey Sour)
2온스 분량의 블렌디드 위스키와 1온스 정도의 레몬주스, 2분의 1온수 분량의 시럽,
그리고 계란 흰자 1대시 분량을 셰이커에 넣고 잘 흔든 다음 미리 차게 한 칵테일 잔
에 따르고 레몬 슬라이스로 장식한다. 사워란 말은 증류주에 감미료와 과즙을 가미한
산성 음료수를 일컫는 용어이다.
*브랜디를 베이스로 한 칵테일
-무랭 루즈(Moulin Rouge)
하이볼 잔에 얼음을 반쯤 채우고 2온스 분량의 브랜디와 3온스 분량의 신선한 파인
애플 주스를 따른 다음 그 위에 차게 한 스파클링 화이트 와인을 따른다. 거기에 파인
애플 슬라이스 4분의 1쪽, 파인애플 잎사귀, 오렌지 슬라이스 반쪽, 체리 1알을 한데 꿰
어 장식한다.
파리에 있는 세계적인 술집 '무랭 루즈'의 이름을 딴 것이다.
-티앤티(T.N.T.)
2온스 분량의 브랜디와 1온스 분량의 오렌지 큐라소, 그리고 파스티스 1대시, 비터즈
1대시를 칵테일잔에 따르고 잘 저어 준다.
*보드카를 베이스로 한 칵테일
-블러디 메리(Bloody Mary)
테두리에 소금을 바른 잔에 3온스 분량의 보드카와 신선한 라임과 레몬 각 4분의 1
쪽의 즙을 짜 넣고, 아이스 큐브 몇 조각을 넣은 다음 여분을 토마토 주스로 채우고 잘
저어 준다. 취향에 따라 약간의 소금과 후추를 넣을 수도 있으며, 샐러리 줄기 1도막을
꽂아 모양을 낼 수도 있다.
아마도 토마토 주스의 붉은 색깔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생각된다.
-섹스 온 더 비치(Sex on the Beach)
얼음을 반쯤 채운 잔에 1온스 분량의 보드카와 같은 분량의 복숭아 스냅스(화란산
진의 일종), 그리고 2온스 정도의 크랜베리 주스를 부은 다음 잘 저어 준다. 오렌지 슬
라이스와 체리로 모양을 낸다.
다소 낯뜨거운 이름이기는 하지만 그 때문에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이성에 대해 사랑
을 고백할 때 주문하는 술로 인기가 있다고도 한다.
-솔티 독(Salty Dog)
테두리를 레몬 즙으로 적시고 소금을 바른 고블릿잔에 3~4조각의 얼음을 넣고 그 위
에 2온스 분량의 보드카와 약 2~3배 분량의 그레이프프루츠 주스를 따른 다음 바스푼
으로 가볍게 저어준다.
솔티 독은 '개성 있는 사람'이라는 뜻인데, 최초로 소금을 사용하여 제조한 칵테일이
라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라 생각된다.
-스크루드라이버(Screwdriver)
얼음을 반쯤 채운 하이볼 잔에 보드카 2온스를 넣은 다음 그 위에 5온스 분량의 신
선한 오렌지 주스를 붓는다. 잔의 테두리에 오렌지 슬라이스 1쪽을 끼워 멋을 낸다.
알코올 도수가 높으면서도 강한 오렌지 맛으로 인해 알코올기를 잘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이름이 풍기는 이미지처럼 술이 약한 여성을 유혹하기에 좋은 술로 알려져 있
으며 레이디 킬러(Lady Killer)라고 불리기도 한다. 주로 식사 전에 마시는 음료이다.
-키스 오브 화이어(Kiss of Fire)
보드카 2분의 1온스와 슬로진, 드라이 베르무트 각각 2분의 1온스 분량, 그리고 레몬
주스 2대시를 얼음을 적당히 채운 셰이커에 넣고 충분히 흔든 다음 가장자리에 레몬
즙을 바르고 설탕을 묻힌 칵테일 잔에 따른다. 1952년 일본의 술 콩쿠르에서 1위로 입
상한 작품이다.
*진을 베이스로 한 칵테일
-마티니(Martini)
3온스 분량의 진과 1온스 분량의 드라이 베르무트를 얼음과 함께 셰이커에 넣고 충
분히 흔들어 준 다음 마티니 잔에 따르고, 나선형의 레몬껍질과 올리브로 멋을 낸다.
올리브 대신 양파를 넣어주면 깁슨(Gibson)이 된다. 특히 미국인들이 주로 저녁식사
전에 마시는 칵테일로 유명하다.
-싱가포르 슬링(Singapore Sling)
얼음을 반쯤 채운 고블릿 잔에 2온스 분량의 진과 1온스 분량의 체리 브랜디, 그리고
1온스 정도의 신선한 레몬주스를 넣고 바스푼으로 잘 저은 다음 그 위에 소다수를 채
운다. 여기에 오렌지와 레몬 슬라이스 각 1쪽씩과 마라스키노 체리 1알로 멋을 낸다.
슬링이라는 말은 증류주와 단맛 혹은 신맛이 나는 음료, 그리고 물이 혼합된 음료에
붙여지는 명칭으로 콜드 스링과 핫 슬링의 두 종류가 있다.
-알렉산더(Alexander)
진, 크렘 드 카카오(브라운)와 신선한 크림 1온스씩을 셰이커에 넣고 잘 흔들어 섞은
다음 테두리에 설탕을 묻힌 칵테일 잔에 바르고 그 위에 잘게 깎아 낸 초콜릿 조각을
띄운다.
-진 토닉(Gin & Tonic)
진 토닉은 진 카테일의 대표라 할 만큼 널리 알려진 것으로 토닉워터의 본고장 영국
에서 태어났다. 얼음을 반쯤 채운 하이볼이나 텀블러 잔에 2온스 분량의 진을 넣고 그
위에 5온스 정도의 토닉워터를 채운 다음 바스푼으로 가볍게 젓고 레몬 슬라이스 1쪽
으로 장식한다.
현 영국 여왕의 모후인 엘리자베스 황후는 진 토닉의 광적인 애호가였다고 알려져
있다.
-파라다이스(Paradise)
드라이 진 2분의 1온스, 애프리코트 브랜디와 오렌지 주스 각 4분의 1온스 분량을 얼
음과 함께 셰이커에 넣고 잘 흔들어 준 다음, 미리 차게 해둔 칵테일 잔에 따른다.
노란색을 띠고 살구향이 강하여 여성 취향의 칵테일이다.
-탐 칼린스(Tom Collins)
얼음을 채운 셰이커에 2온스 분량의 진과 1온스 정도의 레몬 주스, 그리고 1티스푼
분량의 설탕을 넣고 잘 흔든 다음 얼음을 반쯤 채운 하이볼 잔에 따르고 그 위에 소다
수를 붓는다. 마지막으로 오렌지 슬라이스 1쪽과 마리스키노 체리로 멋을 낸다.
-핑크 레이디(Pink Lady)
드라이진 1온스, 그레나딘 시럽과 생크림 각 3분의 1온스, 그리고 계란 1개분의 흰자
를 얼음을 반쯤 채운 셰이커에 넣고 충분히 흔들어 준 다음, 미리 냉각시킨 샴페인 잔
에 따른다.
1912년 런던에서 공연된 연극 '핑크 레이디'의 주연 여배우인 '헤이즐던'을 위해 만든
칵테일로 화려한 색상 때문에 젊은 여성들에게 사랑을 받는다.
*테킬라를 베이스로 한 칵테일
-마가리타(Margarita)
얼음을 채운 셰이커에 2온스 분량의 테킬라와 1.5온스 분량의 라임 주스와 2분의 1온
스 정도의 큐라소를 함께 넣고 잘 흔들어서 테두리 부분에 굵은 소금을 묻힌 칵테일잔
에 따른 다음 라임 1쪽으로 장식한다. 테킬라를 이용하여 만드는 칵테일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테킬라 선라이즈(Tequila Sunrise)
얼음을 반쯤 채운 샴페인 잔이나 하이볼 잔에 1.5온스 분량의 테킬라와 4온스 분량의
신선한 오렌지 주스를 따르고 잘 저은 다음 2스푼 정도의 그레나딘(석류) 시럽을 잔
밑바닥에 가라앉도록 조심스럽게 따르고, 오렌지 슬라이스 1쪽과 체리 1알로 멋을 낸
다.
태양과 테킬라의 나라 멕시코에서 처음 선을 보였다. 테킬라와 시럽의 비중 차이를
교묘히 이용하여 일출의 환상적인 정경을 멋지게 살린 칵테일로 멕시코 공연 중에 이
칵테일에 반한 보컬 그룹 롤링 스톤즈가 세계 각지로 퍼뜨렸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럼을 베이스로 한 칵테일
-블루 하와이(Blue Hawaii)
얼음을 3분의 2정도 채운 셰이커에 1온스 분량의 화이트 럼과 2분의 1온스 분량의
블루 큐라소, 1온스 분량의 파인애플 주스와 2분의 1온스 분량의 레몬 주스를 넣고 한
참 흔들어 준 다음 미리 얼음을 넣어 둔 고블릿 잔에 스트레이너를 통해 따른다. 파인
애플 슬라이스, 체리로 장식하고 하와이산 난꽃으로 a서을 내고 스트로를 꽃는다.
1961년에 개봉된 영화 블루 하와이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이름 그대로 하와이의
쪽빛 바다를 연상시키는 환상적인 푸른색이 시각과 미각에 동시에 청량감을 주는 하와
이의 대표적인 칵테일이다.
-쿠바 리브르(Cuba Libre)
럼앤콕의 일종으로 얼음을 반쯤 채운 하이볼 잔에 2.5온스 분량의 라이트 럼과 레몬
및 라임 각 4분의 1쪽의 즙을 짜 넣고 잘 저은 다음 그 위에 5온스 분량의 콜라를 따
르고 나선형으로 길게 깎은 라임 껍질을 넣은 후 레몬 슬라이스 두 쪽으로 장식한다.
1902년 쿠바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했을 때 외쳤던 'Viva Cuba Libre(쿠바 독립 만
세)'에서 유래된 이름인데 쿠바가 공산화된 이후 미국 등지로 망명한 스페인계 중남미
인들은 공산 독재 치하의 조국을 걱정하여 럼앤콕의 잔을 부딪치면서도 '쿠바 리브르
(쿠바의 자유를 위하여)'를 외친다고 한다.
*그 밖의 칵테일
-민트 프라페(Mint Frappe)
더블 칵테일 잔에 얼음조각을 가득 채우고 크렘 드 망트(페퍼민트)를 얼음이 충분히
잠길 때까지 따른 후 체리 1알과 민트잎으로 장식하고 짧은 스트로를 꽂는다.
프라페란 프랑스어로 '차게 한 것'이라는 뜻으로 얼음조각에 리큐르를 따르고 스트로
를 꽂은 음료를 일컫는 용어이다.
-미모사(Mimosa)
2분의 1온스 분량의 오렌지 큐라소와 1.5온스 분량의 오렌지 주스를 플루트 잔에 붓
고 그 위에 4온스 분량의 샴페인을 따른 다음 오렌지 슬라이스 반쪽과 나선 형으로 길
게 벗긴 오렌지 껍질로 장식한다. 미모사 꽃의 노란 빛깔과 톡 쏘는 샴페인의 청량감으
로 대화의 분위기를 우아하게 만들어 주는 칵테일이다.
-엔젤스 키스(Angel's Kiss)
크렘 드 카카오(화이트) 4분의 1온스, 슬로 진 4분의 1온스, 브랜디 4분의 1온스, 생
크림 4분의 1온스를 순서대로 섞이지 않도록 푸스카페잔(작은 리큐르잔)에 조심스럽게
부으면 액체들의 서로 다른 비중으로 인해 아래부터 4가지색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름
에 대한 호기심으로 많이 찾는 칵테일이다.
-슬로 진 피즈(Sloe Gin Fizz)
1.5온스 분량의 슬로 진(자두 리큐르)과 신선한 레몬 주스(1개 분량), 그리고 한 티스
푼의 설탕을 하이볼 잔에 넣고 설탕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잘 저은 다음 적당량의 얼
음을 넣고 그 위에 클럽 소다를 따른다. 마지막으로 나선형으로 벗긴 레몬 껍질로 멋을
내고 스트로를 꽂아 장식을 한다.
1온스=약 30ml, 1대시=약 1ml, 1티스푼=약 5ml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잼난사진] 종합 음식점(?) (0) | 2011.10.14 |
---|---|
세상에서 가장 듣기 좋은 소리 (0) | 2011.10.13 |
독서의 계절 추천도서 (0) | 2011.10.13 |
[스크랩] 한국 속담 1000가지 (0) | 2011.10.13 |
성공의 조건 (0) | 201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