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어쩌구 저쩌구

[스크랩] [상식] 화투의 월별 의미

칠봉인 2011. 10. 24. 08:15
  • [상식] 화투의 월별 의미
  • 월별로 각각 4매씩 총 48장으로 구성된 화투는 일본 문화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화투의 낱장 하나하나가 그냥 만들어진 게 아니라 거기에는 일본 고유의 세시풍속, 월별 축제와 갖가지 행사, 풍습, 선호, 기원의식 심지어는 교육적인 교훈까지 담겨져 있습니다. 화투 설명 [1월 - 송학] 1월 송학(松鶴)세칭 ‘삥’이라고 불리는 송학의 화투 문양을 보면 1/4쪽 짜리 태양, 1마리의 학, 소나무, 홍단 띠가 나옵니다. 태양은 신년 새해의 일출을, 학은 장수와 가족의 건강에 대한 염원을 나타낸다. 또 소나무가 등장하는 이유는 가도마쯔(門松; かどまつ)행사에 소나무가 등장하기 때문인데 가도마쯔는 1월을 맞이하는 일본의 대표적 세시풍속. 일본인들이 1월 1일부터 1주일 동안 소나무를 대문 양쪽에 장식해 두고 조상신과 복을 맞아들이기 위한 행사입니다. 학을 의미하는 ‘츠루(鶴; つる)’가 소나무를 뜻하는 ‘마쯔(松; まつ)’의 말운(末韻)을 이은 점은 일본식 풍류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1년 열두 달 중 8월과 11월을 의미하는 공산과 오동을 제외한 나머지에 등장하는 청·홍색 띠는 일명 ‘단책(丹冊)’이라고 불리웁니다. 일본에선 ‘하이쿠(俳句; はいく)’라는 일본의 전통 시구를 적을 때 이 종이를 사용합니다. 한국에선 빨간색이 사망, 공산당, 화재 등과 같이 부정적인 의미를 갖지만, 일본에서의 빨간색은 쾌청한 날씨, 경사, 상서 등을 나타냅니다. 홍단의 구성요소는 송학(1월), 매조(2월), 벚꽃(3월). 일본인들에게 1, 2, 3월은 매우 상서로운 달임을 시사해 줍니다. [2월 - 매조] 2월 매조(梅鳥) 2월에 해당한 매조에는 꾀꼬리와 매화가 나옵니다. 2월이 되면 동경도 오매시(靑梅市)의 매화공원을 비롯한 일본 전역의 공원에서 축제가 벌어질 만큼 매화는 일본인들에게 친숙한 꽃이며 꾀꼬리는 봄을 나타내는 시어(詩語)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텃새이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 의아한 것은, 꾀꼬리가 봄철이 아닌 2월에 등장한다는 점인데 조류학자들에 따르면, 철새인 꾀꼬리가 일본으로 되돌아오는 시점은 대체로 4월 이후라고 합니다. 그런데도 2...더보기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pure white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