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어쩌구 저쩌구

칠봉이와 함꼐 떠나는 상식여행

칠봉인 2011. 12. 8. 23:57

세계의 교육, 과학, 문화 발전을 위해 서로 돕는 목적으로 1946년에 세운 국제기구가 유네스코(UNESCO)이다

유네스코는 가치를 지닌 인류의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발굴 및 보호를 위해 1972년 협약을 채택했다

특별히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세계유산을 특성에 따라 세가지로 분류했다 

 

세계유산-문화유산(725점)

-자연유산(183점)

-복합유산(28점)

세계유산 협약국183개국

 

세계유산은 153개국이 보유하고 있는 936점에 이른다(2011년8월기준)

피라미드 , 마추픽츄, 만리장성 등이 대표적인 세계유산이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리나라에 있는 세계유산은

 

문화유산

해인사 장경판전(1995년)

종묘(1995년)

석굴암, 불국사(1995년)

창덕궁(1997년)

수원화성(1997년)

고창, 화순,강화 고인돌유적(2000년)

경주역사지구(2000년)

조선왕릉(2009년): 전세계를 통틀어 500년이상 이어진 왕조의 무덤들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곳은 드물다

하회와 양동마을(2010년)

 

자연유산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2007년)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은 유적이나 사적 등 움직일 수 없는  부동산 문화재가 대상이 된다

동산문화재(도자기 ,회화, 불상 등)와 무형문화재(음악, 민속, 공예)는 대상에서 제외 된다

따라서 해인사의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은 세계유산이 아니고 그것을 보존하는 건물(장경판전)이 등록 돼 있다

 

1992년 유네스코는 사라질 위험이 있는 기록유산의 보존을 위해 세계기록유산 사업을 시작 하였다

이에 의해서 우리나라(대한민국)는

훈민정음(1997년)

직지심체요절(2001년)

승정원 일기(2001년)

팔만대장경판(2007년)

조선왕조의궤(2007년)

동의보감(2009년)

일성록(2011년5월)

5.18민주화 운동 기록물(2011년5월)등이 등재 되었다

 

글카고 유네스코는 또 1997년 인류 무형문화유산 보존사업을 시작했다

이에 의해 우리나라는 

종묘 및 종묘 제례악(2001년)

판소리(2003년)

강릉단오제(2005년)

강강술래(2009년)

남사당놀이(2009년0

영산제(2009년)

제주칠머리당영릉굿(2009년)

처용무(2009년)

가곡(2010년)

대목장(2010년)

매사냥(2010년)에 이어 2011년11월말 택견. 줄타기에 이어 한산모시짜기가 등재 됨으로써 우리나라의 인류 무형문화 유산은

모두 14건에 이른다

 

결론은 유네스코가 정하는 "유산"의 종류는

세계유산-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

세계기록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정리 된다

 

[칠봉이의 생각: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술 문화가 등록 되지 않아 아쉬움을 더한다

예를 들어

섞어마시기, 빈속에 마시기, 밤새워 마시기, 안주없이 마시기, 재떨이 부어 마시기, 나발불기. 러브샷, 원샷등 우리만이 가진 술문화를 유네스코가 알아 주지 않아 원망스러울 따름이다^^ 조속히 등재  되기를 기대 해 본다 위하여!를 외치며 위하여!

 

[발췌: 매일신문]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배꼽 한번 잡아보소 ㅋㅋ  (0) 2011.12.09
기대하시라! 개봉박두  (0) 2011.12.09
시한수  (0) 2011.12.06
요런거 함 키워 보세요  (0) 2011.12.06
[스크랩] 말투는 내용을 담는 그릇이다  (0) 2011.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