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書 三經(사서삼경) 四書 三經(사서삼경) 사서삼경 또는 사서 오경은 유교의 핵심 경전 일곱 또는 아홉 권을 말한다.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삼경은 《시경》, 《서경》, 《역경(주역)》을 말하고, 이에 《춘추경(춘추)》, 《예경(예기)》를 더하면 사서오경이 된다. 또, 사서오경에 .. 기타/어쩌구 저쩌구 2016.11.27
아버지에게 쓴 편지 아버지에게 쓴 편지 아버지...... 세상에는 온통 어머니만 있고 아버지는 없는 세상인 듯 합니다... 아들이고! 딸이고 다들 세상에서 우리 엄마만큼 고생한 사람 없다며 우리 엄마, 우리 엄마 합니다... 아버지 당신은 무얼 하셨습니까?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느라 묵묵히 집안에 울타.. 기타/어쩌구 저쩌구 2016.11.26
姦臣의 다섯 가지 類型(유형) 姦臣의 다섯 가지 類型(유형) ‘순자(荀子)’에 보면 공자(孔子)가 노(魯)나라에서 법 집행을 담당하는 사구(司寇)라는 관직에 취임한 지 7일 만에 조정을 어지럽히던 소정묘(少正卯)를 처형한 이야기가 나온다. 제자들을 비롯한 주위 사람들은 깜짝 놀랐다. 권력을 믿고 설치던 소정묘이.. 기타/어쩌구 저쩌구 2016.11.26
닮았다 닮았어 2.300년 전 '한비자'가 말하는 나라가 망하는 징조 10가지. 1. 법(法)을 소홀이 하고 음모와 계략에만 힘쓰며 국내정치는 어지럽게 두면서 나라 밖 외세(外勢)만을 의지하다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2. 선비들이 논쟁만 즐기며 상인들은 나라 밖에 재물을 쌓아두고 대신들은 개인적인 이권.. 기타/어쩌구 저쩌구 2016.11.11
諸葛亮(제갈량),181년-234년) 字 孔明 諸葛亮(제갈량),181년-234년) 字 孔明 출사표 諸葛亮(181~234) 자가 孔明, 後漢사람,삼국시대 蜀의 승상 劉備가 세 번이나 찾아준것에 감동하여 그를 도와 한 왕조의 부흥을 재건하려 했다. 제갈량이 촉한 건흥 5년, 위를 정벌하려고 출명하면서 후주 유선에게 올린 표문이다. 이글에서 그는 국.. 기타/어쩌구 저쩌구 2016.11.03
관기가 낳은 얼자의 지위 관기가 낳은 얼자의 지위 일반 여자 노비에 비해 관기들은 얼자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관기들이 얼마나 많은 남자들을 동시에 만났는지는 민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앞에서, 평안도 정주목사가 전라도 남원에서 올라온 친척을 접대하고자 기생을 직접 고른 일이 있.. 기타/어쩌구 저쩌구 2016.11.02
전자레인지 정말 무섭습니다 전자레인지 정말 무섭습니다 두 개의 멀쩡한 식물 사진이 있습니다. 왼쪽에 있는 것은 앞으로 전자레인지에 끓인 물을 식혀서 10일 동안 줄 식물이고 오른쪽은 그냥 가스 불에 끓여서 식힌 물을 줄 것입니다. 생수가 아닙니다. 가스 불에 끓인 것입니다. 9일 뒤에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 전.. 기타/어쩌구 저쩌구 2016.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