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클때는 동네에 경북의원이라는 병원이 있어 편도선 열나고 부어도 이 병원갔고 배가아파도 이병원 갔고 설사가나도, 독감이들어도
팔이 부러져도 여기서 깁스를 했고 얼굴이 하얗게 뱃 속에 피가 고여도 여기서 수술해서 살려냈고 이 병원만 찾아가면 만사 오케이었다
몸 어디라도 아프면 어느 병원 가야하나 어느 의사에게 가야하나 고민할 필요도 없이 곧장 이 병원만 가기만 하면 되었다
이때의 이병원 원장님은 만병통치 의사였다
그런데 요즘은 외과도 갑상선과, 대장항문과 간담도,혈관, 이식등으로 세분화 되어 있고 내과도 소화기과,내분비과,감염,호흡기과 등으로
세분화 되어 있어 환자 입장에서는 여기저기 쫓아다니다 진 다 빠진다
왜 이리 되었는지 살펴보면
1년간의 인턴, 4년간의 전공의 과정을 거쳐 전문의가 된 뒤에도 다시 세부과정의 전문과정을 적게는 1년 많게는 수년간을 거쳐야한다
이러다 보니 같은 외과나 내과 의사라고 해도 세부 전공이 다르면 자기 전공분야 외는 잘 모른다
이러니 다음과 같은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진다
촌에있는 한 병원에서 외과의사가 이직으로 비어있어 곤란을 겪던차에 군복무대신 의료취약지구에 근무하게 되는 외과 의사를 배정 받게 됐다 이제 외과 의사가 있어 지역외과 환자들을 돌 볼 수 있게 되었다고 동네 병원은 안심하고 있었는데 몇일 후 문제가 발생했다 맹장염 환자가 외과의사가 있다고 해서 찿아 왔는데 그 외과 의사가 말하길 "나는 맹장염 수술 할 줄 모릅니다" 아니 외과의사가 맹장염 수술을 못해요 했더니
아~ 글쎄 자기는 외과 의사라도 외과안에서 유방갑상선을 전공해서 그런다고 한다 ㅋㅋ
옜날 같으면 외과, 내과만 구분해서 가면 되었는데 요즘은 이렇게 세분화 해놓았으니 내과에 가도 소화기과에 먼저 갔다오라 다음엔 내분비과에 가보라 이캐싸니 환자 입장에서는 의료이용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어려워져 오히려 불필요한 비용을 더 쓰게 되었다
이러한 전문성이 때로는 평범허고 소박한 일상을 더 힘들게 한다
지나친 의료의 세분화 전문화는 환자 잡는다
옛날 어린시절 만병통치 의사가 있던 동네 병원이 그리워진다
예를 들면 요즘은 내과 계통의 2가지 이상 질병이 있으면 내과에 가도 같은 내과 내에서도 세부 전공이 달라 한 의사가 처리 못하니 여기저기
왔다리 갔다리 하며 내가 가진 질병을 전공한 의사를 찿아다녀야 된다
학교로 치면 수학선생님이 있는데 세분화 전문화 되어 있어 미분전공 수학선생님, 인수분해 전공 수학선생님, 적분전공 수학선생님 등
이런식이다 학생이 수학선생님 한테 이거 인수분해 어떻게 하나요 하면 수학선생님 왈 나는 미분전공이라서 그런거는 모른다 ㅋㅋㅋㅋ
학생들은 자기가 배우려는 항목에 맞는 수학 선생님을 찿아 다녀야 한다
완전히 이런 꼴이다 웃기 직인다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이 또 가네 (0) | 2014.04.02 |
---|---|
무리한 부탁 (0) | 2014.03.29 |
쾌적한 환경 (0) | 2014.03.23 |
1850년대 조선의 사진 (0) | 2014.03.20 |
언제나 맑은머리, 언제나 아픈머리 (0) | 201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