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어쩌구 저쩌구

淸州鄭氏 (청주정씨)

칠봉인 2014. 11. 23. 07:41

淸州鄭氏 (청주정씨)

 

정탁(鄭琢) 1526년(중종 21)∼1605년(선조 38). 예천 출신. 예천 삼강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정(子精), 호는 약포(藥圃)·백곡(栢谷).

현감 원로(元老)의 증손으로, 이충(以忠)의 둘째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관직: 예조·형조·이조 판서. 좌찬성. 우의정. 좌의정. 영중추부사.

봉호: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시호: 정간(貞簡) 淸白守節曰貞. 一德不懈曰簡。인조 13년(1635) 증시

청백하게 절조(節操)를 지킨 것을 정(貞)이라 하고,

덕을 한결같이 닦고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을 간(簡)이라 한다

제향처: 예천 도정서원(道正書院)

 

 

*정곤수(鄭崑壽) 1538년(중종 33)∼1602년(선조 35). 조선 중기의 문신. 성주

본관은 청주(淸州). 초명은 규(逵). 자는 여인(汝仁), 호는 백곡(栢谷)·

경음(慶陰)·조은(朝隱). 곤수는 명종의 하사명이다.

아버지는 부사맹 사중(思中)이며, 어머니는 부사과 정희수(鄭希壽)의 딸이다.

백부인 대호군 승문(承門)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퇴계 이황 문인

관직: 문과급제. 강원. 황해감사. 승지. 대사성. 한성좌윤. 참판. 예조판서.

좌찬성. 증 영의정   봉호: 서천부원군(西川府院君)

시호: 충민(忠敏) 危身奉上曰忠  應事有功曰敏

충익(忠翼) 危身奉上曰忠. 思慮深遠曰翼 현종 4년 改諡

자신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드는 것을 충(忠)이라 하고,

사려가 깊고도 원대한 것을 익(翼)이라 한다.

제향처: 성주 유계서원(柳溪書院)

 

 

*정 구(鄭 逑) 1543년(중종 38)∼1620년(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성주(星州) 출신.

한훤당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판서 사중(思中)의 아들이다

관직: 천거로 동복현감 우승지·강원도관찰사·성천부사·충주부사·공조참판. 대사헌.

시호: 문목(文穆) 道德博聞曰文. 抱德執義曰穆 인조 3년 증시. 숙종 5년 改諡註

도와 덕이 높고 견문이 넓은 것을 문(文)이라 하고

덕을 널리 펴고 올바른 것을 지키는 것을 목(穆)이라 한다.

제향처: 성주 회연서원(檜淵書院)·천곡서원(川谷書院), 충주 운곡서원(雲谷書院),

창녕 관산서원(冠山書院), 성천 학령서원(學翎書院), 통천 경덕사(景德祠) 등

 

 

*정 로(鄭 魯) 1751년(영조 27)∼1811년(순조 11).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공면(公勉), 호는 창파(蒼坡).

문목공(文穆公) 한강(寒岡) 구(逑)의 후손이다.

관직: 아들 가산군수 정시와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순절. 증 이조판서

시호: 충경(忠景) 臨難不忘國曰忠 布德行剛曰景 철종 14년(1863) 증시

환란을 맞이하여 나라를 잊지 않는 것을 충(忠)이라 하고

덕을 널리 행하고 강직하게 행동하는 것을 경(景)이라 한다.

시장: 도총관 신상현(申常顯) 찬

제향처: 가산 충렬사(忠烈祠)

 

 

*정 시(鄭 蓍) 1768년(영조 44)∼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덕원(德園), 호는 백우(伯友).

문목공(文穆公) 한강(寒岡) 구(逑)의 후손으로 충경공(忠景) 로(魯)의 아들이다.

관직: 무과급제. 선전관. 훈련원주부. 가산군수. 홍경래 난 절신. 증 병조판서

시호: 충렬(忠烈) 臨患不忘國曰忠  剛克爲伐曰烈

환란을 맞이하여 나라를 잊지 않는 것을 충(忠)이라 하고

강직(剛直)한 덕(德)으로 능히 일을 해나가는 것을 열(烈)이라 한다.

순조 12년(1812) 시장 없이 증시(不待諡狀)

제향처: 정주 오봉산 표절사(表節祠)

'기타 > 어쩌구 저쩌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봉산의 소나무  (0) 2014.11.24
[스크랩] 조선시대의 관직  (0) 2014.11.23
국가와 공무원   (0) 2014.11.21
역세권 도보로 5분거리  (0) 2014.11.19
[스크랩] 中國 福建省 土樓(동영상)  (0) 2014.11.18